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포츠건강신념 척도개발 및 효과 연구 = Scale Development for Sport Health Beliefs and Analysis of Its Eff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86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scale to sport health belief model(SHBM).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480 students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The data were record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scale to sport health belief model(SHBM).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480 students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The data were record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 AMOS Ver. 22 for descriptive analysis, EFA, CF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scale of sport health belief model was consisted of 4 subdimensions with 26 items. Results are follws: First, the sport health belief model scale was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arriers, perceived benefits(physical benefits, emotional benefits, social benefits). Second, validity further was proved by faced validity, cont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proved by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and C.R. Third, SHBM scale affects health orientation. In conclusion, a suggested scale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ealth theory within spo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선경, "학교스포츠클럽 종목에 따른 중학생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 신체 만족도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 김진원, "축구동호회 참여자의 건강신념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5 (15): 259-272, 2017

      3 장세희, "초등학생의 비만관리를 위한 신체활동 관련 요인 : 건강신념 모델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11

      4 이석인, "중장년 여가운동 참여자의 건강신념이 건강실천 운동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4 (34): 217-232, 2010

      5 강은영, "여성의 생활무용 참여와 건강신념 및 사회․심리적 건강과의 관계" 대한무용학회 66 (66): 1-21, 2011

      6 정진성,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건강체력과 사회적 지지, 건강지각, 건강신념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1

      7 강영국, "여가스포츠 참여유형과 매니아 수준이 건강신념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3

      8 박주한, "신체운동(Sports & Exercise)의 새로운 가치 탐색" 한국체육철학회 18 (18): 93-106, 2010

      9 김완석, "신체가치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신체조작성척도와 신체편향성척도" 한국심리학회 26 (26): 1-21, 2007

      10 이동헌, "생활체육참여자들의 사회적환경이 신체적 건강, 정서적 건강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757-766, 2015

      1 윤선경, "학교스포츠클럽 종목에 따른 중학생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 신체 만족도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 김진원, "축구동호회 참여자의 건강신념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5 (15): 259-272, 2017

      3 장세희, "초등학생의 비만관리를 위한 신체활동 관련 요인 : 건강신념 모델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11

      4 이석인, "중장년 여가운동 참여자의 건강신념이 건강실천 운동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4 (34): 217-232, 2010

      5 강은영, "여성의 생활무용 참여와 건강신념 및 사회․심리적 건강과의 관계" 대한무용학회 66 (66): 1-21, 2011

      6 정진성,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건강체력과 사회적 지지, 건강지각, 건강신념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1

      7 강영국, "여가스포츠 참여유형과 매니아 수준이 건강신념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3

      8 박주한, "신체운동(Sports & Exercise)의 새로운 가치 탐색" 한국체육철학회 18 (18): 93-106, 2010

      9 김완석, "신체가치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신체조작성척도와 신체편향성척도" 한국심리학회 26 (26): 1-21, 2007

      10 이동헌, "생활체육참여자들의 사회적환경이 신체적 건강, 정서적 건강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757-766, 2015

      11 이은선, "사무직 근로자의 운동행위 변화단계와 건강지각, 건강신념 및 운동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자치행정학회 32 (32): 243-263, 2018

      12 양숙자, "비만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초등학생의신체활동과 건강신념" 한국보건간호학회 26 (26): 227-238, 2012

      13 문병무, "뇌졸중 환자의 건강신념과 운동기능 재활 이행 및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의 상관성"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3057-3064, 2012

      14 임란희, "노인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 건강 변화를 위한 실버 스트레칭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7

      15 김석준, "노인의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건강에 관한 연구 : 도시와 농촌 노인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2

      16 오현주, "노인의 건강증진활동 경험이 건강증진활동 의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학회 (37) : 103-119, 2014

      17 양혜진, "근골격계 하지손상환자의 정맥혈전색전증 관련 지식과건강신념 및 예방행동의도"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531-541, 2013

      18 현명선, "군병사의 비합리적 신념과 정신건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정신간호학회 19 (19): 252-260, 2010

      19 김형진, "골프참여자의 건강신념이 운동몰입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58) : 545-553, 2014

      20 이혜림, "게임 이용자의 정신 건강 신념과 자기 해석이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8 (28): 43-51, 2015

      21 이윤재, "건강신념이 건강정보처리과정과 건강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22 이지영, "건강신념모형을 이용한 운동참여 측정도구 개발"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4 (14): 51-60, 2012

      23 최성희, "건강신념모형에 기반한 효과적인 식품안전 정보제공 방안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33 (33): 259-265, 2018

      24 홍윤미, "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한 청소년 흡연 행위 예측" 18 (18): 218-224, 2004

      25 주은령, "건강신념모델을 기초한 성인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피부건강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2015

      26 정영신, "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 운동만족 및 건강증진행동 관계연구: 헬스센터 중심으로"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12 (12): 215-230, 2016

      27 이병관, "건강 관련 행동의 예측을 위한 사회인지이론의 유용성 국내 건강신념모델 연구의 메타분석" 한국PR학회 18 (18): 163-206, 2014

      28 Kartal, A., "Validity and reliability study of the Turkish version health belief model scale in diabetic patients" 44 : 1447-1448, 2007

      29 Rimal, R. N.,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perceived norms on behaviors" 13 : 184-203, 2003

      30 Mattson, M., "Toward a reconceptualization of communication cues to action in the health belief model : HIV test counseling" 66 : 240-265, 1999

      31 Janz, N. K., "The health belief model in understanding cardiovascular ris-factor reduction behaviors" 24 (24): 39-41, 1988

      32 Janz, N. K., "The health belief model : A decade later" 11 : 1-47, 1984

      33 Chen, M., "Testing the health belief model : LISREL analysis of alternative models of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belief and preventive dental behavior" 49 : 45-60, 1986

      34 Becker, M. H., "Strategies for enhansing patient compliance" 6 (6): 113-135, 1980

      35 Rosenstock, I.,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15 (15): 175-183, 1988

      36 Wu, 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ammography screening beliefs questionnaire among Chinese American women" 26 (26): 131-142, 2003

      37 Champion V. 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breast cancer screening beliefscales in African American women" 46 (46): 331-337, 1997

      38 Dutta-Bergman M., "Psychographic profiling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 The role of health orientation" 11 (11): 1-17, 2005

      39 Prentice-Dunn, S.,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nd preventive health: Beyond the health belief model" 1 : 153-161, 1986

      40 Hair, J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earson-Prentice Hall 2006

      41 Shelly Hovick, "Multiple Health Risk Percep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Among African Americans and Whites Living in Poverty" Wiley 31 (31): 1789-1799, 2011

      42 Stacy. R. D., "Impact psychological symptom severity on leisure time exercise behavior and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to physical exercise" University of Chicago 2014

      43 Guvenc, G., "Health belief model scale for cervical cancer and pap smear test : Psychometric testing" 67 (67): 428-437, 2010

      44 Fornell, C., "Evaluating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45 Tovar, E. G.,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health beliefs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scale : Preliminary findings" 66 (66): 2772-2784, 2010

      46 Sechrist, K. R,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exercise benefits/barriers scale" 10 : 357-365, 1987

      47 Ozden, D.,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scale in obesity" 10 (10): 533-542, 2011

      48 Bentler, P. M.,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107 : 238-246,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