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시각예술 아카이브 사이트에 관한 실태조사 및 이용자 특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213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급변한 21세기 디지털 혁명으로 인하여 예술의 생산 형태가 바뀌었듯이 이제는 예술의 수용 형태도 달라지고 있다. 그러나 환경의 발전 정도에 비하여 시각예술의 정보 형태는 여전히 대다...

      급변한 21세기 디지털 혁명으로 인하여 예술의 생산 형태가 바뀌었듯이 이제는 예술의 수용 형태도 달라지고 있다. 그러나 환경의 발전 정도에 비하여 시각예술의 정보 형태는 여전히 대다수가 고전적인 형태를 띠며 폐쇄적인 구조이다. 또한 시각예술 분야에 관한 국가 주도의 문화정보화 사업이 진행되어왔으나 그 경과와 성과에 대하여 주목받지 못해온 실정이다. 문화정보화 사업의 성과로 현재 공공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 가운데 시각예술에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아카이브 사이트인 ‘문화포털’과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DA-Arts'가 있다. 이러한 시기와 맞물러 민간 영역에서 자발적으로 시각예술 분야에 집중적으로 몰두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해 온 두 기관이 있는데, 이는 ’네오룩 이미지올로기 연구소‘와 ’김달진미술연구소의 달진닷컴‘이다.
      상기 네 곳의 웹 사이트에 대하여 아카이브로써 어떠한 시각예술의 정보를 다루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으로, 시각예술 정보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통하여 시각예술 정보 아카이브에서 다루어야 할 것으로 보이는 주요 정보 항목의 틀을 도출해내어 각각의 웹 사이트의 실태를 파악해보았다.
      작가 정보, 작품 정보, 소장 정보, 전시 정보, 연구 정보, 비평 정보가 주요 정보 유형으로 설정되었고 이에 각각의 웹 사이트를 탐색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작업이 수행되었다. 위 여섯 항목을 전부를 충족하는 웹 사이트는 없었으며, 문화포털과 네오룩 이미지올로기 연구소, 김달진미술연구소의 달진닷컴은 소장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었고,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DA-Arts는 소장 정보는 제공하나 연구를 위한 다른 정보는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그 외에 작가 정보와 작품 정보, 전시 정보와 비평 정보는 방식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네 군데의 사이트 모두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시각예술 정보 아카이브 웹 사이트 이용자에 대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용자들이 어떠한 직업적 성향과 사이트 이용 동기, 경험, 만족도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the rapidly changing 21st century digital revolution is produced in the form of art has changed. Now, there are also different acceptable forms of art.  However, when compared to the development degree of the environment The information in the...

      Due to the rapidly changing 21st century digital revolution is produced in the form of art has changed. Now, there are also different acceptable forms of art.
       However, when compared to the development degree of the environment The information in the form of visual art is still the majority of the closed structure.
      Culture Information Service of the country-led project is in progress, however, it does not receive attention for that lapse and performance. Culture Information Service is the result of a website archive sites now operating in the public's business, 'Cultural portal' and 'Digital archive of art Korea DA-Arts'. And The voluntary focused on the two institutions to collect data on the visual arts in the private sector, which is 'Neolook imageolrogi Institute' and 'Daljin dot-com of Kimdaljin Art Institute'.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Status of these Web sites are contain information of any visual art as an archiv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Through previous research on visual arts information to derive the framework of the important items of information in the visual arts analyzed each web archive site.
       Artist Information, Art work information, collection information, exhibition information, research information, Critique information has been set as the main type of information. Search for each Web site, and determine whether the task of providing the relevant information has been carried out.
       There was above website to meet all six items. 'Cultural portal', 'Neolook imageolrogi Institute' and 'Daljin dot-com of Kimdaljin Art Institute' had not provided the information collection. 'Digital archive of art Korea DA-Arts' had not provided other information for the study provides a collection information.
      All web site provides Art work and Artist information, exhibition information and Critique information to the user.
       In addition, an online survey was about the website users. Occupational tendencies of users, sites motives, saw out about their experience and satisfa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제2장 예술 아카이브의 이론적 논의 8
      • 제1절 선행연구 8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제2장 예술 아카이브의 이론적 논의 8
      • 제1절 선행연구 8
      • 제2절 예술 아카이브의 정의 및 국내 도입 경과 12
      • 제3절 온라인 시각예술 정보 아카이브의 필요성 14
      • 제4절 시각예술 정보 유형 정의 19
      • 제3장 온라인 시각예술 정보 아카이브 실태조사 25
      • 제1절 공공기관 예술 정보 아카이브 25
      • 1. 문화포털 26
      • 2.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DA-Arts 34
      • 제2절 민간 시각예술 정보 아카이브 39
      • 1. 네오룩 이미지올로기 연구소 40
      • 2. 김달진미술연구소 달진닷컴 46
      • 제3절 온라인 시각예술 정보 아카이브 실태조사 53
      • 제4장 온라인 시각예술 정보 아카이브 이용자 특성 조사 55
      • 제1절 조사의 목적 및 방법 55
      • 제2절 설문 항목의 정의 56
      • 제3절 조사 결과 60
      • 제5장 결론 73
      • 제1절 결론 및 시사점 73
      •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76
      • 참고문헌 77
      • 부록 80
      • 국문초록 92
      • ABSTRACT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