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동주택 단지 내 환경조형물 설계의 경향성연구 : 대구시 달서구 s아파트 환경조형물 설계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873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공동주택 단지 내 환경조형물 설계의 경향성 연구 대구시 달서구 S아파트 조형물 설계를 중심으로 손 병 기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환경설계학과 도시 및 조경설계 ...

      <국문초록>

      공동주택 단지 내 환경조형물 설계의 경향성 연구
      대구시 달서구 S아파트 조형물 설계를 중심으로

      손 병 기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환경설계학과
      도시 및 조경설계 전공
      지도교수 박 찬 용


      건축은 단지 현실적 공간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정서적인 부분이 통합적으로 작용하여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내는 것임을 말한다. 환경조형물은 공간, 건축물, 심리적 요소 속에서 공간의 질을 높이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환경조형예술품은 분리되어 건축의 형태를 단순히 장식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아니라 건축과 통합하여 공간의 창출내지는 기능의 완성을 이루는 것이다. 환경조형물은 건축의 의미로 뿐만 아니라 심리적 측면에서도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공간의 의미와 역할을 바꾸고, 공간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공동주택의 개인성에 대한 문제는 공동주택이 시작된 이래로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외부공동공간의 설계는 공동주택의 교류단절 이라는 단점을 극복하려는 노력이다. 그 대안은 단지 그 자리에 있는 조형물이라거나 공간을 장식하기 위한 조형물이 아니라 공간의 성질을 대표하고 만들어가며 공간의 의미를 주민들에게 전달하고 그들의 일상을 변화 시키는 역할을 하는 조형물을 만듦으로서 조형의 형식적 물리적 의미뿐 아니라 예술적 인간적 심리적인 가치에 접근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주민들의 삶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조형물의 설계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대상지로 대구시 달서구 공동주택을 선정하여 주거단지 내 환경조형물의 일반적 현황과 조형물 유형 주변 환경과의 조화, 조형물의 형태, 재료, 색채, 규모 등을 분석한 뒤 이러한 조형물의 기본적 의미를 고려하여 커뮤니티와 사회 심리적 의미로 공간의 특징에 맞게 작품을 설계 하였다. 사례 대상지에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맞는 환경조형물을 설계함으로써 공동주택에 적합한 환경조형물의 성격, 설치방향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환경조형물의 역사, 기능, 법안 등을 연구하였고 대안 설계 대상지를 선정하기 위해 대구시 환경조형물의 경향을 사례 조사 하였다. 조사결과는 법안상의 문제, 행정상의 문제, 건설사 위주의 작품 선정, 의무 비용과 법안에 맞추기 위한 억지공사, 예술가의 자질 등의 문제가 있었다.
      사례 조사는 2003년 이후 건설된 대구광역시 공동주택의 환경조형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로 달서구의 S아파트를 선정하였다. 연구조사 후 나타난 문제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선정된 대상지의 현황과 배치도, 공간 분석에 따른 조형물의 재료, 색상, 형태, 규모를 제시하고 조형물의 컨셉과 테마, 조형물의 전통적 의미와 유래를 반영한 시공방법과 도면을 여러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설계방식에 비해 심리적인 소통의 의미를 계획함으로써 보다 더 적극적인 의미의 조형물과 공간을 만들 수 있었다는 것이다. 설치에 급급한 현 조형물들의 상황을 앞서 주도할 수 있는 조형물을 설계하였으며 이로서 공동주택의 단점을 보완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지역사회를 윤택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다시 현 시대는 환경 친화적이며 공동체적인 삶으로 가고 있다. 그에 따라 정신적인 풍요로움을 요구하며 삶의 질에 관한 문제가 공동의 과제가 되었다. 주거환경에 있어서도 아름다움, 미관은 절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름다운 미관의 조성은 삶의 질을 향상 시킬 뿐 아니라 공간의 매력을 향상시켜 그 공간을 즐기게 함으로써 생활을 활성화 시키는 힘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환경조형물은 단순히 기념비적, 상징적인 소극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새로운 공간, 문화 창출이라는 적극적인 의미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에 따른 제도 개선 역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공동의 공간을 만드는 일은 결국 삶을 디자인 하는 일일 것이다.
      본 연구는 대구시의 2003년 이후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지는 달서구의 S 아파트 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 환경조형물의 영향에 적용 시키는 데에는 일반화에 따른 문제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더 많은 작품 위주의 실 사례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공공의 미술에 대한 광의의 연구가 아닌 실제 공동 주거공간의 한 사례만을 대상으로 언급하였다. 단지 주거단지 안에서 공유되는 조형물로서 만이 아니라 담장 허물기 사업과 같이 지역주민들과 단지 내 조형물을 공유할 수 있는 범위로 확대된 연구를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S. Thesis A Study on Tendency of Environmental Shape Object Design in Multi-Housing Complex -Centering Environmental Shape Object in S Apartment, DalSeo-gu, DaeGu- Son, Byung-Ki Majoring in Urban Landscape Desig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MS. Thesis

      A Study on Tendency of Environmental Shape Object Design in Multi-Housing Complex
      -Centering Environmental Shape Object in S Apartment, DalSeo-gu, DaeGu-

      Son, Byung-Ki

      Majoring in Urban Landscape Desig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Health, Yo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Park, Chan-Yong)


      (Abstract)
      The architecture is not just existence of real space but is creation of new space tha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art is interactively reflected. The environmental shape object is very important factor for raising the quality of space in space, structure, and psychological part. The environmental plastic art product is not just for ornamenting shape of structure separately but is for creating new space or completing the function in integrative way. The environmental shape object affects people not only in structural meaning but also psychological aspects, and it can change meaning and role of the space and create a new meaning for it.
      The problem about individuality of multi-housing has been thought as controversial since the start of multi-housing. The group-space is one of the result that came out through the effort to overcome disconnection between residents. The alternative can be suggested when structure can give meaning of space to residents and take a role as changing people's life so that it can provide artistic, humane, and psychologic effect on people. Then it will actively lead residents' life.
      This research chose multi-housing complex in DalSeo-gu, DaeGu, and analyzed general status, shape, material, color, scale etc. of environmental shape object in the complex. Then based on these basic meaning of the structure, I design the product to be appropriate for features of community and social-psychological meaning. I intended to suggest features, installation guide, etc. that are decent for multi-housing complex by designing structure that harmonizes with goal and method of this research. For this, I researched history, function, bill of environmental shape object, and case-studied the trend of structures in DaeGu to select the alternative designing area. Through the research, I found some problems in bill, administration, construction investor oriented structure, forced construction to fit cost and bill, ability of architect.
      The object of study is environmental shape object that is constructed after 2003 and as a result S apartment in DalSeo-gu has been selected. To minimize the problem that can appear as result of the research, I suggested status, layout drawing of the area and material, color, shape, scale of the structure. Also, the construction method and sketch that reflects traditional meaning and origin is provided.
      The result we got from this research is that we could make more active meaning of structure and space through planning more psychological connection than existing designing method. I design the structure that can lead existing structures so that weak point of multi-housing complex can be overcome and quality of life can be raise. Eventually, local community will prosper.
      The present age is wanting environmental friendly and communal life. Therefore, it demands spiritual richness, and the quality of life has became a problem of all. Beauty takes important role in residential environment. Making beautiful sights makes better quality of life and has a force to vitalize life by have people enjoy charming space. So the environmental shape object should not stay in its monumental, symbolistic, passive meaning but reborn as active meaning of creation of new space and culture. An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has to be carried out.
      To make common space is to design life.
      This research might have problem to be generalized because it is only related to multi-housing complex that has constructed after 2003 and the case object was S apartment in DalSeo-gu. So the more case study is needed in the future. Also, this research is just about one actual multi-housing complex, not broad sense of public art. I suggest that we should not limited to structure that is shared in complex but broaden our research to structure that can be shared with local residents such as 'breaking down the fence' proj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제Ⅰ장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배경 1
      • 2. 연구범위 및 방법 3
      • 2-1 연구범위 3
      • 목 차
      • 제Ⅰ장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배경 1
      • 2. 연구범위 및 방법 3
      • 2-1 연구범위 3
      • 2-2 연구방법 4
      • 2-2-1 실태조사 및 분석 4
      • 2-2-2 대상지 설계 4
      • 제Ⅱ장 환경조형물의 이론적 고찰 5
      • 1. 환경조형물의 개요 5
      • 1-1 환경조형물의 개념 5
      • 1-2 환경조형물의 역사적 배경 6
      • 1-3 제도적 측면 11
      • 1-3-1 국내환경물의 제도적 고찰 21
      • 1-3-2 외국의 제도 21
      • 1-3-3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4
      • 2. 환경조형물의 역할과 기능 27
      • 2-1 환경적 역할 27
      • 2-2 기능적 역할 28
      • 2-3 주거단지에서의 환경조형물의 조화 29
      • 2-3-1 환경조형물의 게슈탈트적 의미 29
      • 2-3-2 형태 30
      • 2-3-3 조형물과 공간의 성격 32
      • 2-3-4 환경과 형태 조화 33
      • 2-4 선행연구고찰 34
      • 제 Ⅲ장 대구시 환경조형물에 대한 사례조사 및 분석 35
      • 1. 사례 대상지 개요 35
      • 1-1 선정 및 범위 35
      • 1-2 사례 조사 방법 35
      • 1-3 사례 대상지 현황 36
      • 2. 사례 대상지 환경조형물 조사 및 분석 37
      • 2-1 u선수촌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37
      • 2-2 침산동 명성푸르지오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41
      • 2-3 진천동 포스코더샵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42
      • 2-4 유천동 포스코더샵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42
      • 2-5 월성동 태왕아너스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43
      • 2-6 월성동 삼성레미안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43
      • 2-7 상인동 스카이렉스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44
      • 2-8 유천동 화성파크드림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44
      • 2-9 대곡역 신동아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45
      • 2-10 진천 쌍용예가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45
      • 2-11 월성 코오롱하늘채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46
      • 2-12 수성 드럼프월드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47
      • 2-13 상인 e편한세상1단지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48
      • 2-14 상인 e편한세상2단지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48
      • 2-15 월성동 월드메르디앙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49
      • 2-16 상인 KCC스위첸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49
      • 2-17 다사 청아람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50
      • 2-18 남산동 휴먼시아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52
      • 2-19 범어 두산위브제니스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53
      • 2-20 진천 태영데시앙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54
      • 2-21 월성동 e편한세상 아파트 환경조형물 분석 54
      • 3. 분석의 종합 및 평가 55
      • 3-1 공간분석 55
      • 3-2 형태분석 57
      • 3-3 기능분석 58
      • 3-4 재료분석 59
      • 3-5 규모분석 60
      • 제Ⅳ장 대상지 선정 환경조형물 설계 계획 61
      • 1.설계 개요 61
      • 1-1 대상지 선정 61
      • 1-2 대상지 현황 및 공간분석 61
      • 2. 환경조형물 컨셉 및 테마 62
      • 2-1 팽이치기 63
      • 2-2 오방색 63
      • 3. 설계의 기본구상 64
      • 3-1 조형물구상 64
      • 3-2 기본개념 66
      • 3-2-1 공간성 66
      • 3-2-2 재료 66
      • 3-2-3 형태 67
      • 3-2-4 기능 67
      • 3-2-5 규모 67
      • 4. 환경조형물 제안 설계 68
      • 4-1 조형물 개요 68
      • 4-2 조형물 주제 68
      • 4-3 환경조형물 설계A안 69
      • 4-4 환경조형물 설계B안 75
      • 4-5 시공방법 79
      • 4-6 기대효과 79
      • 제Ⅴ장 결 론 80
      • 참고문헌 83
      • 국문초록 84
      • 영문초록 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