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주택연금 가입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별 특성 분석 = Analysi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Reverse Mortgage Subscrip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249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uth Korea is experiencing population aging. The number and percentage of the elderly population have made huge increased over the last decades. According to data 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elderly populated aged 65 or older amounted to 7,38...

      South Korea is experiencing population aging. The number and percentage of the elderly population have made huge increased over the last decades. According to data 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elderly populated aged 65 or older amounted to 7,381,000 as of July 1, 2018,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14.3% of the entire population of 51,635,000. This aging of population has caused the poverty of the elderly to rise as a serious social issue. Based on the median income 50% in 2016, the relative poverty rate of the elderly population aged 65 or older in the nation was 43.7%, which was the highest among the OECD member states and has been on the constant rise according to the aging of population. In the aspect of instability of old age income, the percentage of actual assets amounted to approximately 81% in the retired households of 60 years old or older. While 8.0% said that they had enough money to cover their living expenses, 62.3% said that they had no enough money for living expenses. When asked about the source of payment for living expenses, 30.4% said public benefits; 27.9% said family income and allowances from children and relatives; 27.2% said public pension; 10.3% said others; 4.2% said personal savings and private pen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ir sources of payment were weak in quality.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loc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reverse mortgage subscription in 162 cities and guns around the n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d related theories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household, housing market, and urban economy character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11 independent variables that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ones in previous studies and could explain local characteristics and a dependent variable that was the percentage of reverse mortgage subscrip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ercentage of elderly households, changing rate of house sale prices, and Gyeongin dummy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on reverse mortgage subscription. The percentage of multi-child household, percentage of single-person household, living space per person, and percentage of Babyboomers had negative(-) effects on i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bscription rate was high in areas where elderly households in large numbers, where the house sale prices were rising, and which were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Elderly households had high correlations with the subscription rate since the basic subjects of reverse mortgage subscription were the elderly aged 60 or older. The rising house sale prices cause an increase to monthly payments of reverse mortgage, thus having impacts on the rising subscription rate.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is characterized by high house prices and good population structure and financial infrastructure, thus having positive(+) impacts on reverse mortgage subscription.
      Second, the subscription rate was low in areas of many multi-child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s, large living space per person, and many Babyboomers. When parents have multiple children that are against reverse mortgage subscription, they tend to have higher inheritance motivation(intention). The subscription rate was low in non-Seoul metropolitan regions with a statistically high percentage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rising percentage of single-person households lowers the rate of ownership of one's own house and thus the subscription rate. In general, there is a proportionate relation between living space and house prices. When a household has high economic power, it has a small need for reverse mortgage subscription. Babyboomers were 55-61 years old as of 2016 and had limitations with the sample size of the subscription aged 60 or older, thus having negative(-) impacts on the subscription rat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of lo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reverse mortgage subscription, the study provid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higher subscription rate:
      First, data of Korea Housing Finance Corporation shows that the percentage of reverse mortgage subscribers was 29.9%, 33.8%, and 6.2%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respectively, at the end of October, 2018. They accounted for approximately 70% of the entire subscribers, which points to the concent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sales bases in non-Seoul metropolitan regions(using 93 branches of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round the nation) and prepare community-based promotional measures in order to relieve the regional concentration of reverse mortgage and increase benefits for the elderly living in non-Seoul metropolitan regions. It is also needed to apply weights(special rates by the area) to the mortgage house prices in non-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the age criteria for reverse mortgage subscription based on special linkage between farmland pension holders(currently 65 years old) and reverse mortgage subscribers.
      Seco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ported that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d by 152.6% from 2,220,000 in 2000 to 5,620,000 in 2017 and was on the constant rise in recent years with 27.2% in 2015, 27.9% in 2016, and 28.6% in 2017. Given the average retirement age(53-54) among common worker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average age(72) of reverse mortgage subscription, and 21.2%(512,000) of single-person households against the common households of 55-59 years old, there is a need to search for plans to mitigate and adjust the subscription age by setting special subscription criteria for reverse mortgag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nd expanding the current scope of reverse mortgage subscribers based on a spouse of 60 years old or older in a coup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은 인구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고령 인구의 수와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8년 7월 1일 기준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인구 수는 738만 1,000명...

      한국은 인구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고령 인구의 수와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8년 7월 1일 기준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인구 수는 738만 1,000명으로 전체인구 수 5,163만 5,000명의 약 14.3%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빈곤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2016년 중위소득 50% 기준으로 한국 65세 이상 고령 노인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43.7%에 이르러 OECD 회원국 중 1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고령화 진행과 함께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 또한 노후소득 불안정 측면에서 60세 이상 은퇴 가구 실물자산 비율이 약 81%에 달하고 있으며 생활비 충당 정도는 여유 있다고 응답한 가구가 8.0%인 반면 부족하다고 응답한 가구는 62.3%에 달하고 있고 생활비 마련 방법에서도 공적수혜금 30.4%, 가족의 수입 및 자녀・친지 등의 용돈 27.9%, 공적연금 27.2%, 기타 10.3%, 개인저축액 및 사적연금 4.2%를 통해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질적인 측면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162개 시·군을 대상으로 주택연금 가입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 및 가구특성 현황, 주택시장특성 현황, 도시경제특성 현황을 분석하고 선행 연구에서 유의한 변수로 도출된 변수 중 지역별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11개의 독립 변수 선정 및 주택연금 가입비율을 종속 변수로 선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주택연금 가입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고령가구비율, 주택매매가격변동률, 경인더미로 나타났다. 반면 주택연금 가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다자녀가구비율, 1인 가구비율, 주택1인당 주거면적, 베이비부머비율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가구가 많은 지역, 주택매매가격이 상승하는 지역, 수도권 지역이 가입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령가구의 경우 주택연금 가입의 기본대상인 연령(만 60세 이상)에 해당되므로 가입비율과 상관관계가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주택가격의 상승은 주택연금 월지급금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가입비율의 상승에 영향이 있다고 보이고 수도권 지역의 경우 높은 주택가격과 인구 구조 및 금융 인프라 등이 양호하여 주택연금 가입에 정(+) 방향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다자녀가구가 많은 지역, 1인 가구가 많은 지역, 주택1인당 주거 면적이 큰 지역, 베이비부머세대가 많은 지역이 가입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자녀가구의 경우 자녀의 수가 많으면 자녀의 주택연금 가입반대로 부모의 상속동기(의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1인 가구비율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비수도권 지역의 가입비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1인 가구비율이 상승하면 자가 보유율이 하락하여 가입비율의 동반 하락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주거면적과 주택가격은 비례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경제력이 높은 가구는 주택연금 가입의 필요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베이비부머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분석대상인 베이비부머의 연령이 2016년 기준 만 55세-61세로 가입대상인 만 60세 이상 표본 수에 제한되는 한계가 있어 가입비율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주택연금 가입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별 특성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가입비율 제고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주택금융공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2018년 10월 말 기준으로 주택연금 가입자가 서울 29.9%, 경기 33.8%, 인천 6.2%로 전체 가입자의 약 70%를 차지해 수도권 지역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연금의 지역 편중 현상을 완화하고 비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고령자들의 혜택을 늘리기 위해서는 비수도권 지역의 영업거점 확대(한국농어촌공사 전국 93개 지사 활용) 및 지역 밀착형 홍보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수도권 지역 담보주택가격에 대한 가중치(지역별 특례 요율) 적용, 농지연금 가입자(현행 만 65세)의 주택연금 가입연동 특례 기준 마련을 통한 주택연금 가입연령 기준 적용 등의 대책이 요구된다.
      둘째, 통계청 보도 자료에 따르면 1인 가구의 변화는 2000년 222만 가구였던 것이 2017년 562만 가구로 152.6% 증가하였으며 최근 연도별로는 2015년 27.2%, 2016년 27.9%, 2017년 28.6%로 지속적인 증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사회의 일반적인 직장인 평균 퇴직연령(53-54세), 주택연금 가입자 평균 연령(72세), 일반가구 대비 55-59세 연령대 1인 가구 비율 21.2%, 512 천명 등을 감안할 때 현행 부부 중 1명이 만 60세 이상으로 되어있는 주택연금 가입대상 범위를 1인 가구에 대해 주택연금 가입특례 기준 마련을 통한 가입연령 완화 조정 등의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가. 연구의 배경 1
      • 나. 연구의 목적 5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6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가. 연구의 배경 1
      • 나. 연구의 목적 5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6
      • 가. 연구의 범위 6
      • 나. 연구의 방법 7
      • 3. 논문의 구성 7
      • Ⅱ. 주택연금 이론적 기초와 선행 연구 고찰 11
      • 1. 주택연금의 의의 11
      • 2. 주택연금 관련 선행 연구 고찰 12
      • 가. 가구 특성에 관한 선행 연구 20
      • 나. 주택시장 특성에 관한 선행 연구 28
      • 다. 도시경제 특성에 관한 선행 연구 34
      • Ⅲ. 주택연금제도와 시장 현황 분석 43
      • 1. 주택연금의 제도적 특성 43
      • 가. 외국 43
      • 나. 한국 55
      • 2. 국내 주택연금 시장의 현황 61
      • 가. 지역별 시장규모 61
      • 나. 가입가구의 특성 65
      • 3. 지역별 주택연금 가입 특성 현황 72
      • 가. 지역별 가구 특성 현황 72
      • 나. 지역별 주택시장 특성 현황 83
      • 다. 지역별 도시경제 특성 현황 92
      • 라. 지역별 주택연금 가입비율 특성 현황 100
      • Ⅳ. 주택연금 가입 특성 실증 분석 109
      • 1. 변수의 구성 및 기초 통계량 분석 109
      • 가. 변수의 선정 및 구성 109
      • 나. 변수의 기초 통계량 분석 115
      • 다.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 117
      • 2. 주택연금 가입비율 다중회귀분석 및 결과 121
      • 가. 주택연금 가입비율 다중회귀분석 121
      • 나. 주택연금 가입비율 다중회귀분석 결과 122
      • Ⅴ. 결 론 131
      • 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131
      • 가. 회귀분석 결과 요약 131
      • 나. 연구의 시사점 135
      •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136
      • 참고문헌 138
      • 국문초록 148
      • 감사의 글 15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류근관, "「통계학」", 법문사, 2015

      2 이학식, 임지훈, "“SPSS 24 매뉴얼”", 집현재, 2017

      3 강종만, 이석호, "「역모기지 활성화 방안」", 한국금융연구원, 2006

      4 여윤경, "“역모기지의 노후소득 효과”", 소비자학연구, 17(1), pp.177-197, 2006

      5 김미화, "「지역별 주택연금 가입현황」", 보험연구원, 2018

      6 이학식,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회귀분석", 집현재, 2012

      7 변준석, "「주택연금 가입가구 특성분석」",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연구원, 2016

      8 김규림, 전용일, "“주택연금 가입가구의 특성 분석”", 연금연구, 5(2), pp.87-111, 2015

      9 안상모, "「주택연금 가입의 지역적 결정요인」", 한국감정원 부동산연구원, 2014

      10 강영신, 고제헌, "「최근 일본 민간 역모기지 상품 특징」",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연구원, 2018

      1 류근관, "「통계학」", 법문사, 2015

      2 이학식, 임지훈, "“SPSS 24 매뉴얼”", 집현재, 2017

      3 강종만, 이석호, "「역모기지 활성화 방안」", 한국금융연구원, 2006

      4 여윤경, "“역모기지의 노후소득 효과”", 소비자학연구, 17(1), pp.177-197, 2006

      5 김미화, "「지역별 주택연금 가입현황」", 보험연구원, 2018

      6 이학식,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회귀분석", 집현재, 2012

      7 변준석, "「주택연금 가입가구 특성분석」",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연구원, 2016

      8 김규림, 전용일, "“주택연금 가입가구의 특성 분석”", 연금연구, 5(2), pp.87-111, 2015

      9 안상모, "「주택연금 가입의 지역적 결정요인」", 한국감정원 부동산연구원, 2014

      10 강영신, 고제헌, "「최근 일본 민간 역모기지 상품 특징」",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연구원, 2018

      11 최재헌, "“한국 인구고령화의 지역적 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2), pp.233-246, 2013

      12 김경환, 조무상, 김준형, "“우리나라 재산보유세 부담수준의 분석”", 한국재정학 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012

      13 안상모, "“주택연금 가입과 상품선택의 결정요인”",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14 오신휘, "「주택연금제도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15 김은실, 변병도, "「해외 주요국의 역모기지 제도 최신 현황」", 한국주택금융 공사 주택금융연구원, 2017

      16 김안나, "“주택연금제도의 노인빈곤 완화 효과 분석”", 사회복지정책, 30(0), pp.371-391, 2007

      17 이진경, "“주택연금의 노인가구 빈곤 완화 효과 분석”", 부동산연구, 24(4), pp.91-101, 2014

      18 신상수, "“베이비붐세대 노후대책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인간복지실천 연구, 16, pp.151-183, 2016

      19 노민지, 유선종, "“주택연금 계약해지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19(2), pp.57-75, 2013

      20 김유미, 전성주, 박선영,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주택연금 활성화 방안」", 보험연구원, 2015

      21 강미나, 이정우, 이용하, 윤석명, 김성근, 고경표, "「다양한 노인빈곤지표 산정 에 관한 연구(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22 김종대, "“아파트 가격상승의 지역별 특성에 관한 연구”", 영산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2017

      23 안상모, 정준호, 이종아, "“주택연금 상품 선택의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주택 연구, 21(1), pp.127-154, 2013

      24 구본영, 유선종, "“역모기지제도가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한국노년학, 25(3), pp.23-40, 2005

      25 김정주, 마승렬, "“역주택저당대출 수요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46, pp.207-225, 2011

      26 유선종, 이석희, "“주택연금 계약특성이 월지급금에 미치는 영향”", 국토연구, 77, pp.175-188, 2013

      27 고제헌, "「주택연금 가입자 수도권 집중현상에 대한 고찰」", 한국주택금융공 사 주택금융연구원, 2015

      28 고제헌, "「일본의 역모기지 시장은 왜 활성화되지 않았나?」", 한국주택금융공 사 주택금융연구원, 2016

      29 민인식, 조 만, "“역모기지의 Cross-over Risk와 잠재수요에 관한 연구”", 주택연 구, 17(3), pp.161-187, 2009

      30 강성호, 류건식, "「주택연금의 노후소득보장 수준 평가와 향후과제」", 보험연구원, 2016

      31 김수민, 이달님, 신승우, "“고령가구의 주택연금 가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보, 28(2), pp.309-323, 2015

      32 고성수, 함상문, "“고령화시대에 대비한 역모기지 활용에 관한 연구”", KIF working paper, 2013(2), pp.1-38, 2013

      33 이경원, "“베이비붐 세대의 주택연금 제도에 대한 인식조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34 김동겸, "「우리나라 가구구조 변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 보험연구원, 2017

      35 백은영, "“베이비부머의 은퇴 준비와 준비 유형 결정요인 분석”", 사회보 장연구, 27(2), pp.357-383, 2011

      36 우윤석, "“세대별 자가선택요인 분석을 통한 자가점유 제고방안”", 국토연구, 85, pp.157-174, 2015

      37 김정주, "“역모기지 수요 변화의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서울도시연 구, 14(2), pp.13-33, 2013

      38 김상현, "“고령화에 따른 주택연금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영 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39 정준호, 조병도,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역모기지의 경제파급효과 분석”", 응용 경제, 13(2), pp.359-387, 2011

      40 임미화, "“수도권 주택시장변화가 주택연금공급액에 미치는 영향”", 부동 산 도시연구, 7(2), pp.31-40, 2015

      41 신승우, 유승동, "“주택연금 가입 주택 포트폴리오 가격지수에 관한 연 구”", 국토연구, 76, pp.3-13, 2013

      42 최윤근, "“자가 점유에 영향을 미치는 주택 및 도시특성 분석 연구”", 영산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43 김홍대, 진창하, "“주택연금가입에 따른 고령가구의 소득불평등 개선 효과”", 부동산학연구, 20(1), pp.57-77, 2014

      44 최은희, "“노후생활 보장을 위한 역저당제도의 잠재수요 특성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45 김갑성, 윤성진, 김지선, "“지역특성을 고려한 주택연금 제도개선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50(2), pp.119-141, 2015

      46 김도균, 유보배, "「주택연금에 대한 주관적 인식 조사와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경기연구원, 2017

      47 마승렬, 조덕호, "“Economic Feasibility of Reverse Mortgage Annuity for the Elderly Housing Welfare”", 주택연구, 12(1), pp.175-199, 2004

      48 전경구, "“연금이 역모기지에 대한 태도와 가입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학보, 55, pp.183-196, 2013

      49 이종의, ", “로짓모형을 활용한 역모기지 상품 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 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50 김지표, "“주성분분석을 활용한 중국 행정구역별 역모기지 도입 순위 분 석”", 대한산업공학회지, 40(2), pp.205-214, 2014

      51 방송희, 조 만, 이용만, "「자녀세대 경제력과 주택 상속동기에 따른 주택연금 가입 의향 분석」",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연구원, 2017

      52 임유선, "“주택가격상승률과 지역요인이 주택연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53 김신우, 우윤석, "“고령화시대 자산기반 복지를 위한 주택연금 가입의사 결정요인 연구”", 사회과학논총, 18, pp.79-94, 2016

      54 김선주, 유선종, "“역모기지 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민간 역모기지 이용자 특성 분석”", 국토연구, 50, pp.125-146, 2006

      55 성태제, "「SPSS/AMOS/HLM을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기술통계에서 구 조방정식모형까지-」", (주)학지사, 2017

      56 이재송, 최 열, "“고령층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주택연금 이용 및 만 족도 결정요인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7(2), pp.437-444, 2017

      57 박상수, 이충기, "“인구고령화와 주택연금 수요 분석: 일반화된 순서형 프 로빗 모형을 적용하여”", 경제학연구, 62(2), pp.27-58, 2014

      58 김진영, 최형석, 민대기, "“자산구성과 노후준비 인식 수준에 따른 주택연금 가입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32(2), pp.257-281, 2017

      59 김형준, 조 훈, 류두진, "“주택연금 유동화증권에 관한 연구 - 구조설계 및 예상현금흐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증권학회지, 47(2), pp.327-347, 2018

      60 노승한, 임하나, 신승우, "“지역별 주택연금 가입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시・군・구를 중심으로-”", 부동산연구, 26(3), pp.39-47, 2016

      61 김영훈, 이선형, "“수도권 노인의 주택연금제도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예비 노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2(3), pp.73-101, 2009

      62 이유진, "“주택연금이 노인가구의 노후소득보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수도 권과 비수도권 간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63 강성호, 김경아, "“역모기지 활용에 따른 가구유형별 노후소득보장 및 빈곤 완화 효과분석-거주주택 및 순자산의 역모기지 전환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4(3), pp.171-198,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