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J.C. 바흐의 건반악기를 위한 작품 연구 = (A)study on the Keyboard works of J.C. B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40770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성신여자대학교,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 음악학과 작곡전공 , 2008. 8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92 p. : 삽도, 악보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이영민

      • 소장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요한 크리스찬 바흐 (Johann Christian Bach, 1735-1782)는 요한 세바스 찬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막내아들로 여러 형제 가 운데 연주가로서, 작곡가로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1754년에 이...

      요한 크리스찬 바흐 (Johann Christian Bach, 1735-1782)는 요한 세바스 찬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막내아들로 여러 형제 가 운데 연주가로서, 작곡가로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1754년에 이탈리아로 가 서 공부하고 1762년에는 런던으로 가서 그가 세상을 떠난 1782년까지 그곳 에서 활동했다. J.C. 바흐를 일명 ‘런던 바흐’라고도 부르는 것은 그가 런던에 서 가장 왕성하게 활동했기 때문이다. 그는 1764년 이후로 볼프강 아마데우 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azrt, 1756-1791)와 우호적으로 교류했 으며 모차르트에게 작곡가로서 많은 영향을 미쳤다.
      J.C. 바흐가 기여했던 시기는 18세기 중엽 전고전 시대로 바로크에서 성숙 기 고전음악 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였다. 이 당시 음악은 가볍고 우아하며 재치가 있는 갈랑 양식이 특징을 보이는데, 그는 갈랑 양식의 대가로 그의 음 악은 밝고 경쾌하며 쉼 없이 변화하는 아름다운 선율이 나타난다.
      J.C. 바흐는 건반악기를 위하여 30곡에 가까운 독주곡을 작곡하였는데 이들 가운데 특히 Op. 5의 여섯 곡과 Op. 17의 여섯 곡이 중요하다. 그는 건반악 기 2중주를 위한 작품은 소수의 곡만을 남긴 것에 반하여 건반악기를 사용하 는 실내악곡은 50곡 가량을 남겼다. 건반악기가 포함된 그의 모든 작품들은 1768년 이후로는 하프시코드나 피아노에 모두 적합하다고 홍보되었다.
      J.C. 바흐는 사상적으로는 고전주의에 가까우나 형식면에서는 과거에서 완 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그의 건반 소나타에서도 잘 나타난다. 단 적인 예로, 1766년에 출판된 Op.5 소나타와 그로부터 13년 후인 1779년에 출판된 Op.17 소나타를 비교해 볼 때 악장들은 형식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바로크 기악곡에서 많이 사용된 순환2부형식(rounded binary form) 또는 2부형식의 잔재 속에서 제 1주제와 제 2주제가 대부분 I-V의 관계를 형 성한다. 또한 발전부-재현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 제 2부분에서 발전부에 해당되는 부분은 V를 강조하며 재현부에 해당되는 부분은 I로 돌아가고, 이러 한 2부 형식에서 제 1부와 제 2부는 각각 반복된다. 그의 소나타는 발전부에 큰 비중을 두지 않지만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에 상당히 근접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J.C. 바흐의 건반음악에서 선율은 3도와 6도의 중복이 많고, 도약진행보다 는 순차진행을 하고 있으며, 전위되지 않은 기본화음을 사용하고, 단순한 3화 음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리듬도 단순한 편으로 대부분이 16분음표 나 셋잇단음표를 사용하였으나 때때로 부점리듬 등 다양한 리듬을 시도하였 다. 건반악기 주법에서는 양손의 스케일과 아르페지오, 알베르티 베이스와 펼 침화음의 사용, 트릴, 돈꾸밈음 등의 다양한 장식음 사용이 두드러진다.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살펴 본 Op.17은 J.C. 바흐의 건반음악 전반에 걸 친 그의 음악적 특징을 잘 대변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ohann Christian Bach(1735-1782), the youngest son of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was the most talented composer among his brothers. He studied in Italy from 1754, then went to London in 1762 and spent the rest of his life in London until he die...

      Johann Christian Bach(1735-1782), the youngest son of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was the most talented composer among his brothers. He studied in Italy from 1754, then went to London in 1762 and spent the rest of his life in London until he died in 1782. It was his active career in London that gave him the name "London Bach." Bach ha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Mozart, whom he had influence on as a composer.
      J. C. Bach lived in the mid-eighteenth century, a transitional period from Baroque to mature Classic, namely pre-classic period. The music of this era was a light, elegant, and witty galant style, and Bach was a master of the style. His music was full of beautiful melody which is bright, cheerful, and constantly changing.
      Among Bach's 20 some keyboard solos, Op.5(T338) and Op.17(T345) are the most important works showing various styles. Bach composed a few keyboard duets and about 50 chamber works. Since the early 1768, Bach mentioned that all of his works for keyboard were suitable for both harpsichord and piano.
      As to the conception, J. C. Bach is closer to the classicism. However, as to the form, he is attached to the past and that is shown in his keyboard sonatas. In the 1st and 2nd movements, no great innovation is found in the forms; the first and second themes emphasize a tonic-dominant relationship, development starts with dominant key, recapitulation returns to tonic, and each of the two parts(exposition, development -recapitulation) have repeat mark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find a clear development section in Bach's sonatas, his sonatas are very close to the sonata allegro form of classical period.
      In his keyboard works, Bach uses double melodies in parallel thirds or sixths, prefers gradually ascending or descending lines rather than leaps, uses root positions (not many inversion) in simple triads. The rhythm and structure are also extremely simple. Sixteenth notes or triplets are common, but various rhythms as dotted notes are also present. Bach uses many keyboard techniques, such as scale and arpeggio patterns in both hands, Alberti bass, broken chords, and ornamental notes using trills and turns.
      In this thesis, the type and character of J. C. Bach's keyboard works, especially keyboard sonatas were examined, and through analysing Sonata Op.17, it was studied that J. C. Bach's keyboard sonatas were quite close to the keyboard sonatas of Classical period.
      J. C. Bach is an important pre-classic composer and a master of galant style. However, some of his works are not yet proven to be his original composition, and the composition year of many works are still unknown. Therefore, further studies about this issues are very interesting als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 II. J.C. 바흐의 생애 = 3
      • III. J.C. 바흐의 건반악기를 위한 작품 = 9
      • 1. 건반음악 개관: 독주곡, 2중주곡, 실내악곡 = 10
      • 2. 건반음악의 양식적 특징 = 19
      • I. 서론 = 1
      • II. J.C. 바흐의 생애 = 3
      • III. J.C. 바흐의 건반악기를 위한 작품 = 9
      • 1. 건반음악 개관: 독주곡, 2중주곡, 실내악곡 = 10
      • 2. 건반음악의 양식적 특징 = 19
      • 3. J.C. 바흐의 건반악기 소나타 Op. 17 분석 = 42
      • 1) 〈Op. 17, 제 1번〉 = 43
      • 2) 〈Op. 17, 제 2번〉 = 50
      • 3) 〈Op. 17, 제 3번〉 = 61
      • 4) 〈Op. 17, 제 4번〉 = 67
      • 5) 〈Op. 17, 제 5번〉 = 73
      • 6) 〈Op. 17, 제 6번〉 = 80
      • IV. 결론 = 91
      • 〈참고문헌〉 = 93
      • ABSTRACT = 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