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석전대제(釋奠大祭) 일무(佾舞)의 역사적 원형과 왜곡 = The Historically Original Form and Distortion of Seokjeon Daejae Ilm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181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국가무형문화재 제85호 석전대제(釋奠大祭) 일무의 역사적 원형 복원의 일환으로, “전통의 올바른 계승은 어떠한 이유가 있더라도 원형이 파괴되거나 훼손되어서는 안 된다”는...

      본 논문은, 국가무형문화재 제85호 석전대제(釋奠大祭) 일무의 역사적 원형 복원의 일환으로, “전통의 올바른 계승은 어떠한 이유가 있더라도 원형이 파괴되거나 훼손되어서는 안 된다”는 당위성에서 출발하였다. 오늘날, ‘문묘일무(文廟佾舞)’로 일컬어지는 ‘석전대제의 일무’는 성인 공자의 덕을 추모하고 기리는 유교제례무로 그 역사적 원형은 무보로 전한다. 따라서, 문묘일무의 원형고증은 반드시 무보에 근거한 춤이어야 한다는 것이 연구의 논지이다. 한 국가의 문화재는 반드시 역사적 원형에 입각해 보존되고 전승되어야 하며, 더욱이 제례는 그 나라의 사회문화를 반영, 이를 약속하고 규정한 의식이자 제도이므로 전승원칙 또한 전거(典據)에 입각한 것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일무의 역사적 원형을 살피고, 1980년 기존 일무와 2006년 원형복원 일무의 비교를 토대로 올바른 전통을 계승하고자 한다. 이는 전통예술은 물론 인접학문의 토대연구에도 모범적 사례가 될 것으로 예측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part of the restoration of the historically original form of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85, Seokjeon Daejae Ilmu, this paper will start from the imperative that "the correct succession of the tradition should not be destroyed or dam...

      As part of the restoration of the historically original form of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85, Seokjeon Daejae Ilmu, this paper will start from the imperative that "the correct succession of the tradition should not be destroyed or damaged in its original form for any reason." The Seokjeon Daejae Ilmu, which today is called 'Munmyo Ilmu‘, is a Confucian ritual dance in honor of Confucius, and its historically original form is described in the illustrated guide for da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at the investigation of the original form should be a dance based on the illustration guide for dance. The heritage of a nation must be preserved and inherited in accordance with its historically original form. In addition, the rite of sacrifice is a ritual or system that defines and compromises, reflecting the social culture of the country, so the principle of transmission must also be based on authority.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ly original form of Ilmu and seeks a proper way of succession of the tradition,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Ilmu of 1980 and 2006. This is expected to be a good example for the study of the foundations of traditional arts as well as neighboring sci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숙, "한국 문묘제례일무의 고유성과 이에 따른 재연 및 전승" 무용역사기록학회 14 : 61-99, 2008

      2 네이버, "표준국어대사전" 2018

      3 "춤과 사람들. 2007년 10월호"

      4 댄스포럼, "정재에 대한 인식을 대중화시킨데 보람 있다. 1월호 인터뷰"

      5 임학선, "임학선 안무론"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7

      6 임학선, "일무시원고" 83-88, 2014

      7 한국석전학회, "석전학논총 1호"

      8 석전대제위원회, "석전대제 일무 검증위 보고서" 2-5, 2018

      9 문화재청, "문화재청 보고자료 목록18"

      10 이선주, "문묘제례일무의 이해" (1) : 2005

      1 김영숙, "한국 문묘제례일무의 고유성과 이에 따른 재연 및 전승" 무용역사기록학회 14 : 61-99, 2008

      2 네이버, "표준국어대사전" 2018

      3 "춤과 사람들. 2007년 10월호"

      4 댄스포럼, "정재에 대한 인식을 대중화시킨데 보람 있다. 1월호 인터뷰"

      5 임학선, "임학선 안무론"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7

      6 임학선, "일무시원고" 83-88, 2014

      7 한국석전학회, "석전학논총 1호"

      8 석전대제위원회, "석전대제 일무 검증위 보고서" 2-5, 2018

      9 문화재청, "문화재청 보고자료 목록18"

      10 이선주, "문묘제례일무의 이해" (1) : 2005

      11 임학선, "문묘일무의 이해"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12 임학선, "문묘일무의 예악사상"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1

      13 임학선, "문묘일무보 도해"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14 성균관, "문묘일무개선안에 대한 심사결과 최종종합보고서" 1-24, 2007

      15 문화재관리국, "무형문화재 지정조사보고서 제144호. 석전의례, 제1편 제2장"

      16 국립국악원, "국악전집 9"

      17 문화재청, "국가무형문화재 원형보존과 재창조 가이드라인"

      18 김영숙, "現行 佾舞考"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1

      19 성경린, "佾舞今夕. 1972. 5. 25"

      20 "[유림월보] 1972년 5월 25일자 기사"

      21 "[유교신문] 2017년 10월 17일, 12월 30일자 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3-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Journal of Korea Dance -> The Journal of Korean Dance KCI등재후보
      2013-08-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Dance Research Association -> The Society of Korean Dance Studies KCI등재후보
      2013-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무용연구회 -> 한국무용연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Dance Studies -> Korean Dance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7 0.789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