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학 기초학력 미달 여부가 중학생의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교특성에 따른 차별적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86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과에서의 기초학력미달 여부를 학생들이 달성해야 하는 최소한의 성취기준으로 설정하고 학생 및 학교 수준 공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중학생의 기초학력과 수업태...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과에서의 기초학력미달 여부를 학생들이 달성해야 하는 최소한의 성취기준으로 설정하고 학생 및 학교 수준 공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중학생의 기초학력과 수업태도와의 인과적 관계를 면밀하게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의 수학 기초학력 미달 여부에 의해 집단 간 존재할 수 있는 학생 및 학교 특성의 체계적 차이를 줄이고자 다층경향점수의 역 확률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 초등학교 5학년 패널 3차년도, 4차년도 및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수학 기초학력 미달여부가 중학생의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기초학력 미달여부가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학교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및 학교 수준 공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수학 기초학력 미달 여부는 중학생의 수업태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수준의 변수를 살펴보면 학업적 자아개념, 자기관리 역량, 수업집중도, 수업이해도,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대도시 여부, 상호작용 수업방식이 중학생의 수업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초학력미달 여부와 수업태도와의 관계에서 학교 특성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살펴본 결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 정도가 유의한 차별적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수업태도를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형성하기 위한 교육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of math achievement on their class attitudes. Data from the 3rd, 4th, and 5th year taken from the KELS 2013 w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of math achievement on their class attitudes. Data from the 3rd, 4th, and 5th year taken from the KELS 2013 were analyzed using the inverse probability treatment weight method to increase causal inference as well as to eliminate any sample selection bia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controlling for student and school level covariates,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of math achievemen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students’ class attitudes.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e.g., academic self-concept, self-control competency, class concentration, class understanding), school-life characteristics (e.g.,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friends) as well as school characteristics (e.g., big city, interactive teaching method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class attitudes. Third, the degree of activation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ithin the school had a significant discriminatory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of achievement and class attitud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promoting middle school students’ class attitudes in a positive and desirable dire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개관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초록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개관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혜원, "혁신학교와 일반 학교의 교사효능감 영향 요인 탐색: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28 (28): 351-374, 2018

      2 박경호, "한국교육종단연구2013(Ⅷ): 조사개요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20

      3 김희경, "한국과 미국의 기초학력보장 정책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4 교육부, "한 아이도 놓치지 않고 기초학력 책임진다"

      5 길형석, "학습자중심의 교과교육을 위한 철학적 연구" 1 (1): 1-27, 2001

      6 정문주,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자의 수업방식이 학업성취 향상요인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2 (22): 129-150, 2015

      7 김주영,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사특성이 학생들의 수업태도,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5 (65): 731-758, 2017

      8 김지은, "학력향상 중점학교 사업의 기초학력 향상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17-139, 2012

      9 김달효, "학급규모에 대한 주요 쟁점 분석" 교육연구소 19 (19): 5-27, 2013

      10 이아진, "학급규모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6 (26): 1-26, 2017

      1 나혜원, "혁신학교와 일반 학교의 교사효능감 영향 요인 탐색: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28 (28): 351-374, 2018

      2 박경호, "한국교육종단연구2013(Ⅷ): 조사개요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20

      3 김희경, "한국과 미국의 기초학력보장 정책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4 교육부, "한 아이도 놓치지 않고 기초학력 책임진다"

      5 길형석, "학습자중심의 교과교육을 위한 철학적 연구" 1 (1): 1-27, 2001

      6 정문주,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자의 수업방식이 학업성취 향상요인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2 (22): 129-150, 2015

      7 김주영,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사특성이 학생들의 수업태도,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5 (65): 731-758, 2017

      8 김지은, "학력향상 중점학교 사업의 기초학력 향상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17-139, 2012

      9 김달효, "학급규모에 대한 주요 쟁점 분석" 교육연구소 19 (19): 5-27, 2013

      10 이아진, "학급규모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6 (26): 1-26, 2017

      11 주철안, "학교조직 특성이 학생의 학업성취와 정의적 성장에 미치는 효과분석: 학교조직 진단 영역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3 (13): 57-80, 2012

      12 김준엽, "학교내 학력격차 추이분석 및 학교특성간 차이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959-980, 2013

      13 이현숙, "학교 특성, 과정 변인, 학업 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317-344, 2011

      14 박세진,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학생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에 대한 다층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8 (28): 499-522, 2015

      15 정다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유형별 학습자 특성 및 심리적 환경과의 관계 분석" 한국여성심리학회 20 (20): 93-113, 2015

      16 박한숙, "초등 자기관리 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3 (3): 1-18, 2009

      17 박선화,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특성 및 영향 요인" 대한수학교육학회 13 (13): 697-716, 2011

      18 오중근,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배려가 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22 (22): 1-14, 2017

      19 조홍식, "체육수업에서 교사-학생 관계가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7 (17): 607-618, 2008

      20 조기희, "체육수업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실천 과정과 효과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21 김봉세, "지시적 수업과 비지시적 수업이 학습부진아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417-436, 2012

      22 김양분, "중학생의 학업성취 변화 관련 요인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44 (44): 33-61, 2017

      23 조현철, "중학생의 학습무동기에 따른 학습태도,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적에 대한 효과" 교육종합연구원 11 (11): 53-74, 2013

      24 이주영,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시간과 학습전략간의 관계: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827-844, 2019

      25 전창완, "중ㆍ고등학생의 주관적 수업 태도와 학업 성적의 상호 관계" 과학교육연구소 53 (53): 204-219, 2014

      26 김주영,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여부에 따른 교사협력정도, 수업개선활동,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 비교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57 (57): 1-15, 2018

      27 권재기, "일반계 고등학교의 기초학력미달 변화에 따른 학교유형 분류 및 종단적 변화"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1037-1066, 2013

      28 송경오,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참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부모 및 학교의 지원 변인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03-124, 2009

      29 박희진, "사회자본의 규범적 기능 탐색: 대학생의 강의태도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7 (27): 27-48, 2017

      30 임혜정, "동적 패널모형을 이용한 수학 학업성취도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27 (27): 55-86, 2017

      31 강상진, "다층모형" 학지사 2016

      32 이현숙, "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교육 맥락변인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477-506, 2013

      33 이영주, "기초학력과 기초학력 미달 초등학생들의 국가수준 영어과 학업성취도 평가 수행 비교"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8 (18): 5-25, 2012

      34 송종호, "교수의 신뢰성과 매력성이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략마케팅학회 19 (19): 79-96, 2011

      35 박주호, "교사협력활동과 수업전문성 효과 인식의 관계에서 수업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42 (42): 81-105, 2015

      36 배정현, "교사학습공동체 효과 분석 : 경기도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7 (37): 309-338, 2020

      37 이주영, "교사학습공동체 풍토와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 교사소진의 구조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7 (37): 109-134, 2020

      38 김난옥, "교사의 특성과 피드백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29-151, 2018

      39 노현종, "교사의 숙제 피드백이 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과제가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28 (28): 879-902, 2015

      40 이선영, "교사의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이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4~고3 시기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9 (59): 709-722, 2020

      41 장지윤, "교사의 수업방식과 숙제 피드백이 학생의 수업태도, 수업 분위기, 만족도,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국어, 수학, 영어 교과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7 (57): 246-259, 2018

      42 서경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43-276, 2009

      43 김경희, "고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토대로 한 기초학력 보장 정책 성과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18): 283-311, 2015

      44 박종석, "경향점수를 활용한 남녀공학 효과 분석- 일반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139-162, 2014

      45 김경년, "가정환경 결손의 보상 측면에서 학습부진아 구제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1-31, 2011

      46 임혜정, "가정배경이 중학생의 수학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성장신념ㆍ교과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6 (26): 117-143, 2016

      47 Ridgeway, G., "twang: Toolkit for Weighting and Analysis of Nonequivalent Groups. R package version 1.6"

      48 Brookhart, M. A., "Variable selection for propensity score models" 163 (163): 1149-1156, 2006

      49 Rosebaum, P. R.,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 70 (70): 41-55, 1983

      50 Sergiovanni, T. J., "Supervision: A redefinition" McGraw Hill 2007

      51 Chapman, C., "Strong community, deep learning : Exploring the link" 42 (42): 217-230, 2005

      52 Conger, R., "Socioeconomic status, family processes, and individual development" 72 : 685-704, 2010

      53 Schunk, D. H.,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26 (26): 207-231, 1991

      54 Schwab, D. P., "Research methods for organizational studies" Lawrence Erlbaum 2005

      55 Kline, T. J., "Psychological testing: A practical approach to design and evaluation" Sage Publications 2005

      56 Westreich, D., "Propensity score estimation : Neural networks, support vector machines, decision trees(CART), and meta-classifiers as alternatives to logistic regression" 63 (63): 826-833, 2010

      57 Dempster, A. P., "Maximum likelihood from incomplete data via the EM algorithm" 39 (39): 1-38, 1977

      58 Stuart, E. A., "Matching methods for causal inference : A review and a look forward" 25 (25): 1-21, 2010

      59 Ho, D. E., "Matching as nonparametric preprocessing for reducing model dependence in parametric causal inference" 15 (15): 199-236, 2007

      60 Raudenbush, P. R.,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Sage 2002

      61 Bates, D., "Fitting Linear Mixed-Effects Models Using lme4" 67 (67): 1-48, 2015

      62 Hong, G., "Evaluating kindergarten retention policy : A case study of causal inference for multilevel observational data" 101 (101): 901-910, 2006

      63 Schneider, B., "Estimating causal effects using experimental and observational design" American Educational & Research Association 2007

      64 Devine, F., "Class practices: How parents help their children get good job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65 Cohen, J.,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3

      66 Austin, P. C., "An introduction to propensity score methods for reducing the effects of confounding in observational studies" 46 (46): 399-424, 2011

      67 박경호, "2020 한국교육종단연구: 고등학생의 교육 경험과 성장(Ⅱ)" 한국교육개발원 2020

      68 교육부,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청소년개발원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청소년연구
      외국어명 : Studies on Korean Yout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6 2.86 3.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3.84 3.58 4.967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