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송방송의 정재 연구, 그 성과와 과제 = Song Bang-song’s Study on Chŏngjae, Court Dance, Its Achievements and Remaining Tas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38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송방송의 추모 1주기를 맞아, 그가 정재 연구에 남긴 성과를 재조명하고 후학에게 남겨진 과제를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조선전기의 연구성과로는 정재의 발생과정을 밝힌 것을 꼽을...

      이 글은 송방송의 추모 1주기를 맞아, 그가 정재 연구에 남긴 성과를 재조명하고 후학에게 남겨진 과제를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조선전기의 연구성과로는 정재의 발생과정을 밝힌 것을 꼽을 수 있다. 그는 선초의 몽금척 정재 등의 사례를 통해 악장-관현악-정재-정재변용으로 정재가 발생해서 변화하는 과정을 제시했다. 다만, 춤이 포함된 원문 해석을 음악중심으로 편향되게 해석하는 점과, ‘왜’ ‘무엇 때문에’ 변화가 일어났는가라는 질문을 하지 않아 중층적 해석이 시도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조선후기 연구성과로는 첫째, 정재 사료로서 의궤의 가치를 조명한 점이다. 의궤자료를 통해 정재연구에서도 양식사에서 문화사로 관점을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둘째, 정재여령으로 활동했던 경기와 향기가 조선후기의 어떠한 행정시스템으로 선발되었는가라는 문제를 최초로 규명하였다. 그 결과 조선시대에 정재 공연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었다. 셋째, 여령과 무동이 공연한 정재종목을 고찰하고, 정재종목의 변화와 지속에 관심을 기울였다. 넷째, 정재와 관련한 음악적 문제를 밝혔다.
      근대의 연구성과로는 변화된 사회적 조건에서 정재가 어떻게 적응하며 전승되었으며, 전승의 주체는 누구였는지를 밝히는 성과를 도출했다.
      송방송은 역사적 사실에 치중할 것이 아니라, 사실이 지니는 역사적 의미를 따져서 이론을 정립해야 한다고 했다. 이는 정재 연구에 남은 과제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 1" 지식산업사 2005

      2 宋芳松, "증보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3 조경아, "조선후기 의궤를 통해 본 정재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4 송방송, "조선왕조(朝鮮王朝) 정재(呈才) 및 정재사료(呈才史料)의 서설(序說)" 국립국악원 (27) : 119-149, 2013

      5 송방송, "조선왕조 건국초기의 정재사(呈才史) 연구-세종조의 신악(新樂)을 중심으로-" 민족음악학회 23 : 196-235, 2002

      6 김종수, "조선시대 궁중연향과 여악연구" 민속원 2003

      7 김종수, "의궤로 본 조선시대 궁중연향 문화" 민속원 2022

      8 宋芳松, "의궤 속의 우리 춤과 음악을 찾아서" 보고사 2008

      9 宋芳松, "궁중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 찾기" 보고사 2009

      10 노동은, "韓國音樂史硏究의 回顧와 展望(Ⅰ)" 한국음악사학회 13 : 1994

      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 1" 지식산업사 2005

      2 宋芳松, "증보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3 조경아, "조선후기 의궤를 통해 본 정재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4 송방송, "조선왕조(朝鮮王朝) 정재(呈才) 및 정재사료(呈才史料)의 서설(序說)" 국립국악원 (27) : 119-149, 2013

      5 송방송, "조선왕조 건국초기의 정재사(呈才史) 연구-세종조의 신악(新樂)을 중심으로-" 민족음악학회 23 : 196-235, 2002

      6 김종수, "조선시대 궁중연향과 여악연구" 민속원 2003

      7 김종수, "의궤로 본 조선시대 궁중연향 문화" 민속원 2022

      8 宋芳松, "의궤 속의 우리 춤과 음악을 찾아서" 보고사 2008

      9 宋芳松, "궁중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 찾기" 보고사 2009

      10 노동은, "韓國音樂史硏究의 回顧와 展望(Ⅰ)" 한국음악사학회 13 : 1994

      11 宋芳松, "朝鮮王朝實錄音樂記事總索引" 국립국악원 1991

      12 宋芳松, "朝鮮王朝呈才史硏究" 보고사 134-157, 2013

      13 宋芳松, "朝鮮王朝呈才史硏究" 보고사 2013

      14 宋芳松, "朝鮮後期 鄕妓와 宮中呈才" 서울대 한국학연구소 17 : 185-225, 1996

      15 宋芳松, "朝鮮後期 選上妓의 社會制度史的 接近: 純祖 己丑年 「進饌儀軌」를 중심으로" 국립국악원 7 : 133-162, 1995

      16 宋芳松, "朝鮮後期 呈才의 原舞曲 探索" 한국퉁소연구회 (4) : 48-92, 2006

      17 宋芳松, "大韓帝國 시절의 進宴과 官妓들의 呈才公演" 한국무용사학회 (1) : 101-146, 2003

      18 宋芳松, "國譯豊呈都監儀軌" 민속원 1999

      19 宋芳松, "國譯英祖朝甲子進宴儀軌" 민속원 1998

      20 宋芳松, "國譯肅宗朝己亥進宴儀軌" 민속원 2001

      21 宋芳松, "國譯純祖己丑進饌儀軌:卷二" 민속원 2007

      22 宋芳松, "國譯純祖己丑進饌儀軌:卷三·附編" 민속원 2007

      23 宋芳松, "國譯純祖己丑進饌儀軌:卷一" 민속원 2007

      24 宋芳松, "呈才舞童 출신 掌樂院의 樂工 管見" 국립국악원 19 : 165-188, 2009

      25 宋芳松, "1910년대 呈才의 傳承樣相" 국립국악원 17 : 147-185, 2008

      26 宋芳松, "18世紀 前期의 唐樂呈才와 鄕樂呈才" 진단학회 (85) : 87-109,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