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삶과 앎에 기초한 초등교육의 방향 탐색 = A study on direction of elementary education based on life and know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44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삶과 앎에 대한 고찰을 통해 초등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등교육은 학습자의 삶과 앎에 기초하고 있다. 삶과 앎의 의미에서, 삶의 가치는 쾌락주의, 객관주의, ...

      본 연구는 삶과 앎에 대한 고찰을 통해 초등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등교육은 학습자의 삶과 앎에 기초하고 있다. 삶과 앎의 의미에서, 삶의 가치는 쾌락주의, 객관주의, 욕구이론으로 구분되며 앎의 성격은 객관주의, 상대주의,
      간주관주의로 나뉠 수 있다. 이들은 각기 서로 다른 이론으로 구분되지만 공히 객관과 주관의 이분법적 경계를 지양하고 양자의 조화를 추구해 왔다. 교육에서의 삶과 앎은, 삶을 우위에 두는 아동중심교육과 앎을 우위에 두는 지식중심교육으로 대별되
      는데, 이들은 공히 삶과 앎의 순환 관계에서 비롯된다. 이상을 바탕으로 한 초등교육의 방향성은 첫째, 초등교육은 ‘함’을 통해 ‘앎’에 도달해야 한다. 즉, 활동을 통해 교과에 접근해야 한다. 둘째, 초등교육은 아동 자신의 ‘앎의 욕구’를 발견하고 추구
      해야 한다. 앎의 욕구는 학령기아동에게 가장 중요한 욕구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direction of elementary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on of life and knowing. Elementary education is based on the life and knowing. For the meaning of life and knowing, the value of life is separated by 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direction of elementary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on of life and knowing. Elementary education is based on the life and knowing. For the meaning of life and knowing, the value of life is separated by hedonism, objective theories, desire theory and the nature of knowing can be divided into objectivism, relativism, inter-subjectivism. Although they are separated by different theories, each of them avoided dichotomy boundary and pursued a blend of them. The life and knowing in education are divided child-centered education emphasized on life into knowledge-based education emphasized on knowing. Both of them are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ycle of life and knowing. Based on these studies, directions of
      elementary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knowing must be reached through doing . In other words, subject matter should be approached through activities.
      Second, elementary education should seek to discover desires of children. Because the most important desire of school-age children is know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삶의 가치와 앎의 성격
      • Ⅲ. 교육에서의 삶과 앎
      • Ⅳ. 초등교육의 방향 탐색
      • Ⅴ. 결론
      • Ⅰ. 서 론
      • Ⅱ. 삶의 가치와 앎의 성격
      • Ⅲ. 교육에서의 삶과 앎
      • Ⅳ. 초등교육의 방향 탐색
      •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창규, "초등학교 '좋은' 수업의 특성 연구 -담화행위(act), 유도행위, 교수행동요소, 바로잡기(repair)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25-49, 2006

      2 엄태동, "초등교육의 재개념화" 학지사 2003

      3 권동택, "초등교육의 관점에서 본 기초교육의 의미" 한국초등교육학회 16 (16): 41-58, 2003

      4 고창규, "초등교사들이 수업관찰에서 주목하는 내용" 한국교육인류학회 13 (13): 103-138, 2010

      5 정광순,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4 (4): 1-20, 2010

      6 Rorty. R., "철학 그리고 자연의 거울" 까치글방 1998

      7 이우영, "지식사회학의 연구대상으로서의 지식의 분류를 위한 시론" 7 : 217-239, 1986

      8 황규호, "지식교육이 추구하는 앎의 상태에 대한 분석" 16 (16): 77-104, 1998

      9 홍은숙, "지식교육에 관한 논의의 유형 분석" 4 (4): 141-168, 2003

      10 주동률, "좋은 삶이란 어떤 것인가? -개인적 복지에 관한 이론적 탐구-" 43 (43): 339-370, 1998

      1 고창규, "초등학교 '좋은' 수업의 특성 연구 -담화행위(act), 유도행위, 교수행동요소, 바로잡기(repair)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25-49, 2006

      2 엄태동, "초등교육의 재개념화" 학지사 2003

      3 권동택, "초등교육의 관점에서 본 기초교육의 의미" 한국초등교육학회 16 (16): 41-58, 2003

      4 고창규, "초등교사들이 수업관찰에서 주목하는 내용" 한국교육인류학회 13 (13): 103-138, 2010

      5 정광순,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4 (4): 1-20, 2010

      6 Rorty. R., "철학 그리고 자연의 거울" 까치글방 1998

      7 이우영, "지식사회학의 연구대상으로서의 지식의 분류를 위한 시론" 7 : 217-239, 1986

      8 황규호, "지식교육이 추구하는 앎의 상태에 대한 분석" 16 (16): 77-104, 1998

      9 홍은숙, "지식교육에 관한 논의의 유형 분석" 4 (4): 141-168, 2003

      10 주동률, "좋은 삶이란 어떤 것인가? -개인적 복지에 관한 이론적 탐구-" 43 (43): 339-370, 1998

      11 김희봉, "잘삶을 위한 교육" 학지사 2011

      12 김종건, "자유교과의 교육과정적 지위" 16 (16): 51-76, 1998

      13 이상현, "인식체계의 연역적 해석에 내재된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17 : 181-199, 2005

      14 조무남, "앎과 삶 그리고 덕" 교육과학사 2002

      15 고진호, "아동의 생활세계와 학교교육과정 지식의 연관 탐색" 12 : 174-187, 1993

      16 김정래, "아동권리향연" 교육과학사 2002

      17 송광일, "듀이와 경험으로서의 언어" 범한철학회 56 (56): 165-186, 2010

      18 오인탁, "단계 이규호 전집 5. 교육철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1

      19 신국원, "근대 이후의 지식개념의 변천 요약" 1 (1): 5-20, 2000

      20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21 이홍우, "교육과정 탐구" 박영사 2010

      22 Griffin, J., "Well-being: its meaning, measurement and moral importance" Clarendon Press 1986

      23 Sumner. L. W., "Welfare, Happiness, Ethics" Clarendon Press 1996

      24 Ross, W. D., "The works of Aristotle" Oxford University Press 1925

      25 Jo Ann, B., "The later works of John Dewey, 1925-1953"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86

      26 Kagan. S., "The good life and the human go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27 Parfit. D., "Reasons and Persons" Clarendon Press 1984

      28 De Ruyter, D. J., "Pottering in the Garden? On Human Flourishing and Education" 52 (52): 377-389, 2004

      29 Hamm, C. M., "Philosophical issues in education: An introduction" Falmer Press 1989

      30 "Oxford Dictionary"

      31 "Merriam-Webster Dictionary"

      32 박준영, "John Dewey의 지성중심 교육철학"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5

      33 Hamlyn. D. W., "Experience and the growth of understanding" Routledge & Kegan Paul 1978

      34 Gill, S., "Education for well-Being : Conceptual framework, principles and approaches" 3 : 2011-, 2009

      35 White, J., "Education and the good life" Kogan Page 1990

      36 Dearden, R. F.,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reason" Routledge & Kegan Paul 1972

      37 Bernstein, R. J., "Beyond objectivism and relativism: Science, hermeneutics, and praxi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83

      38 Tredennick. H., "Aristotle The Metaphysic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5

      39 Nozick, R., "Anarchy, State, and Utopia" Basic. 1974

      40 김희봉, "'잘 삶'이론에 기초한 교육목적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41 김정래, ""잘삶"의 개념과 교육" 35 (35): 1-20,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