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6·25 前後史의 再인식  :  국가정체성·안보·통일에 주는 含意 = Re-recognition of the Korean W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202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6·25전쟁 59돌을 맞아 6·25에 대한 의미와 현재 시점에서의 교훈을 되집어보고자 해방이후 6·25전쟁까지와 6·25전쟁의 성격논쟁 등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6·25가 북한의 일방적 남�...

      본 논문은 6·25전쟁 59돌을 맞아 6·25에 대한 의미와 현재 시점에서의 교훈을 되집어보고자 해방이후 6·25전쟁까지와 6·25전쟁의 성격논쟁 등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6·25가 북한의 일방적 남침에 의해 자행되었다는 사실이 시대가 흐를수록 정설로 굳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특히, 소련붕괴 후 드러나기 시작한 당시 상황을 설명하는 자료들은 그러한 사실을 확실히 뒷받침해 주고 있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 대한민국에 등장한 좌파정권은 기존의 역사관ㆍ국가관ㆍ세계관에 에 혼란을 부추기면서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심각하게 훼손시켰다. 그 훼손의 핵심은 6·25전후사에 대한 왜곡이다. 이제 6·25 전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정리를 통해, 통합의 새로운 전진을 기해야 할 때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진정한 통합은 분명한 사실(事實)의 이해를 토대로 이루어진다.
      현시점에서 요구되는 것은 정치적·군사적 통일과 더불어 공동체적 국민 통합이다. 남한내의 공동체 통합을 토대로 남북간에도 보편적 가치관과 이념을 토대로 이질성을 극복야 할 것이다. 본고는 6·25전후사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올바른 국민통합 과업을 제시하고 아울러 6·25전후사 재인식이 국가정체성 확립과 국가안보, 통일과업 실현에 주는 교훈과 함의를 모색해 보려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of Korean war has been through a distinctive path for a long time in the "special research environment" of the closed nature. After concluding a truce, South-North Korean hung the meaning of the Korean war on the current political scene. Thi...

      The study of Korean war has been through a distinctive path for a long time in the "special research environment" of the closed nature. After concluding a truce, South-North Korean hung the meaning of the Korean war on the current political scene. This year marks the 59th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Korean war. In this
      paper is looking back upon the Korean war.
      After 1990 the Soviet Union collapsed and the North Korean invasion of the South Korea data opened to the public. More images and books are expected to be released soon. However, Kim Dae-Jung and Roh Mu-Hyun has staked much of their administration on a policy of engagement with and assistance to the North - mostly free of conditions or criticism. Even if the "Sunshine Policy" sees the light of a new dawn, North Korea's million-man army and missile remains the number one threat to the South Korea and East Asia. If the two side join issue
      with each other against in South Korean it will be disasterous for party unity. Govenment must remember to constantly keep in place the proper opinion about Korean war. The 59th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Korean war marks to this year is sparking renewed discussion about 6.25 wa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존 메릴, "한국전쟁의 기원과 진실" 두산동아 2004

      2 김철범, "한국전쟁을 보는 시각" 을유문화사 1990

      3 김철범, "한국전쟁과 미국의 외교정책 - 철수, 참전, 북진, 휴전 결정을 중심으로, in: 한국전쟁을 보는 시각" 을유문화사 1990

      4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7

      5 김광동, "제주 4·3사건의 본질과‘제주 4·3 진상조사보고서’문제점 연구"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안보문제연구소 2009

      6 이주영, "우남 이승만 그는 누구인가?"

      7 홍관희, "대한민국의 국가정통성"

      8 장준익, "北韓人民軍隊史" 한국발전연구원 1991

      9 Bruce Cumings,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1

      10 I. F. Stone, "The Hidden History of the Korean War" Monthly Review press 1952

      1 존 메릴, "한국전쟁의 기원과 진실" 두산동아 2004

      2 김철범, "한국전쟁을 보는 시각" 을유문화사 1990

      3 김철범, "한국전쟁과 미국의 외교정책 - 철수, 참전, 북진, 휴전 결정을 중심으로, in: 한국전쟁을 보는 시각" 을유문화사 1990

      4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7

      5 김광동, "제주 4·3사건의 본질과‘제주 4·3 진상조사보고서’문제점 연구"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안보문제연구소 2009

      6 이주영, "우남 이승만 그는 누구인가?"

      7 홍관희, "대한민국의 국가정통성"

      8 장준익, "北韓人民軍隊史" 한국발전연구원 1991

      9 Bruce Cumings,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1

      10 I. F. Stone, "The Hidden History of the Korean War" Monthly Review press 1952

      11 D. F. Fleming, "The Cold War and Its Origins, 1917~1960" Doubleday and Co. 1961

      12 Bruce Cumings, "Child of Conflict: The Korea-American Relationship 1943~1954"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83

      13 김학준, "6·25연구의 국제적 동향 - 6·25연구에 관한 문헌사적 고찰"

      14 홍관희, "6·25 前後史의 再인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2차)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2-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북한학회 -> 북한연구소
      영문명 : Association Of North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North Korea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