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여대생의 자원과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s and Career Indecis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33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s and career indecis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60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B city. To analyze the data, canonical correl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s and career indecis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60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B city. To analyze the dat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sources and career indecision was found, and the natur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different by grades. Second, among the freshmen, sophomores and juniors, all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and material resource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Among the subscales of career indecision, indecisiveness, lack of self-identity and external barrier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resources. Third, among seniors, all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and material resource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which is similar to the result of the freshmen, sophomores and juniors. However, indecisiveness, lack of self-identity and lack of inform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resources, which is different to the case of freshmen, sophomores and juniors in which external barrier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 based on the knowledge of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s and career indecis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s necessary to help resolve the career indecision probl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대생의 자원과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년에 따라 두 변인 간의 관계에도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는 B시에 소재하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1060명...

      본 연구는 여대생의 자원과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년에 따라 두 변인 간의 관계에도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는 B시에 소재하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106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자원과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하여 자원의 하위요인인 내적, 사회적, 물적 자원을 독립변인군으로, 진로미결정의 하위요인인 직업정보 부족, 자기명확성 부족, 우유부단한 성격, 필요성 인식 부족, 외적 장애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의 결과, 첫째, 자원과 진로미결정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학년에 따라 그 관계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둘째, 1, 2 3학년 여대생의 경우, 자원의 하위요인 가운데 내적 자원과 사회적 자원, 물적 자원이 모두 진로미결정과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내적자원, 사회적 자원이 진로미결정과의 상관이 높았다. 진로미결정 하위요인 가운데는 우유부단한 성격, 자기명확성 부족, 외적 장애 순으로 자원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셋째, 4학년 여대생에 대한 결과에서는 자원의 경우 1, 2, 3학년과 유사하게 모든 하위요인들이 진로미결정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나, 진로미결정 하위요인의 경우 1, 2, 3학년과 달리 외적 장애의 상관은 유의미하지 않았고 우유부단한 성격, 자기명확성과 직업정보 부족이 진로미결정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대생 진로미결정 문제의 해결을 돕기 위하여 개인이 소유한 자원이 진로미결정 요인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개입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향자,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2 김현주, "청소년의 진로 이행과 청소년, 부모의 인적 및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23-52, 2010

      3 박정희,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불안/우울 및 강박증과 진로미결정:자기 통제력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03-123, 2008

      4 정애경, "진로미결정 요인에 관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5 김환식,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그에 관련된 요인" 18 (18): 102-116, 1993

      6 박주연, "자기주도학습, 창의성,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3

      7 김나래, "자기개념 명확성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장 주도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424-, 2013

      8 민무숙, "여성 커리어 개발과 대학 취업지원의 관계" 1 (1): 77-107, 2011

      9 이복희,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4 (4): 19-35, 2007

      10 민무숙, "여대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위한 대학의 지원현황과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2002

      1 고향자,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2 김현주, "청소년의 진로 이행과 청소년, 부모의 인적 및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23-52, 2010

      3 박정희,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불안/우울 및 강박증과 진로미결정:자기 통제력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03-123, 2008

      4 정애경, "진로미결정 요인에 관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5 김환식,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그에 관련된 요인" 18 (18): 102-116, 1993

      6 박주연, "자기주도학습, 창의성,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3

      7 김나래, "자기개념 명확성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장 주도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424-, 2013

      8 민무숙, "여성 커리어 개발과 대학 취업지원의 관계" 1 (1): 77-107, 2011

      9 이복희,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4 (4): 19-35, 2007

      10 민무숙, "여대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위한 대학의 지원현황과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2002

      11 박미경, "여대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자아정체감, 진로결정 수준의 구조적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7 (27): 1-26, 2008

      12 신선미, "성별에 따른 청년층의 진로선택과 취업준비의 차이 – 여성 청년층을 위한 진로정책 검토"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앙고용정보원 2004

      13 위재원, "사회경제적 지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매개효과 분석"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4 이주희, "부모와 자녀가 지각한 부모 진로지지가 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211-226, 2011

      15 김동숙,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 인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6 (6): 21-39, 2011

      16 김경주, "도립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수준 및 학업적 자아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독교육학회 17 (17): 1-25, 2012

      17 한효정, "대학생의 진로미결정과 내적통제성, 부적응적 완벽주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특성불안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8 김종운,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279-300, 2014

      19 김은영, "대학생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0 이명자, "대학생의 자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자율·통제 동기 및 내재·외재 목표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21 장현정,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통제력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22 이억범, "대학생의 다중지능, 학교환경,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 수준간의 인과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17 (17): 39-53, 2004

      23 김은석,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적 지지가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502-503, 2006

      24 이미애, "고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자아정체감, 심리적 독립감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739-761, 2011

      25 이대영, "계층별 가족 내 사회자본과 진로성숙 : 소득수준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6 金鳳煥, "大學生의 進路決定水準과 進路準備行動의 發達 및 二次元的 類型化"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27 Tabachnick, B. G.,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Haper Collins 1996

      28 Grodon, V. N, "The Undecided Student: A Developmental Perspective" 59 (59): 433-403, 1981

      29 Hirschi, A, "The Career Resources Model: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Career Counsellors" 40 (40): 360-383, 2012

      30 Savickas, M. L., "The Career Decision Scale as a Type Indicator" 38 (38): 85-90, 1991

      31 Diener, E., "Resources, Personal Strivings, and Subjective Well-Being: A Nomothetic and Idiographic Approach" 68 (68): 926-935, 1995

      32 Ferreira, N., "Psychological Career Resources, Career Adaptability and Hardiness in Relation to Job Embedded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23 (23): 31-40, 2013

      33 Holland, J. L., "My Vocational Situation"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0

      34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Macmillan 1992

      35 Savickas, M. L.,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Eribaum 1-34, 1995

      36 Praskova, A., "Facilitating Engagement in New Career Goals: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Resources and Career Actions" 13 : 115-134, 2013

      37 Vondracek, F. W., "Dimensions of Career Indecision" 37 (37): 98-106, 1990

      38 Fuqua, D. R.,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62 (62): 27-29, 1983

      39 Tak, J., "Development of the Korean Career Indecision Inventory" 11 (11): 328-345, 2003

      40 Chartrand, J. 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er Factors Inventory" 37 : 491-501, 1990

      41 Hobfoll, S. E, "Conservation of Resources: A New Attempt at Conceptualizing Stress" 44 (44): 513-524, 1989

      42 Slaney, R. B., "Career Decision Making" Eribaum 33-77, 1988

      43 Osipow, S. H, "Assessing Career Indecision" 55 : 147-154,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7 1.17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3 1.53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