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치 수복물에 따른 주변 법랑질의 탈회 저항성  :  QLF를 이용한 연구 = RESISTANCE TO DEMINERALIZATION OF ENAMEL OF PRIMARY TEETH ACCORDING TO RESTORATIONS: IN VITRO STUDY USING QLF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397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치 수복물의 불소 방출 여부에 따른 주변 법랑질의 탈회 저항성과 재광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건전 유전치 48개를 16개씩 임의로 세 군으로 나누어, FiltekTM Z250(1군), F2...

      본 연구에서는 유치 수복물의 불소 방출 여부에 따른 주변 법랑질의 탈회 저항성과 재광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건전 유전치 48개를 16개씩 임의로 세 군으로 나누어, FiltekTM Z250(1군), F2000(2군), KetacTM N100(3군)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충전하였다. 3일 동안 인공 우식 병소를 유발한 후, 14일 동안 인공 타액에 담가 재광화를 유발하였다.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QLF)를 이용하여 실험 단계와 시간에 따른 무기질 소실량(ΔQ)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탈회가 일어난 인공 우식 병소의 ΔQ 값은 3군, 2군, 1군 순으로 작게 나타났고, 이 중 3군은 1군에 비해 유의한 탈회 저항성을 보였다.
      2. 1군, 2군, 3군 모두 재광화 1일 후부터 초기 인공 우식 병소의 ΔQ 값과 비교 시 유의한 차를 보였으며, 관찰 기간 동안 지속적인 증가 양상을 나타내었다.
      3. 재광화 속도를 의미하는 Δ(ΔQ)/일 값은 각 군에서 처음 1일 동안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 급속히 감소하였다.
      4. 수복 재료에 따른 재광화 정도는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detect and monitor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of primary teeth according to restorative materials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A single bur hole was drilled on the each sou...

      The objectiv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detect and monitor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of primary teeth according to restorative materials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A single bur hole was drilled on the each sound forty eight primary anterior teeth, and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avity was restored with FiltekTM Z250(Group 1), F2000(Group 2), KetacTM N100(Group 3) following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The teeth were subjected to the demineralizing buffer for 3 days, and then subjected to a remineralizing buffer for 14 days. The change of mineral loss(ΔQ) according to the stages was evaluated by QLF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When demineralization was done, ΔQ was increased as follows. : Group 1 (-110.79 ± 27.77) < Group 2 (-104.84 ± 28.95) < Group 3 (-90.16 ± 21.87) : Resistance to demineraliz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roup 3.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ΔQ of all groups since 1st day of remineralization
      3. The rate of remineralization, Δ(ΔQ)/day, showed significant high value in each group on the 1st day then decreased rapidly.
      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remineralization among restorative material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