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헌법 개정과 스포츠기본법의 제정 방향 =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and How the Sports Basic Law should be enact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13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ports has become an essential part for people these days. Media sends out sports news every day, and sports industry is producing more sports equipments every year. People watch and do sports for health and entertainment. Sports is expanding its doma...

      Sports has become an essential part for people these days. Media sends out sports news every day, and sports industry is producing more sports equipments every year. People watch and do sports for health and entertainment. Sports is expanding its domain by stimulating the economy and contributing to social development. Many countries are putting efforts into establishing national policies and legal system.
      As sports takes on a bigger role, more responsibility is imposed on the government regarding sports. Due to its infinite value, sports has become an object of constitutional attention. The state has enacted sports law and established a number of policies to promote sports. The current Korean Constitution does not stipulate rights to sports, but it should be amended to guarantee that all people enjoys it as a basic rights.
      In 2006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called the National Assembly to introduce rights to sports when discussing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The discussion on amendment in the National Assembly was stalled at that time, but voices that call for including sports right in the Constitution have continued to be raised even afterwards. In 2017, the National Assembly is discussing constitutional amendment again, and this time in a more active manner. There would be differences in opinions between parties regarding the amendment, hence it would not be easy to include rights to sports as the basic rights.
      Regardless of stipulating rights to sport in the Constitution, academia including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has constantly advocated for legislation of a sports basic law which can integrate the current laws. The government embarked on legislation several times in response to this call, but it has not been embodied in detail. In the meanwhile, Japan legislated the Sports Basic Law in 2013. Korea has also legislated a number of laws which attempted to integrate fragmented sports policies. However, a sports basic law is in need to continuously pursue the overall development of spor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에서 스포츠는 인간의 삶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매스미디어는 날마다 스포츠소식을 전달하고, 스포츠산업은 해마다 더 많은 스포츠용품을 생산하여 판매한다. 우리는 스포츠...

      현대사회에서 스포츠는 인간의 삶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매스미디어는 날마다 스포츠소식을 전달하고, 스포츠산업은 해마다 더 많은 스포츠용품을 생산하여 판매한다. 우리는 스포츠경기를 관전하며 건강과 체력을 위하여 수시로 운동한다. 스포츠는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고 경제에 활력소로 작용하며 점차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오늘날 많은 국가는 스포츠의 발전을 위한 국가정책의 수립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법제의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스포츠의 역할이 커지면서 스포츠에 대한 국가의 책무도 커지고 있다. 스포츠는 무한한 가치로 인하여 헌법에서 다루어야 할 대상이 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가는 스포츠법을 제정・시행하고 있으며, 스포츠의 육성과 진흥을 위하여 여러 정책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그렇지만 현행 헌법에는 스포츠권이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다. 헌법에서 스포츠를 하나의 기본권으로 인정하여 이를 보장하고 지원해야 활 필요성이 있다.
      2008년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는 당시 국회의 헌법 개정 논의에서 스포츠권을 국민의 기본권으로 도입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런데 헌법 개정을 위한 당시 국회 논의는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였다. 그 후에도 헌법 개정 논의는 계속되었고, 그 때마다 스포츠기본권의 헌법명문화 주장은 계속되었다. 그런데 2017년 다시 헌법 개정 논의가 시작되었고, 국회는 보다 적극적으로 개정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물론 정당 간의 의견차이로 인하여 헌법 개정 논의가 쉽게 않을 것으로 보며, 스포츠권의 기본권화도 쉽지 않을 것이다.
      스포츠기본권의 헌법 명문화와 별개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는 지속적으로 스포츠기본법의 제정을 통하여 스포츠관련법의 정비와 체계화를 주장하였다. 이런 학계의 요구에 정부는 여러 차례에 걸쳐 스포츠기본법의 제정을 위한 작업을 추진하였지만 구체화되지 못하였다. 우리와 달리 2013년 일본은 스포츠기본법을 제정하였다. 물론 우리나라도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를 통합하고 학교체육진흥법을 제정하면서 학교, 생활, 전문체육으로 나누어진 체육 분야를 정비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럼에도 스포츠분야 전체를 아우르며 스포츠의 지속적 발전을 추구하기 위한 스포츠기본법의 제정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8

      2 계희열, "헌법학(중)" 박영사 2007

      3 홍성방, "헌법학" 현암사 2008

      4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07

      5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6

      6 강경근, "헌법" 법문사 2004

      7 김상겸, "한국헌법상의 스포츠기본권과 스포츠기본법 제정" 6 : 2005

      8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7

      9 김상겸, "프로스포츠와 직업의 자유" 2 : 2001

      10 강경근, "일반헌법학" 법문사 2014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8

      2 계희열, "헌법학(중)" 박영사 2007

      3 홍성방, "헌법학" 현암사 2008

      4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07

      5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6

      6 강경근, "헌법" 법문사 2004

      7 김상겸, "한국헌법상의 스포츠기본권과 스포츠기본법 제정" 6 : 2005

      8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7

      9 김상겸, "프로스포츠와 직업의 자유" 2 : 2001

      10 강경근, "일반헌법학" 법문사 2014

      11 구창모, "스포츠참가와 청소년 비행에 관한 연구 동향 및 과제 - 스포츠사회학 관점을 중심으로 -" (11) : 1992

      12 김상겸, "스포츠정책과 법" 체육과학연구원 2003

      13 김상겸, "스포츠자치권과 스포츠기본법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8 : 11-41, 2006

      14 김상겸, "스포츠선수의 헌법적 권리보호" 2007

      15 김상겸, "스포츠산업에 있어서 국가적 관여" 2 : 2001

      16 김상겸, "스포츠분쟁해결에 관한 헌법적 연구" 5 : 2004

      17 김상겸, "스포츠복지의 헌법적 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0 (10): 125-147, 2007

      18 김상겸, "스포츠기본법 제정을 위한 시론적 연구" 4 : 2003

      19 김상겸, "스포츠권의 헌법적 보장" (창간) : 2000

      20 최병문, "스포츠 형사책임론" (창간) : 2000

      21 변해철, "스포츠 분야에서의 국가권력개입의 법적 근거와 개입형태" 28 (28): 2000

      22 이성철, "생활체육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고찰" 7 (7): 1998

      23 김상겸, "교육권과 학교스포츠" 3 : 2002

      24 Vieweg, Klaus, "Zur Einführung: Sport und Recht" 825-, 1983

      25 Reuter, Dieter, "Voraussetzungen und Grenzen der Verbindlichkeit internationalen Sportsrecht für Sportvereine und Sportler" 53-, 1987

      26 Steiner, Udo, "Verfassungsfragen des Sports" 2729-, 1991

      27 Burmeiste, Joachim, "Sportsverbandswesen und Verfassungsrecht" 1978

      28 Tettinger, Peter, J., "Sportliche Freizeitaktivitäten und Umweltschutz" 109-, 1997

      29 Kirchhof, Ferdinand, "Sport und Umwelt als Gegenstand des Verfassungsrechts und der Verfassungspolitik" 41-,

      30 Schroeder, Friedrich-Christian, "Sport und Recht" 1972

      31 Tettinger, Peter, J, "Sport und Recht" 1987

      32 Steiner, Udo, "Sport und Medien" 1990

      33 Steiner, Udo, "Sport auf dem Weg ins Verfassungsrecht - Sportförderung als Staatsziel" Sport und Recht 2-, 1994

      34 Ketteler, Gerd, "Sport als Rechtsbegriff" 73-, 1997

      35 Kirchhof, Ferdinand, "Sport als Mittel der Förderung kommunaler Wirtschaftsstrukter" 3-,

      36 Pfister, Bernhard, "Rechtsprobleme der Sportwette" 1989

      37 Fritzweiler, Jochen, "Praxishanbuch Sportrecht" 1998

      38 Steiner, Udo, "Kinderhochleistungssport" 1984

      39 Härberle, Peter, "Festschrift für Werner Thieme" 25-, 1993

      40 Steiner, Udo, "FS für Stern" 509-, 1997

      41 Westermann, Harm, Peter, "Der Sportler als “Arbeitnehmer der besonderer Art” - Zur Druchdringung von arbeitsrechtlichen Regelungen durch vereins- und verbandsautonome Bestimmungen" 35-,

      42 Preis, Bernd, "Der Lizenzspieler im Bundesligafußball" 1973

      43 Schild, Wolfgang, "Das strafrechtliche Probleme der Sportverletzung (vorwiegend im Fußballkampfspiel)" 464-585,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6-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스포츠와 법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9-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포츠법학회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7-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orts and Law ->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8 0.74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