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인삼(Panax ginseng)과 전칠삼(Panax notoginseng)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능 = Antioxidant potential of root extracts of Panax ginseng and Panax notoginse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453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vitro antioxidant potential of 30% (v/v) ethanolic extracts from Panax ginseng and Panax notoginseng roots was investigated. The polyphenol contents of Panax ginseng and Panax notoginseng extracts were 10.3±0.3 and 10.4±0.4 mg/gextract, respectiv...

      In vitro antioxidant potential of 30% (v/v) ethanolic extracts from Panax ginseng and Panax notoginseng roots was investigated. The polyphenol contents of Panax ginseng and Panax notoginseng extracts were 10.3±0.3 and 10.4±0.4 mg/gextract, respectively. The extracts of Panax ginseng and Panax notoginseng possessed an antioxidant potential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EC50 values of Panax ginseng and Panax notoginseng extracts for cation radical, reducing power, and nitrite were 4.76±0.12 and 6.24±0.14 mg/mL, 1.99±0.01 and 3.13±0.05 mg/mL, and 4.78±0.31 and 3.52±0.10 mg/mL, respect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삼(Panax ginseng)과 전칠삼(Panax notoginseng)의 30% (v/v)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인삼과 전칠삼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0.3±0.3 및 10.4±0.4 mg/g-추출물이었다. 인삼과 ...

      인삼(Panax ginseng)과 전칠삼(Panax notoginseng)의 30% (v/v)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인삼과 전칠삼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0.3±0.3 및 10.4±0.4 mg/g-추출물이었다. 인삼과 전칠삼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인삼과 전칠삼 추출물의 양이온라디칼에 대한EC50값은 4.76±0.12 및 6.24±0.14 mg/mL이었고, 환원력에 대한EC50값은 1.99±0.01 및 3.13±0.05 mg/mL이었으며, 아질산염에대한 EC50값은 4.78±0.31 및 3.52±0.10 mg/mL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다송, "추출용매에 따른 국내산 대나무 잎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공학기술연구원 11 (11): 7-13, 2018

      2 이승은, "인삼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2 (12): 237-242, 2004

      3 인만진, "인삼박 n-Hexane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및 항암 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7 (57): 247-250, 2014

      4 이소정, "와송(Orostachys japonicus) 잎,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열 및 pH 안정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571-1579, 2009

      5 박은정, "연잎(Nelumbo nucifera) 추출물의 in vitro 생리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64 (64): 121-125, 2021

      6 김선재, "약용식품 추출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검색과 폴리페놀 함량"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207-213, 2004

      7 최선영, "식용 및 약용자원의 에스트로젠 활성과 항산화능 평가" 한국식품과학회 37 (37): 549-556, 2005

      8 김민정, "숙성된 3종 인삼추출물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38 (38): 155-162, 2012

      9 왕이연, "삼칠근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활성 연구" 한국미용학회 24 (24): 1014-1020, 2018

      10 장성매, "삼채(Allium hookeri)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867-877, 2015

      1 김다송, "추출용매에 따른 국내산 대나무 잎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공학기술연구원 11 (11): 7-13, 2018

      2 이승은, "인삼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2 (12): 237-242, 2004

      3 인만진, "인삼박 n-Hexane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및 항암 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7 (57): 247-250, 2014

      4 이소정, "와송(Orostachys japonicus) 잎,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열 및 pH 안정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571-1579, 2009

      5 박은정, "연잎(Nelumbo nucifera) 추출물의 in vitro 생리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64 (64): 121-125, 2021

      6 김선재, "약용식품 추출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검색과 폴리페놀 함량"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207-213, 2004

      7 최선영, "식용 및 약용자원의 에스트로젠 활성과 항산화능 평가" 한국식품과학회 37 (37): 549-556, 2005

      8 김민정, "숙성된 3종 인삼추출물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38 (38): 155-162, 2012

      9 왕이연, "삼칠근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활성 연구" 한국미용학회 24 (24): 1014-1020, 2018

      10 장성매, "삼채(Allium hookeri)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867-877, 2015

      11 이성현, "부위별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Nakai)의이화학적 성상 및 항산화 활성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8 (38): 571-576, 2006

      12 김재광, "모시풀잎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9 (19): 76-81, 2015

      13 서수정,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잎과 뿌리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123-130, 2010

      14 김동청, "두충나무(Eucommia ulmoides Oliver) 잎과 껍질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63 (63): 259-265, 2020

      15 인만진, "강화 약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응고 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63 (63): 439-442, 2020

      16 Makoto Oyaizu,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The Japanese Society of Nutrition and Dietetics 44 (44): 307-315, 1986

      17 Xiaochen Yang, "Protective Effects of Panax Notoginseng Saponins on Cardiovascular Diseas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Experimental Studies" Hindawi Limited 2014 : 1-13, 2014

      18 T B Ng, "Pharmacological activity of sanchi ginseng (Panax notoginseng)" Oxford University Press (OUP) 58 (58): 1007-1019, 2010

      19 김성환, "ORAC Assay에 의한 인삼의 항산화 활성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7 (17): 393-401, 2007

      20 Otto Folin,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Elsevier BV 12 (12): 239-243, 1912

      21 Sung Dong Lee, "Lipid-Soluble Extracts as the Main Source of Anticancer Activity in Ginseng and Ginseng Marc" Wiley 86 (86): 1065-1071, 2009

      22 Wenzhi Yang, "Ident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of Panax ginseng, Panax quinquefolium, and Panax notoginseng by monitoring multiple diagnostic chemical markers" Elsevier BV 6 (6): 568-575, 2016

      23 J. I. GRAY,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Wiley 40 (40): 981-984, 1975

      24 Anoja S Attele, "Ginseng pharmacology" Elsevier BV 58 (58): 1685-1693, 1999

      25 Yin Xiong, "Chemical and bioactive comparison of Panax notoginseng root and rhizome in raw and steamed forms" 고려인삼학회 43 (43): 385-393, 2019

      26 Hao Zhang, "Characteristics of Panax ginseng Cultivars in Korea and China" MDPI AG 25 (25): 2635-, 2020

      27 Amin Ardestani,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Achillea santolina extracts" Elsevier BV 104 (104): 21-29, 2007

      28 Roberta Re,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Elsevier BV 26 (26): 1231-1237, 1999

      29 Young-Soon Lee, "Antioxidant Properties of Ginseng (P. ginseng C.A. Meyer) Extracts by Organic Solvent Fractionati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2 (12): 267-272,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Agricultru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44 0.741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