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리치 Leech(2014)의 공손모델의 한계와 극복 가능성 = Grenzen des Modells von Leech(2014) und Möglichkeiten seiner Überwindu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654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Ziel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ist es, Grenzen des Modells von Leech(2014) mittels einer neuen Sicht zur Höflichkeit aufzuzeigen und einen Ansatz, der diese Grenzen überwindet, darzulegen. Höflichkeit als ein Phänomen des Sprachgebrauchs ist n...

      Ziel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ist es, Grenzen des Modells von Leech(2014) mittels einer neuen Sicht zur Höflichkeit aufzuzeigen und einen Ansatz, der diese Grenzen überwindet, darzulegen. Höflichkeit als ein Phänomen des Sprachgebrauchs ist nicht lediglich durch soziale Normen zu erfassen. Diese sind nur ein Teil der Höflichkeit.
      Höflichkeit ist im Wesentlichen ein Phänomen, das Gefühle des Gegenübers berücksichtigt. Höflichkeit ist daher auf Empathie bezogen. Je nach den jeweiligen Interessen bzw. Strategien des Sprechers ist Empathie in verschiedene Typen realisiert. Zunächst gibt es ‘die normative Höflichkeit’, die sozialen Konventionen folgt, wobei Empathie sich nur oberflächlich realisiert. Außerdem gibt es ‘die inhaltliche Höflichkeit’, die Empathie verdeutlicht, indem man die Gefühle und inneren Bedürfnisse des Gegenübers berücksichtigt.
      Sie sind wiederum in zwei Sub-Typen, in ‘positive Höflichkeit’ bzw. ‘negative Höflichkeit’ einzuteilen. Die erste verfolgt die Rücksichtnahme zur Intimität, die letzte hingegen die zur Autonomie des Andern. Der Verfasser dieser Arbeit ist der Meinung,, das dargelegte neue Höflichkeitskonzept und die hieraus resultierenden funktionalen Kategorien bilden einen Ansatz bzw. Orientierungspunkt, der die Grenzen des Modells von Leech überwind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공손은 내용적 기능적 현상인 반면, 사회적 규범준수는 적절한 언어형식의 사용과 관련된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형식이 필연적으로 어떤 의사소통의 기능과 일치하는 아니다. 공손현상을 ...

      공손은 내용적 기능적 현상인 반면, 사회적 규범준수는 적절한 언어형식의 사용과 관련된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형식이 필연적으로 어떤 의사소통의 기능과 일치하는 아니다. 공손현상을 언어형태가 아니라 그것의 기능적 다양성 속에서 설명하려는 연구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예컨대 ‘존대법 Honorifika’을 다양한 전략적 기능의 관점에서 연구한 논문들이 있고 특정 언어행위의 기능적 복잡성을 연구한 논문도 있다. 여기에서 ‘미사어구 Floskel’의 한계가 드러난다. 언어형식은 그것이 비록 사회적 규범을 지키는 적절한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피상적 수준에서의 갈등 예방에만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규범적 언어표현을 공손과 일치시킬 수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리치 Leech (2014)도 동일한 한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리치는 브라운/레빈슨 모델(1987)의 핵심적 개념을 계승하고 이에 대한 수정과 보완을 거쳐 괄목할만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언어사용의 실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브라운/레빈슨(1987)과 마찬가지로 ‘이상적’ 언어, ‘이상적’ 표현전략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실제보다는 이론에 치중한 모델이라는 한계점은 리치(2014)에게도 여전히 발견된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리치의 모델을 평가하고 그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리치의 모델이 갖는 특징과 한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복, "한국어 경어법의 기능과 사용 원리" 소통 2012

      2 로젠버그, 마셜, "비폭력대화" 한국NVC센터 2014

      3 조용길, "논쟁적 토론의 반박행위에 나타난 체면전략 분석"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74 (74): 165-185, 2019

      4 Hwang, Juck-Ryoon, "“Deference” versus “Politeness” in Korean Speech" 82 : 41-55, 1990

      5 Wang, Han-Seok, "Toward a description of the organization of the Korean speech levels" 82 : 25-39, 1990

      6 Leech, Geoffrey, "The Pragmatics of Politenes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7 Fraser, Bruce, "The Association of Deference with linguistic Form" 27 : 93-109, 1981

      8 Grice, P., "Syntax and Semantics. Vollume 3: Speech acts" New York Academic Press 41-58, 1975

      9 Kada, Daniel Z., "Rethinking discernment" 9 (9): 133-159, 2013

      10 Cook, Haruko-Minegishi, "Reanalysis of discernment from a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 Academic consultation sessions in Japanese universities"

      1 이정복, "한국어 경어법의 기능과 사용 원리" 소통 2012

      2 로젠버그, 마셜, "비폭력대화" 한국NVC센터 2014

      3 조용길, "논쟁적 토론의 반박행위에 나타난 체면전략 분석"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74 (74): 165-185, 2019

      4 Hwang, Juck-Ryoon, "“Deference” versus “Politeness” in Korean Speech" 82 : 41-55, 1990

      5 Wang, Han-Seok, "Toward a description of the organization of the Korean speech levels" 82 : 25-39, 1990

      6 Leech, Geoffrey, "The Pragmatics of Politenes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7 Fraser, Bruce, "The Association of Deference with linguistic Form" 27 : 93-109, 1981

      8 Grice, P., "Syntax and Semantics. Vollume 3: Speech acts" New York Academic Press 41-58, 1975

      9 Kada, Daniel Z., "Rethinking discernment" 9 (9): 133-159, 2013

      10 Cook, Haruko-Minegishi, "Reanalysis of discernment from a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 Academic consultation sessions in Japanese universities"

      11 Brown, Penelope, "Politeness.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12 Watts, Richard J., "Politeness. Key Topics in Socio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3 Blum-Kulka, Shoshana, "Politeness in language: Studies in its history, theory and practice" Mouton 255-288, 1992

      14 Gu, Yueguo, "Politeness Phenomena in Modern Chinese" 14 : 237-257, 1990

      15 Weinrich, H., "Lügt man im Deutschen, wenn man höflich ist?"

      16 Cho, Yong-Kil, "Grammatik und Höflichkeit im Sprachvergleich. Direktive Handlungsspiele des Bittens, Aufforderns und Anweisens im Deutschen und im Koreanischen" Tübingen 2005

      17 Ide, Sachiko, "Formal Forms and Discernment: Two neglected aspects of universals of linguistic politeness" 8 : 223-248, 1989

      18 Sifianou, Maria, "Disagreements, face and politeness" 44 : 1554-1564, 2012

      19 Cho, Choon-Hak, "A Study of Korean Pragmatics: Dexis and politeness" Hanshin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9 0.2 0.425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