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원 파견교사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지원 실행연구 = Action research on Support for Regional Linked Curriculum by Teachers Dispatched to Graduate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02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on research process on support of regionally-linked curriculum in schools conducted by graduate school dispatched teachers, and to examine the role of dispatched teachers in regional educational cooper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on research process on support of regionally-linked curriculum in schools conducted by graduate school dispatched teachers, and to examine the role of dispatched teachers in regional educational cooper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practice research on regionally-connected education. To this end, the research team composed of trainees dispatched to the graduate school carried out support activities to activate regional-linked educational activities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and to encourage teachers to step outside the school and connect with the village. Specific support activities include provision of regional-linked curriculum materials, online map production (local educational resource mapping), connection of villagers, and support for village feasts. As a result of this action research, the support for regional-linked educational activities by dispatched teachers not only helped schools to operate regionally connected curriculum, bu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dispatched teachers to support unit schools and grow as experts in local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f dispatched teachers. First, the school support activities of dispatched teachers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role of dispatched teachers and rethink the meaning of graduate school training. Second, it is meaningful as an activity that helped to improve school education activities by matching the areas that needed support from local schools with the expertise that graduate school dispatched teachers have accumulated as teachers. Third,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f dispatched teachers has the meaning of linking the parts learned at the graduate school with the school fie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원 파견교사로 구성된 연구진이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과정과 학교와 마을의 연계를 지원하여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활동 개선에 목적을 둔 실행연구이다. 연구진은 단위학교 ...

      본 연구는 대학원 파견교사로 구성된 연구진이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과정과 학교와 마을의 연계를 지원하여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활동 개선에 목적을 둔 실행연구이다. 연구진은 단위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지역연계 교육활동을 활성화하고, 교사들이 학교 밖 마을과 연계하는 활동을 지원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진은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연계 교육과정 제공, 온라인 지도 제작(지역 교육자원 지도화), 마을주민과의 연결 지원 등의 활동을 학교 현장 교사들과 함께 실행하였다. 실행연구 결과 파견교사의 지역연계 교육활동 지원이 학교가 지역연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파견교사가 단위학교를 지원하고 지역교육 전문가로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파견교사의 참여 실행연구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파견교사의 학교 지원 활동은 파견교사의 역할과 파견연수의 의미를 새롭게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대학원 파견교사들이 교사로서 쌓아온 전문성과 지역 학교의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 매칭되어 학교 교육활동 개선에 도움을 준 활동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셋째, 파견교사의 참여실행연구는 대학원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과 더욱 긴밀하게 연계시킬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현숙, "혁신교육지구 핵심 콘텐츠로서 마을교육공동체 구축 및 운영 과정에 관한 참여적 실행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1

      2 양병찬, "한국 마을교육공동체 운동과 정책의 상호작용" 한국평생교육학회 24 (24): 125-152, 2018

      3 조윤정, "학습생태계 확장을 위한 마을교육과정의 개념과 실천방안" 경기교육연구원 2017

      4 "출근·수업 안 하고 2년간 대학원 다니는 교사들"

      5 강미영, "초등학교 교실공동체 기반의 사회정서교육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6 임경진, "초등미술교육전공 경험이 초등교사의 미술교육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7 유예진, "초등교사의 체육전공 석사과정 파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8 김현지, "초등교사의 음악교과 전문성 탐구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9 조윤정, "청소년 주도 마을교육공동체 사례 연구: 몽실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9 (29): 199-227, 2018

      10 김종서, "지역사회학교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91

      1 이현숙, "혁신교육지구 핵심 콘텐츠로서 마을교육공동체 구축 및 운영 과정에 관한 참여적 실행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1

      2 양병찬, "한국 마을교육공동체 운동과 정책의 상호작용" 한국평생교육학회 24 (24): 125-152, 2018

      3 조윤정, "학습생태계 확장을 위한 마을교육과정의 개념과 실천방안" 경기교육연구원 2017

      4 "출근·수업 안 하고 2년간 대학원 다니는 교사들"

      5 강미영, "초등학교 교실공동체 기반의 사회정서교육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6 임경진, "초등미술교육전공 경험이 초등교사의 미술교육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7 유예진, "초등교사의 체육전공 석사과정 파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8 김현지, "초등교사의 음악교과 전문성 탐구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9 조윤정, "청소년 주도 마을교육공동체 사례 연구: 몽실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9 (29): 199-227, 2018

      10 김종서, "지역사회학교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91

      11 백윤애,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시흥시 사례를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2016

      12 김용련, "지역사회 기반 교육공동체 구축 원리에 대한 탐색적 접근:복잡성 과학, 사회적 자본, 교육거버넌스 원리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259-287, 2015

      13 최현진, "지역 관점의 원주 현대사 이해와 역사 학습"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14 김선희 ; 최윤정 ; 이혜은, "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학교 차원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교육연구소 26 (26): 307-335, 2020

      15 이미정 ; 신지연, "유치원 원격수업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4 (24): 277-302, 2020

      16 "원주교육지원청 누리집"

      17 최윤자 ; 손현동,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교우관계 향상을 위한 또래교수 실행연구" 과학교육연구소 56 (56): 43-62, 2017

      18 김영미 ; 이혁규 ; 이용숙 ; 김영천 ; 조덕주,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한 연구와 교육실천의 연계성 강화 -교육대학원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2 (12): 363-402, 2004

      19 마정건, "사범대학 위상의 발전적 정립" 13 : 1-12, 1997

      20 김은정 ; 김현진 ; 오보람, "빈곤 한부모여성 자조집단의 변화에 관한참여실행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5-37, 2010

      21 김영철, "미래사회의 마을교육공동체 발전 방향" 경기도교육연구원 2017

      22 권다남 ; 김대현,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전개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4 (4): 1-33, 2022

      23 이인회 ; 강은주, "마을교육공동체 성장 과정에서 마을교육과정 운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교육연구소 43 (43): 35-65, 2022

      24 서용선, "마을교육공동체 개념 정립과 정책 방향 수립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25 안아영, "대학원 파견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 교사의 미술교육전문성 신장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35 (35): 113-133, 2021

      26 양병찬, "농촌학교와 지역의 협력을 통한 지역교육공동체의 형성 -충남 홍동지역 '풀무교육공동체'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129-151, 2008

      27 강지영 ; 소경희, "국내 교육관련 실행연구(action research) 동향 분석" 교육연구소 12 (12): 197-224, 2011

      28 김병찬, "교직과목 수업에서 ‘저널쓰기’의 의미 탐색 :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과목 수업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85-313, 2009

      29 박수정 ; 이진권, "교육청 협약 교육대학원 정책의 성과 분석 : 혁신교육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9 (39): 273-296, 2022

      30 최의창,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1998

      31 이수진, "교육대학원 <음악 교재연구 및 지도법>의 수업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미래음악교육학회 6 (6): 43-69, 2021

      32 이남섭, "교육과정 지역화를 통한 지역 시민성 함양 프로그램 구안 :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33 정영희 ; 신세인 ; 이준기, "교사와 학생과 연구자 사이에서: 석사과정 파견 과학교사들의 연수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교육연구원 31 (31): 1-35, 2015

      34 강원도교육청,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특별연수 지원 안내"

      35 한경호, "[나의 목회 수기] 마을과 함께 가는 농촌목회의 여정." 751 : 48-58, 2021

      36 Kemmis, S., "The action research planner" Deakin University Press 1988

      37 Anwaruddin, S. M., "Teachers’ engagement with educational research: Toward a conceptual framework for locally-based interpretive communities" 23 (23): 1-25, 2015

      38 Holtta, S., "Regional cooperation in post-secondary education in Europe - the case of Nordic" 2 : 31-46, 1999

      39 Mader, M., "Monitoring networking betwee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and regional actors" 49 : 105-113, 2013

      40 "H중학교 누리집"

      41 Tandon, S. D., "Constructing a Tree for Community Leaders : Contexts and Processes in Collaborative Inquiry" 26 (26): 669-696, 1998

      42 임혜준 ; 유은정 ; 김찬종 ; 최승언, "3년간의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과학교사의 교수실행 변화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21-1150, 2019

      43 교육부, "2022년 교원 연수 중점 추진방향"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