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현장전문가가 지각한 위기청소년 지원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군포시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86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위기청소년에게 지원서비스 및 상담을 진행하는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그들이 느끼는 위기청소년의 경험을 근거로 지원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위기청소년에게 지원서비스 및 상담을 진행하는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그들이 느끼는 위기청소년의 경험을 근거로 지원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군포시에서 청소년 보호서비스 및 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관련 기관의 현장전문가 6명을 선정하여 2020년 10월 27일에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사용한 인터뷰 질문은 연구진간 논의를 거쳐 도출한 반구조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에서 나타난 의미 있는 구절이나 문장을 찾아 중심개념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4개의 대주제와 9개의 하위주제, 11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째, ‘변화된 환경에서 발견된 청소년 위기의 심화’에서는 마음이 아프고 지친 청소년,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는 청소년과 코로나19로 더 심해진 부모-자녀 갈등이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상황에서 필요한 실제적 도움’은 내 방이 없는 집에서 온라인 학습하기와 관련한 지원과 정서적 및 경제적 지원이다. 셋째, ‘경제적 위기 및 가정해체 극복에 필요한 자립 지원’에서는 위기 상황에 맞서 진로 준비하기와 원가정과 분리를 통한 나를 찾기로 나타났다. 넷째, ‘적정하게 대응하기 위한 전문가의 협력 및 지원’으로는 따로 또 같은 현장전문가와 교사에 대한 협력 지원과 청소년을 지원하기 위해 다 함께 모여서 협력하기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취약가정에 대한 지원 방안과 청소년지원협의체에 대한 지원 및 민간단체 등과의 협력체계 구축 방안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상황에서 위기청소년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upport plan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youth at-risk for field experts who provide support services and counseling to youth at-risk during the COVID-19. Six field experts who are conducting youth protec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upport plan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youth at-risk for field experts who provide support services and counseling to youth at-risk during the COVID-19. Six field experts who are conducting youth protection services and counseling in Gunpo city were selected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on October 27, 2020. The interview questions took the form of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derived through discussion among the researchers. As a result of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central concepts by searching for meaningful phrases or sentences, 4 components, 9 sub-components, and 11 meaning units were derived. First, ‘the deepening of the youth at-risk found in the changed environment showed the youth who were sick and tired, the youth who did not know what to do, and the parent-child conflict that got worse due to COVID-19. Second, ‘practical help needed in the COVID-19 situation’ was support related to online learning at home without my room, as well as emotional and financial support. Third, ‘support for self-reliance necessary to overcome economic crisis and family disintegrations’ was found to be prepared for a career in the face of crisis and to find myself through separation from the original family. Fourth, ‘collaboration and support of experts to respond appropriately’ refers to cooperation and support for the field experts and teachers, and to gather together and cooperate to support youth.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were presented on support plans for vulnerable families, support for youth support councils, and ways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with private organiz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practical support plan that can help youth at-risk in the COVID-19 situ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초록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례, "학교에서 근무하는 전문상담사의 직무와 소진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7 (27): 171-202, 2020

      2 성남시청소년재단,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등 법적 감염병 확산에 따른 청소년활동의 대안과 전략" 1-14, 2020

      3 이정연, "코로나19와 교육: 학교구성원의 생활과 인식을중심으로" 경기도 교육연구원 2020

      4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코로나19로 바뀐 일상: 청소년, 보호자 체감도 조사및 대응방안" 1-14, 2020

      5 이혜순, "청소년의 충동성, 자아존중감, 우울수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38-446, 2012

      6 고기숙, "청소년의 분노 표현 및 대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청소년과 청소년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 한국콘텐츠학회 19 (19): 445-462, 2019

      7 황순길, "청소년위기실태조사: 1차년도" 한국청소년상담원 2015

      8 진혜민, "청소년비행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193-221, 2012

      9 유성경, "청소년 탈비행과 위험요소 및 보호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38 : 81-106, 2000

      10 지승희, "청소년 비행예방 및 개업전략 개발을위한 종단연구 I: 청소년 비행 보호요소/위험요소 척도 타당화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원 2001

      1 박경례, "학교에서 근무하는 전문상담사의 직무와 소진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7 (27): 171-202, 2020

      2 성남시청소년재단,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등 법적 감염병 확산에 따른 청소년활동의 대안과 전략" 1-14, 2020

      3 이정연, "코로나19와 교육: 학교구성원의 생활과 인식을중심으로" 경기도 교육연구원 2020

      4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코로나19로 바뀐 일상: 청소년, 보호자 체감도 조사및 대응방안" 1-14, 2020

      5 이혜순, "청소년의 충동성, 자아존중감, 우울수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38-446, 2012

      6 고기숙, "청소년의 분노 표현 및 대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청소년과 청소년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 한국콘텐츠학회 19 (19): 445-462, 2019

      7 황순길, "청소년위기실태조사: 1차년도" 한국청소년상담원 2015

      8 진혜민, "청소년비행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193-221, 2012

      9 유성경, "청소년 탈비행과 위험요소 및 보호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38 : 81-106, 2000

      10 지승희, "청소년 비행예방 및 개업전략 개발을위한 종단연구 I: 청소년 비행 보호요소/위험요소 척도 타당화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원 2001

      11 윤숙희, "청소년 미술치료사의 치료과정 경험에 대한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하여 -" 한국미술치료학회 22 (22): 409-432, 2015

      12 모경환, "청소년 문제와 보호" 교육과학사 2020

      13 김동일, "청소년 고위기 상황 및 효과적 개입에 대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위기청소년 담당자의 인식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8 (28): 281-303, 2020

      14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15 주영선, "지역사회 빈곤, 범죄, 유해환경 수준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0 (30): 33-62, 2019

      16 구본용, "중퇴에 관한 위험 및 보호요인의 신경망 모형"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133-146, 2003

      17 강석영, "전국 청소년 위기상황 실태조사" 한국청소년상담원 2009

      18 한상철,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위험행동과 적응유연성에 대한 보호요인의 완충효과 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3 (13): 69-90, 2016

      19 천정웅, "위기청소년정책의 실태분석과 발전방향 : 비판적 관점" 8 : 1-26, 2017

      20 이상현, "위기청소년의 가정과 학교생활 특성에 관한 연구" 14 (14): 89-118, 2007

      21 황여정, "위기청소년 현황 및 실태조사 기초연구: 예비조사 데이터분석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22 황여정, "위기청소년 현황 및 실태조사 기초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23 이준기, "생태체계학적 접근에 근거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청소년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년정책학회 18 : 55-83, 2012

      24 강혜원, "생의 의미수준에 따른 우울과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정포럼 5 (5): 27-50, 2011

      25 권재환, "남녀 청소년의 충동성, 부모의 양육태도, 개인의 통제력,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7 (17): 325-351, 2006

      26 전경숙, "군포시 청소년정책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연구" 군포시 청소년청년정책과 2020

      27 Garmezy, N., "Stress-resistant children : The search for protective factors" 4 : 213-233, 1985

      28 Pollard, J. A., "Risk and protection : Are both necessary to understand diverse behavioral out comes in adolescence" 23 (23): 145-158, 1999

      29 Garmezy, N.,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7-534, 1990

      30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Sage Publications 1998

      31 Krueger, R. A., "Focus Group: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Sage publication 2009

      32 Horowitz, F. D., "Exploring developmental theories: Toward a structural/behavioral model of development" Erlbaum 1987

      33 Evans, P., "Community-based Approaches and Cross-sectoral Partnerships for Youths at Risk in OECD Countries" 3-16, 2005

      34 Arnett, J. J, "Adolescence and Emerging Adulthood" Prentice-Hall, Inc 2000

      35 여성가족부, "2020 청소년백서" 여성가족부 2020

      36 황순길, "2016년 전국 청소년 위기 실태조사" 한국청소년상담원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청소년개발원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청소년연구
      외국어명 : Studies on Korean Yout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6 2.86 3.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3.84 3.58 4.967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