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설과 영화를 활용한 역사교육 사례 연구 = An Example of the History Education Using Novel and Film Works as a Supplementary Tex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784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문자로 쓰인 문학 작품과 영상으로 구성된 영화 작품을 활용한 역사 교육 방법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다니엘 호손의 소설 『주홍글씨』와 롤랑 조페 감독의 영화 〈...

      이 논문은 문자로 쓰인 문학 작품과 영상으로 구성된 영화 작품을 활용한 역사 교육 방법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다니엘 호손의 소설 『주홍글씨』와 롤랑 조페 감독의 영화 〈주홍 글씨〉는 각각의 영역에서 가치를 인정받은 작품임은 두말할 나위도 없지만 또 한편으로는 17세기 청교도 공동체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역사 텍스트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고에서는 청교도 공동체 사회의 역사 가운데 배타적이고 이중적인 요소를 교육함에 있어서 소설과 영화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유럽 대륙에서 종교 개혁이 한창이던 17세기 초반에 신대륙으로 건너간 청교도들은 뉴잉글랜드 지방에 종교 공동체를 건설했다. 그들이 표방한 신정일치의 공동체 사회는 애초의 의도와는 달리 개인을 억압하는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모습이었다.
      이와 같은 역사적 사실은 소설과 영화 작품에서도 소개되고 있다. 나다니엘 호손의 소설 『주홍 글씨』와 롤랑 조페 감독의 영화 〈주홍 글씨〉가 바로 그것이다. 이 두 작품은 서로의 차이는 있지만 주인공 헤스터와 딤즈데일을 통해 배타적이며 이중적인 모습으로 세속화된 청교도 사회를 보여준다.
      이렇듯 소설과 영화는 장르 특성상 사실 묘사와 영상 이미지를 통하여 당시의 역사적 사실을 형상화하여 전달하기 때문에 역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단편적인 사실 전달하는 것으로 그치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승전결의 전개 상황과 근원적인 문제를 다루기에는 미흡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 교육 영역에서 소설과 영화에 관심을 두어야 할 필요는 있다. 교육 현장에서 문학 매체와 영상 매체를 활용함으로써 이미지에 익숙한 영상 세대 학생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고 이는 곧 학습 효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사 교육에 일익을 담당하는 보조 텍스트로서 소설과 영화를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how teachers in the history education class can use novel and film work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Puritanism and the Puritanic community in America more efficiently and interestingly. The novel and film texts ...

      This paper examines how teachers in the history education class can use novel and film work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Puritanism and the Puritanic community in America more efficiently and interestingly. The novel and film texts I discuss in this article are the works of Nathaniel Hawthorne and Roland Joffe, whose title is The Scarlet Letter .
      The main point of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each part deals with the necessity and the examples to use novel and film texts in history education class as a supplementary text. Hawthorne’s novel text describes its ambivalence through Puritanic community that advocates for the cause of godliness and religious passion by purifying the established church. But the true picture of the Puritanic community was not consistent with their intention. Hawthorne’s novel text shows not only the conflicts and repressions but also the duality of the Puritanic community by the hypocrisies that the characters reveal. Similarly, Roland Joffe’s film text shows a phase of the Puritanic community without disguise. By adapting the original work and dealing with the sin of adultery, which breaks away from God’s Providence, Roland Joffe reveals the real lives of the Puritanical ancestors in the New England region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change of the community,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characters of his work.
      As above-mentioned, the historical realities of the Puritanical community of New England have been found in novel and film works of The Scarlet Letter. But these novel and film works are not able to be used as the main text in studying history because they just have depicted the historical realities fragmentarily. Nevertheless, they can be used as a supplementary text in the history education class because they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outline of the historical reality. Thus, the study attempting to find out the teaching method using novel and film texts in the history education class needs to be continued in succes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17세기 신대륙의 청교도 공동체
      • Ⅲ. 역사 교육 텍스트로서 소설과 영화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17세기 신대륙의 청교도 공동체
      • Ⅲ. 역사 교육 텍스트로서 소설과 영화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종국, "호손 문학의 연구" 신아사 2001

      2 너새니얼 호손, "주홍 글자" 민음사 2007

      3 롤랑 조페, "영화 <주홍 글씨>"

      4 강우성, "영미문학의 길잡이2" 창비 2016

      5 민진영, "세상이야기" 신아사 2011

      6 성경준, "미국소설 강의에서 영화텍스트의 사용" 1 (1): 2000

      7 태혜숙, "미국문화의 이해" 중명 1997

      8 로버트 M. 크런든, "미국문화의 이해" 대한교과서 1996

      9 임우진, "미국문학기행"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6

      10 김보희, "문학과 영상 강의 사례" 1 (1): 2000

      1 손종국, "호손 문학의 연구" 신아사 2001

      2 너새니얼 호손, "주홍 글자" 민음사 2007

      3 롤랑 조페, "영화 <주홍 글씨>"

      4 강우성, "영미문학의 길잡이2" 창비 2016

      5 민진영, "세상이야기" 신아사 2011

      6 성경준, "미국소설 강의에서 영화텍스트의 사용" 1 (1): 2000

      7 태혜숙, "미국문화의 이해" 중명 1997

      8 로버트 M. 크런든, "미국문화의 이해" 대한교과서 1996

      9 임우진, "미국문학기행"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6

      10 김보희, "문학과 영상 강의 사례" 1 (1): 2000

      11 강석진, "뉴잉글랜드 역사의 재생산:『주홍 글자』의 경우" 한국영미어문학회 68 : 53-67, 2003

      12 Chambers M., "The Western Experience vol.1" McGraw-Hill 1999

      13 Hawthorne, N., "The Scarlet Letter" Norton 1978

      14 Bradley, "The American Tradition in Literature" Norton 1962

      15 Divine R. A., "The American Story vol.1" Longman 2002

      16 배한극, "17세기 뉴잉글랜드 청교도의 학문과 교육" 12 :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무악실학회 -> 역사실학회
      영문명 : Mooak Silhakhoe : The Historical Society Of Mooak Silhak -> Yeoksa Silhakhoe: The Historical Society of Yeoksa Silh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9 1.438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