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문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과 중등학교에서 인문학 프로그램 모델 제안 -서강대 CORE 사업단과 숭문고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Humanities and Suggestions for Humanities Program Models in Secondary Schools -Focusing on the Cases of Sogang University CORE Project and Soogmoon High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96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reative talents who will lead the future are built on the humanistic imagination. Therefore, we need more humanities education for students who are tired of the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we should be able to ...

      Creative talents who will lead the future are built on the humanistic imagination. Therefore, we need more humanities education for students who are tired of the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we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humanities, not just knowledge transfer. And humanities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explore the nature of human beings. This paper introduces the humanities program operated by Sogang University CORE Project and Soongmoon High School for two years.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75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analyzed. The survey found that students also needed humanities, and they hoped to open a humanities class at school. Above all, students thought that they could understand human beings, think creatively and convergently, and enrich their lives through humanities.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specialists in the secondary school field to provide humanities education. There is also no accumulated experience in humanities education. That is why there is a need for a concrete humanities program model that can be run immediately in secondary schools. In this paper, a humanities program model was crea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operating a humanities program in collaboration with universities and high schools.
      Based on this, it is hoped that universities and secondary schools will form a local education community to actively implement humanities education for secondary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미래를 이끌어갈 창의적 인재는 인문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입시 경쟁에 내몰려 지친 학생들에게 인문학 교육이 더욱 절실히 필요하다. 대학 입학전 초・중등학교에서 ...

      미래를 이끌어갈 창의적 인재는 인문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입시 경쟁에 내몰려 지친 학생들에게 인문학 교육이 더욱 절실히 필요하다. 대학 입학전 초・중등학교에서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니라 인문학의 본질을 이해하고, 인간의 본질에 대해 탐구할 수 있는 인문학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에서는 서강대학교CORE 사업단과 숭문고등학교가 2년간 함께 운영한 인문학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이프로그램에 참가했던 학생 중 755명의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보면 학생들도 인문학이 필요한 학문이라고 여기고 있고, 학교에서 인문학 수업이 개설되기를 희망했다. 무엇보다 학생들도 인문학을 통해 인간을 이해하고, 창의적・융합적 사고를 할 수 있으며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중등학교 현장에는 인문학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인문학 교육을 운영한 경험도 축적되어 않다. 그래서 중등학교 현장에서는 곧바로 운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인문학 프로그램 모델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대학교와 고등학교가 협력하여인문학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운영한 경험을 바탕으로 인문학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교와 중등학교가 지역교육공동체를 형성하여 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문학 교육이 확산될 수 있기를 바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철, "초・중등・대학에서 인문교육 활성화 방안-논리적 사고력 평가모형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02

      2 남진숙, "청소년 인문학 강좌의 사례 연구 및 나아갈 방향성 - 시민인문강좌 <찾아가는 인문(人文), 찾아오는입문(入門)>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55 (55): 51-85, 2016

      3 박정하, "중․고등학교에서의 인문교육 현황진단 및 정책대안" 인문사회연구회 2003

      4 "조선일보"

      5 김우영, "인문학적 리터러시의 의미와 교육적 함의"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1 (61): 901-930, 2013

      6 정은경, "인문학의 성과 확산, 어떻게 할 것인가" 국어문학회 63 (63): 365-384, 2016

      7 최현철, "인문학과 인문학 교육에 대한 소고" 23 : 2012

      8 김호연, "인문학, 아이들의 꿈집을 만들다" 단비 2012

      9 조난심, "인문학 후세대 양성을 위한 고등학교에서의 인문학 교육 강화 방안탐색" (겨울) : 2010

      10 김호연, "인문학 교육의 역할과 효용성에 관한 연구 - K중학교 “인문학교”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83-107, 2012

      1 김영철, "초・중등・대학에서 인문교육 활성화 방안-논리적 사고력 평가모형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02

      2 남진숙, "청소년 인문학 강좌의 사례 연구 및 나아갈 방향성 - 시민인문강좌 <찾아가는 인문(人文), 찾아오는입문(入門)>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55 (55): 51-85, 2016

      3 박정하, "중․고등학교에서의 인문교육 현황진단 및 정책대안" 인문사회연구회 2003

      4 "조선일보"

      5 김우영, "인문학적 리터러시의 의미와 교육적 함의"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1 (61): 901-930, 2013

      6 정은경, "인문학의 성과 확산, 어떻게 할 것인가" 국어문학회 63 (63): 365-384, 2016

      7 최현철, "인문학과 인문학 교육에 대한 소고" 23 : 2012

      8 김호연, "인문학, 아이들의 꿈집을 만들다" 단비 2012

      9 조난심, "인문학 후세대 양성을 위한 고등학교에서의 인문학 교육 강화 방안탐색" (겨울) : 2010

      10 김호연, "인문학 교육의 역할과 효용성에 관한 연구 - K중학교 “인문학교”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83-107, 2012

      11 정창우, "인문학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6) : 23-58, 2015

      12 홍병선, "인문학 교육 실태 분석 및 진흥방안 연구" 2011

      13 박정식, "빅데이터를 활용한 대중의 인문학 인식 연구"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5) : 65-80, 2016

      14 "국민일보"

      15 "경향신문"

      16 백종현,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의 역할과 과제" 철학사상연구소 (65) : 117-148, 2017

      17 교육부, "2012년 교육통계연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9 1.81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