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적 배양 조건에서 세균성 셀룰로오스 생산의 최적화 및 CFD 분석 = Optimiztion and CFD Analysis of Bacterial Cellulose Production in Dynamic Culture Con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215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Gluconacetobacter xylinus 균주를 활용하여 세균성 셀룰 루오스(Bacterial Cellulose, 이하 BC)를 정적배양, 다양한 교반속도에서 동적배양을 실시하고 CFD 모사를 통해 각 배양기 교반속도...

      본 연구에서는 Gluconacetobacter xylinus 균주를 활용하여 세균성 셀룰 루오스(Bacterial Cellulose, 이하 BC)를 정적배양, 다양한 교반속도에서 동적배양을 실시하고 CFD 모사를 통해 각 배양기 교반속도에서의 최대난류운동에너지 (Turbulent Kinetic Energy, 이하 TKE)를 계산하였다.
      이를 통해 각 조건에서의 BC 수득율, 균주의 생존상태, 생산된 BC pellicle 들의 물성 및 형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산모사 결과 150rpm 에서의 교반기 날개 끝부분에 해당되는 부위의 최대 TKE 값이 약 0.03 m 2 /s 2 으로 계산되었으며, 이 조건에서 최대치의 BC 생산량을 보였다. BC pellicle 및 생산량은 TKE값이 높아지면서 점차로 작아져 350rpm, 즉 TKE 0.17 m 2 /s 2 에 해당되는 지점 이상에서는 BC 생산이 거의 관찰 되지않았다. 그러나 CFU (Cell Forming Unit) 연구결과, BC 생산의 저하가 오직 균주의 사멸이 아닌, 돌연변이 균주의 활성화에서도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Bacterial Cellulose producing bacteria, Gluconacetobacter xylinus was used to produce both in static and dynamic culture condition. The influence of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TKE) was investigated by CFD simulation for all the rotat...

      In this study, Bacterial Cellulose producing bacteria, Gluconacetobacter xylinus was used to produce both in static and dynamic culture condition. The influence of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TKE) was investigated by CFD simulation for all the rotation speeds of the bioreactor adopted in this research. TKE value of maximum 3 m 2 /s 2, lead to the highest yield of BC, at the dynamic culture and above 12 m 2 /s 2, the BC production diminished. The BC pellicle sized also decrease with increasing TKE value. CFU study implies that the decrease in BC size and its production at high TKE value not only originates from cell death but also the activation of mutant cel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 연구배경 1
      • 제2장 재료 및 방법 11
      • 1. 박테리아 11
      • 2. 정적 배양 11
      • 제1장 서론 1
      • 1. 연구배경 1
      • 제2장 재료 및 방법 11
      • 1. 박테리아 11
      • 2. 정적 배양 11
      • 3. 동적 배양 12
      • 4. 생산량 비교 13
      • 5. CFU(Colony Forming Unit) 측정 13
      • 6. 후처리 14
      • 7. FT-IR(Fourier Transfer Infrared) spectroscopy 14
      • 8.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 15
      • 9. FE-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16
      • 10. Microscope camera 16
      • 11. Simulation software 16
      • 제3장 결과 19
      • 1. 실험 19
      • 1.1 배양 19
      • 1.2 생산량 22
      • 1.3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23
      • 1.4 CFU(Colony Forming Unit) 측정 25
      • 1.5 Digital Microscope Camera 27
      • 1.6 FE-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28
      • 1.7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 30
      • 2. Simulation 32
      • 제4장 고찰 38
      • 참고문헌 39
      • ABSTRACT 4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