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선감척사업에 따른 주요 연안어업의 자원회복 및 경제적 효과 분석 = Analysis on Economic Effect and Resource Recovery of Major Coastal Fisheries by Vessel Buy-back Program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248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esource recovery effect and the economic effect of the fishermen by the fisheries vessel buy-back program. First, this study standardizes the fishing efforts of coastal gill net, coastal trap, and coastal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esource recovery effect and the economic effect of the fishermen by the fisheries vessel buy-back program. First, this study standardizes the fishing efforts of coastal gill net, coastal trap, and coastal composite fisheries using Gavaris general linear model. Second, the resource evaluation is performed by using vessel buy-back program data, and also the CYP model based on exponential growth function is applied. In order to derive the effect of the vessel buy-back program, the MSY with the vessel buy-back program is compared with the MSY without the vessel buy-back program. Finally, we compare and analyze producer surplus under the equilibrium of the MEY and the OA using bioeconomic model. In conclusion, the vessel buy-back program has shown an increase in resource growth and economic improvement for the remaining fishermen. The result shows that the remaining fishermen are able to obtain an increase in producer surplus of about 53% due to the vessel buy-back program under equilibrium levels of the open access and the maximum economic yie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해양수산부, "제2차 수산자원관리기본계획(2016-2020)" 2016

      2 표희동, "우리나라 연근해어선 감척사업의 경제적 투자효과 분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8 (28): 25-35, 2006

      3 정민주, "우리나라 어선감척사업의 연안자망어업에 대한 어자원회복 및 경제적 효과 추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9 (39): 221-232, 2017

      4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연안어업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14

      5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연안어업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17

      6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연안어업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16

      7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연안어업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15

      8 최종두, "연근해어업 어선감척사업으로 인한 생산성 및 투자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6 (36): 343-351, 2014

      9 국가통계포털, "어업생산통계"

      10 해양수산부, "수산업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수산혁신 2030 계획" 2019

      1 해양수산부, "제2차 수산자원관리기본계획(2016-2020)" 2016

      2 표희동, "우리나라 연근해어선 감척사업의 경제적 투자효과 분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8 (28): 25-35, 2006

      3 정민주, "우리나라 어선감척사업의 연안자망어업에 대한 어자원회복 및 경제적 효과 추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9 (39): 221-232, 2017

      4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연안어업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14

      5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연안어업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17

      6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연안어업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16

      7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연안어업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15

      8 최종두, "연근해어업 어선감척사업으로 인한 생산성 및 투자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6 (36): 343-351, 2014

      9 국가통계포털, "어업생산통계"

      10 해양수산부, "수산업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수산혁신 2030 계획" 2019

      11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생산자물가지수"

      12 국가통계포털, "등록어선통계"

      13 박병수, "근해어선 감척사업의 생산량에 관한 효과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17 (17): 115-131, 2005

      14 Gavaris, S, "Use of a Multiplicative Model to Estimate Catch Rate and Effort from Commercial Data" 37 : 2272-2275, 1980

      15 Grafton, R. Q, "The Effects of Buy-back Programs in the British Columbia Salmon Fishery, Working Paper" 25 : 2005

      16 Spagnolo, M, "The Decommissioning Scheme for the Italian Clam Fishery: A case of Success" 133-144, 2007

      17 Verhulst, P. F, "Notice sur la loi que la population suit dans son accroissement" 10 (10): 113-121, 1838

      18 Fox Jr, W. W, "An exponential surplus-yield model for optimizing exploited fish populations" 99 (99): 80-88, 1970

      19 Clarke, R. P, "A bioeconomic analysis of the Northwestern Hawaiian Islands lobster fishery" 7 (7): 115-140,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8 0.836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