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Welfare Program on School Adjus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801982

      • 저자
      • 발행사항

        전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북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2009. 8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Welfare Program on School Adjustment

      • 형태사항

        v, 71p: 그림,표; 26cm

      • 일반주기명

        전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백종만
        참고문헌 : p.56-64

      • 소장기관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wo factors on school adjustment: participating in education welfare program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the number of programs and the joining period) For this research, the s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wo factors on school adjustment: participating in education welfare program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the number of programs and the joining period)
      For this research, the survey was done aiming at 1245 students(2nd and 3rd grade) in 8 middle schools( 5 in the program and 3 out of the program) in Jun-ju, Ik-san, Gun-san in Jeon-Buk Province. And among them, 242 students were analyzed including 126 in schools in the program and 116 in schools out of the program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re, t-test, Anova, correlativ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o look into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education welfare program on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compare students receiving launch-support in two kinds of schools(in and out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in terms of school adjustment.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whether participating or not in edu-welfare program has an positive effect on class adjustment, school circumstance adjustment and no effect on whole school adjustment, grade, emotional adjustment, behavioral adjustment. That is, the students in schools adjustment in the program tend to have high ability in class preparation, class participation, class understanding and accept the school environment and control their needs appropriately.
      Second, this study looked into school adjustment aiming at the students in the participating schools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programs, joining period) on school adjustment. The result shows that the more programs the school takes part in, the more negative effect on grades, the more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adjustment(school life satisfaction), behavioral adjustment(rule observation and responsibility), and no effect on whole school adjustment, class adjustment, school circumstance adjustment. Also, it is drawn that the longer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s, the more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adjustment(school life satisfaction), behavioral adjustment(rule observation and responsibility), and no effect on whole school adjustment, academic adjustment(class, grade), school circumstance adjustment.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t shows the short-term effect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at school adjustment, which was concluded from the comparison of low-income students in two kinds of schools(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out of the program).
      Second, it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two points:
      For one thing, it makes clear that students needs to take part in and experience various programs in the long term for the success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For another, it provides basic data of interference strategy and methods for school adjustment for low-income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ABSTRACT
      • 제 1 장 서 론
      • 제 1 절 문제제기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및 의의 5
      • 제 2 장 이론적 배경
      • □ ABSTRACT
      • 제 1 장 서 론
      • 제 1 절 문제제기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및 의의 5
      • 제 2 장 이론적 배경
      • 제 1 절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 6
      • 1.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추진 배경 및 의의 6
      • 2.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주요 사업영역과 프로그램 8 제 2 절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11
      • 제 3 절 학교적응에 관한 이론적 논의 16
      • 1. 학교적응의 개념 16
      • 2.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8
      • 3.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과 학교적응의 관계 20
      • 제 3 장 연구방법
      • 제 1 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2
      • 제 2 절 자료수집 24
      • 제 3 절 측정도구 25
      • 1. 독립변수 25
      • 2. 종속변수 25
      • 3. 통제변수 26
      • 제 4 절 통계적 방법 29
      • 제 4 장 결과분석
      • 제 1 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0
      • 제 2 절 주요변수의 사전분석 32
      • 1.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32
      • 2. 주요변수에 따른 T-test 분석 33
      • 3.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36
      • 제 3절 연구문제 검증 37
      • 1. 교육복지 프로그램 참여 여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37
      • 2. 교육복지 프로그램 참여 개수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41
      • 3. 교육복지 프로그램 참여 기간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45
      • 제 5 장 결론 및 함의
      • 제 1 절 연구의 결론 49
      • 제 2 절 연구의 함의 53
      •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55
      • □ 참고문헌
      • □ 부 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