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전 줄풍류의 전승과 음악적 특징 : 매사(梅史) 이경호 선생 악보를 중심으로 = Daejeon Joolpoongryu's transmission and musical feature : Focused on Maesa Lee Kyung Ho's music sco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4004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decoded the『Daejeon Joolpoongryu Hanja (Chinese character) Kooeumbo』which was arranged by Lee Kyung Ho in 1935 and studied about Daejeon Poongryu's transmission style to know about the transmission of Daejeon Poongryu. And to fin...

      In this study, we decoded the『Daejeon Joolpoongryu Hanja (Chinese character) Kooeumbo』which was arranged by Lee Kyung Ho in 1935 and studied about Daejeon Poongryu's transmission style to know about the transmission of Daejeon Poongryu. And to find the Daejeon Joolpoongryu's musical feature focused on the Daejeon, Eeli and the Kookakwon's (Classical Music Institute) Kayaguem melody based on the Lee Kyung Ho's 『Daejeon Joolpoongryu Hanja (Chinese character) Kooeumbo』, Kang Nak Seung's『Hyangje Joolpoongryu Kayageum Jeungbo』and a coauthor Kim Ki Soo and Choi Choong Oong's 『Kayaguem Jeongakbo』by comparing law of tuning, law of oral sound, division of scene, number of rhythm beat, way of rhythm beat, organization tune and melody,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Daejeon Poongryu has been a Youlhoe from the era of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fter liberation, YoulKaek (member of Youlhoe) had a Youlhoe in YoulKaek's home without name of Youlhoe until the early on 1960's. Daejeon Jeongakwon which was set up in 1965 was flourishing until in the late 1970's. It made a Choongnam university's Kookak meeting in 1976, taught Daejeon Poongryu and performed local Kookak related events. However, due to the foundation of Daejeon City Kookakwon early on 1980's, it had a off season. And then, a meeting of Hanbat Jeongak was established in 1991 to transmit the Poongryu culture tradition and to cultivate individual's gift. It has been flourished up to now. A music score of the Daejeon Poongryu handed down both Kwanak score which is used in the 1960's and Hyunak score - Daejeon Poongryu Hanja (Chinese character) Kooeumbo and Daejeon Poongryu Hanguel (Korean character) Kooeumbo - which was arranged by Lee Kyung Ho in 1935.
      Second, Daejeon Joolpoongryu's law of Johyun and law of oral sound are same as those of Eeli's because Daejeon and Eeli utilize Sanjo Kayaguem. In case of Kookakwon, it has Jeongak’s law of Johyun and law of oral sound since it utilizes Jeongak Kayaguem. Therefore in the case of law of Johyun and law of oral sound, Daejeon and Eeli are the same but different to Kookakwon.
      Third, Daejeon and Eeli is same but different to Kookakwon in Seryungsan · Karakjeji · Sanghyundodri's division of scene. Hahyundodri · Yeombooldodri · Taryung · Koonak's division of scene is all different but the total number of rhythm beat is all the same.
      Forth, a rhythm of Daejeon Joolpoongryu's Taryung · Koonak was written by hand in score as 8 beat but 12 beat in both Eeli's and Kookakwon's. Actually written by hand in score as 8 beat but due to the ornament, real performance was considered as a 12 beat. The reason can be drawn owing to the different publishing year.
      Fifth, Daejeon Joolpoongryu's appeared sound from Seryungsan to Taryung is Hwang, Tae, Choong, Im, Moo, Koonak is Hwang, Tae, Ko, Choong, Im, Nam. Tae and Moo are frequently used in Daejeon Poongryu. The reason of Tae's frequent appearance is due to the differences of law of Johyun and passing sound. Different states account for law of Johyun is when the process is going from the Daehwang to Hwang in Kookakwon. Also passing sound is appeared when Hwang is going up to the Choong and Choong is going down to the Hwang. The reason of Moo is the difference method of performance. In the case of using Im 'Dduldong' in Kookakwon, Moo-Im sound is performed as same portion not used 'Dduldong' method. So that sounds are remarkably appeared.
      Sixth, the melody of Daejeon, Eeli and Kookakwon Joolpoongryu is almost similar but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due to the differences such as tune method, techniques, melody, rhythm beat, and passing sound etc. In the case of Daejeon two minute rhythm and passing sound are frequently appeared. It is considered as a long rhythm which is appeared in Kookakwon is segmented in Daejeon. 'Sllkidoong', 'Ssaraeng', 'Dduldong', 'Ddul', 'Jeonsung and 'Yuntwingkim' techniques which are observed in Kookakwon are appeared in Daejeon with short rhythm and different sou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전 풍류의 전승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대전 풍류의 전승 양상과 1935년 이경호가 정리한『 대전 줄풍류 한자 구음보』를 해제 하였다. 그리고 대전과 이리, 국악원의 가야...

      본 연구에서는 대전 풍류의 전승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대전 풍류의 전승 양상과 1935년 이경호가 정리한『 대전 줄풍류 한자 구음보』를 해제 하였다. 그리고 대전과 이리, 국악원의 가야금 선율을 중심으로 대전 줄풍류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이경호의『대전 줄풍류 한자 구음보』, 강낙승의『 향제 줄풍류 가야금 증보』, 김기수ㆍ최충웅 공저의『 가야금 정악보 』를 참고하여 조현법과 구음법, 장 구분, 장단 수, 장단, 출현음, 선율을 서로 비교 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전풍류는 일제 강점기부터 율회가 있었고 해방이후, 1960년대 초까지는 율회의 명칭 없이 율객들의 집에서 율회를 가졌다고 한다. 1965년에 창립한 대전정악원은 1970년대 후반까지 많은 율객들로 흥성하여 1976년 충남대학교 국악연구회를 만들어 대전풍류를 지도하고 지역의 국악 관련 행사를 수행토록 하였다. 1980년대 초 대전시립연정국악원이 생겨 침체기를 맞기도 하였으나 1991년 연로한 대전풍류 율객들과 그들에게 지도를 받은 젊은 풍류인들이 이 지역의 풍류문화 전통을 계승하고 개인품성 함양을 목적으로 한밭정악회를 창립하여 현재까지 대전풍류 전승을 위하여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대전풍류의 악보는 1960년대에 사용했던 것으로 관악악보와 1935년 이경호가 정리한 현악악보인 대전 줄풍류 한자 구음보와 한글 구음보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둘째, 대전 줄풍류의 조현법과 구음법은 이리 줄풍류와 같다. 대전과 이리는 산조 가야금을 사용하기 때문에 산조 조현법ㆍ구음법과 같고, 국악원은 정악 가야금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악 조현법ㆍ구음법과 같다. 그러므로 조현법과구음법에서는 대전과 이리는 같고 국악원과는 다르다.
      셋째, 장 구분을 분석한 결과 세령산ㆍ가락제지ㆍ상현도드리에서 대전과 이리는 같게 나타나고, 하현도드리ㆍ염불도드리ㆍ타령ㆍ군악은 대전과 이리, 국악원 모두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나 세령산~군악까지의 총 장단수는 같다.
      넷째, 대전 줄풍류의 타령ㆍ군악 장단은 한 장단이 8박으로 기보되어 있고 이리와 국악원은 12박으로 기보되어 있다. 기보는 8박이지만 꾸밈음의 미묘한 차이로 인하여 실제 연주는 12박으로 느껴진다. 이러한 이유는 악보의 출판년도가 다르기 때문에 시대적인 차이와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섯째, 대전 줄풍류 출현음은 세령산부터 타령까지는 黃, 太, 仲, 林, 無 군악에서는 黃, 太, 故, 仲, 林, 南이 옥타브로 출현한다. 대전 줄풍류에서는 특히 太와 無가 많이 출현한다. 太가 출현하는 이유는 조현법의 차이와 경과음의 출현으로 분석된다. 조현법의 차이로 나타나는 현상은 국악원의 대광에서 광으로 진행할 때이고, 경과음의 출현은 광에서 중으로 상행할 때와 중에서 광으로 하행할 때이다. 무의 경우는 연주 수법의 차이로 나타난다. 국악원 람 ‘뜰똥’ 수법을 사용할 때 ‘뜰똥’ 수법을 사용하지 않고 무-람 음을 균등하게 분할하여 연주하는 과정에서 악상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여섯째, 대전과 이리, 국악원 줄풍류의 선율은 거의 유사하나 조현법에 의한 선율의 차이, 분박의 차이, 경과음의 차이, 수법의 차이, 선율형의 차이 등으로 다르게 나타난다. 대전에서는 2분박과 경과음이 많이 나타나며 국악원의 긴박의 음을 대전에서는 음을 분화시켜 리듬이 세분화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악원에서 나타나는 ‘슬기둥’, ‘싸랭’, ‘뜰똥’, ‘뜰’, ‘전성’, ‘연튕김’ 수법이 대전에서는 단(單)음과 다른 음으로 나타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4
      • 논문개요 = 10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 목차 = 4
      • 논문개요 = 10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 II. 본론 = 4
      • 1. 대전 줄풍류의 전승 양상과 악보 = 4
      • 가. 전승양상 = 4
      • 나. 악보 = 7
      • 2. 대전ㆍ이리ㆍ국악원 줄풍류의 세령산 ~ 군악의 조현법 및 구음법, 장단수, 장단 비교분석 = 9
      • 가. 조현법 및 구음법 = 9
      • 1) 조현법(調絃法) = 9
      • 2) 구음법(口音法) = 11
      • 나. 장 구분 및 장단수 = 13
      • 1) 세령산 = 13
      • 2) 가락제지(가락덜이) = 14
      • 3) 상현도드리 = 14
      • 4) 하현도드리 = 15
      • 5) 염불도드리 = 16
      • 6) 타령 = 17
      • 7) 군악 = 17
      • 다. 장단 = 18
      • 1) 세령산 = 20
      • 2) 가락제지(가락덜이) = 20
      • 3) 상현ㆍ하현ㆍ염불도드리 = 22
      • 4) 타령ㆍ군악 = 23
      • 3. 대전ㆍ이리ㆍ국악원 줄풍류 세령산~군악의 선율 비교 분석 = 24
      • 가. 출현음 = 24
      • 1) 세령산 = 24
      • 2) 가락제지(가락덜이) = 26
      • 3) 상현도드리 = 27
      • 4) 하현도드리 = 29
      • 5) 염불도드리 = 30
      • 6) 타령 = 31
      • 7) 군악 = 33
      • 나. 선율 = 34
      • 1) 선율분석 = 35
      • (1) 세령산 = 35
      • (2) 가락제지(가락덜이) = 37
      • (3) 상현도드리 = 39
      • (4) 하현도드리 = 43
      • (5) 염불도드리 = 47
      • (6) 타령 = 51
      • (7) 군악 = 54
      • 2) 대전 줄풍류의 음악적 특징 = 57
      • III. 결론 = 63
      • 참고문헌 = 68
      • ABSTRACT = 70
      • 부록 이경호의 대전 줄풍류 한자 구음보 = 74
      • 표목차
      • 표1 대전,이리 세령산~타령 구음법 = 11
      • 표2 대전,이리 군악 구음법 = 12
      • 표3 국악원 세령산~타령 구음법 = 12
      • 표4 국악원 군악 구음법 = 12
      • 표5 세령산 장 구분 및 장단수 = 13
      • 표6 가락제지 장 구분 및 장단수 = 14
      • 표7 상현도드리 장 구분 및 장단수 = 15
      • 표8 하현도드리 장 구분 및 장단수 = 16
      • 표9 염불 장 구분 및 장단수 = 16
      • 표10 타령도드리 장 구분 및 장단수 = 17
      • 표11 군악 장 구분 및 장단수 = 18
      • 표12 장구 기보법 = 19
      • 표13 세령산 출현음 및 횟수 = 25
      • 표14 가락제지 출현음 및 횟수 = 27
      • 표15 상현도드리 출현음 및 횟수 = 28
      • 표16 하현도드리 출현음 및 횟수 = 29
      • 표17 염불도드리 출현음 및 횟수 = 31
      • 표18 타령 출현음 및 횟수 = 32
      • 표19 군악 출현음 및 횟수 = 34
      • 표20 대전ㆍ이리ㆍ국악원 줄풍류 음악적 특징 분석 = 64
      • 악보목차
      • 악보1 대전과 이리, 국악원의 세령산에서 타령 조현법 = 10
      • 악보2 대전과 이리, 국악원의 군악 조현법 = 11
      • 악보3 세령산 제1장단 - 제2장단 = 35
      • 악보4 세령산 제3장단 - 제4장단 = 36
      • 악보5 세령산 제11장단 - 제12장단 = 36
      • 악보6 가락제지 제1장단 - 제2장단 = 37
      • 악보7 가락제지 제5장단 - 제6장단 = 38
      • 악보8 가락제지 제9장단 - 제10장단 = 39
      • 악보9 상현도드리 제6장단 - 제7장단 = 40
      • 악보10 상현도드리 제16장단 - 제17장단 = 40
      • 악보11 상현도드리 제20장단 - 제21장단 = 41
      • 악보12 상현도드리 제22장단 - 제23장단 = 42
      • 악보13 상현도드리 제24장단 - 제25장단 = 42
      • 악보14 하현도드리 제1장단 - 제2장단 = 43
      • 악보15 하현도드리 제5장단 - 제6장단 = 44
      • 악보16 하현도드리 제13장단 - 제14장단 = 45
      • 악보17 하현도드리 제15장단 - 제16장단 = 45
      • 악보18 하현도드리 제25장단 - 제26장단 = 46
      • 악보19 염불도드리 제1장단 - 제2장단 = 47
      • 악보20 염불도드리 제5장단 - 제6장단 = 48
      • 악보21 염불도드리 제9장단 - 제10장단 = 49
      • 악보22 염불도드리 제11장단 - 제12장단 = 49
      • 악보23 염불도드리 제21장단 - 제22장단 = 50
      • 악보24 염불도드리 제39장단 - 제40장단 = 51
      • 악보25 타령 제5장단 - 제6장단 = 52
      • 악보26 타령 제7장단 - 제8장단 = 52
      • 악보27 타령 제11장단 - 제12장단 = 53
      • 악보28 타령 제27장단 - 제28장단 = 53
      • 악보29 타령 제31장단 - 제32장단 = 54
      • 악보30 군악 제3장단 - 제4장단 = 55
      • 악보31 군악 제23장단 - 제24장단 = 55
      • 악보32 군악 제33장단 - 제34장단 = 56
      • 악보33 군악 제47장단 - 제48장단 = 57
      • 그림목차
      • 그림1 대전, 이리, 국악원 세령산 장단 = 20
      • 그림2 대전, 이리, 국악원 가락제지 장단 = 21
      • 그림3 대전, 이리, 국악원 상현ㆍ하현ㆍ염불도드리 장 = 22
      • 그림4 대전, 이리, 국악원 타령ㆍ군악 장단 = 2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