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자기조절 신체훈련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의 구어기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Self-regulated Physical Training Program on Speech Func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7599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기조절 신체훈련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 3명의 자세동작에 대한 자기조절능력, 구어기관에 대한 자기조절능력과 구어명료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자세동...

      본 연구는 자기조절 신체훈련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 3명의 자세동작에 대한 자기조절능력, 구어기관에 대한 자기조절능력과 구어명료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자세동작과 구어기관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에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구어명료도에는 기초선-중재-유지-일반화 설계를 적용했다. 연구결과 대상아동 모두의 자세동작과 구어기관에 대한 자기조절능력과 구어명료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지와 일반화 단계에서도 의미 있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히 아동의 신체조절 능력과 구어명료도가 향상된 것보다 자신의 신체를 아동 스스로 조절하는 방법을 학습하여 그것을 통해 평소에도 자신의 신체조절을 연습할 수 있게 되었다는 데 더 큰 의미가 있다 하겠다. 일반적으로 자기조절 학습전략은 비장애학생들의 상위인지 학습 전략과 같은 고도의 정신적 영역만을 대상으로 한다고 인식해 왔다. 그러나 비고츠키와 그의 제자 루리아는 모든 아동들의 학습능력 개선에 필요한 자기조절학습 이론을 제시했으며, 일본의 코사쿠 나루세는 일찍부터 뇌성마비학생들을 학습의 주체자로 바라보고 동작 훈련법을 개발하여 적용해 왔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특수교육 현장에서도 뇌성마비아의 자기조절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와 자기조절 신체-언어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후속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어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제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been known that the physical control training affects speech function of cerebral palsied children, however,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researches focussed on what effects of the physical control training are on the ability of cerebral pals...

      It has been known that the physical control training affects speech function of cerebral palsied children, however,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researches focussed on what effects of the physical control training are on the ability of cerebral palsied. Although self-leading learning is requested in the 21st century education, diagnosis-treatment model is mainly used in order to treat and educate cerebral palsied children. Therefore, three cerebral palsied children have been taken for this research which is focussed on how the self-regulated physical training program affects self-regulated physical ability of their posture movement and articulator and their speech intelligibility.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have been adopted for self-regulated physical ability of their posture movement and articulator and baseline-intervention-follow-up-generalization design for speech intelligibility. As a result, all of them improved their self-regulated physical ability and speech intelligibility and there have been positive results in the stage of follow-up and generalization. What is more meaningful is not just their physical control ability has improved but they are able to practise self-regulated physical control in their everyday life as the result of learning of physical regulating. It has been recognise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re taken mainly for the advanced mental region like non-special students` meta-cognition. However, Vygotsky and his student Luria devised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to improve learning ability of general students and Gosaku Naruse from Japan regarded a cerebral palsied child as the person who leads learning and Dosa-Hou which was applied to the cerebral palsied children. I suggest that there be more researches on self-leading learning strategies of cerebral palsied children in order to treat them and continuous follow-up researches on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physical-linguistic training program, which will help more and more cerebral palsied childr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숙희, "호흡근 조절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조음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2 고유경, "학습동기가 높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의지조정 전략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 김병하, "특수교육의 역사와 철학"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2

      4 김선희, "체간과 머리 자세 조정을 이용한 호흡 및 조음 기관 훈련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구어 기초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 대학원 2000

      5 박금옥, "청소년들의 자기조절학습방략 정도와 학업성취 및 사회적 능력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6 권요한, "청각장애아 교육" 학지사 2004

      7 박성혜, "전인적 접근에서 본 뇌성마비아동의 중재와 언어치료 방향" 7 (7): 2002

      8 김상진, "적절한 앉기자세가 7-9세 뇌성마비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5

      9 유재연, "자세조정이 뇌성마비 학생의 조음 개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8

      10 강문희,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 고찰" 1 : 115-134, 1995

      1 김숙희, "호흡근 조절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조음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2 고유경, "학습동기가 높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의지조정 전략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 김병하, "특수교육의 역사와 철학"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2

      4 김선희, "체간과 머리 자세 조정을 이용한 호흡 및 조음 기관 훈련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구어 기초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 대학원 2000

      5 박금옥, "청소년들의 자기조절학습방략 정도와 학업성취 및 사회적 능력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6 권요한, "청각장애아 교육" 학지사 2004

      7 박성혜, "전인적 접근에서 본 뇌성마비아동의 중재와 언어치료 방향" 7 (7): 2002

      8 김상진, "적절한 앉기자세가 7-9세 뇌성마비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5

      9 유재연, "자세조정이 뇌성마비 학생의 조음 개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8

      10 강문희,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 고찰" 1 : 115-134, 1995

      11 김용주,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8

      12 김숙영, "자기조절개념에 관한 문헌 고찰" 13 : 293-310, 1993

      13 김영태, "우리말 조음․음운평가(U-TAP)"

      14 김미숙, "새로운 관점에서 점진적 변화를 시도하는 일본의 특수교육" 10 (10): 84-98, 2003

      15 김승국, "사회성숙도 검사" 중앙적성출판사 1995

      16 한순미, "비고츠키와 교육 문화-역사적 접근" 교육과학사 2000

      17 김억환, "비고츠키 이론에 기초한 유아의 자기조정 능력의 발달" 22 : 59-88, 1998

      18 김승기,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경주대학교 대학원 2002

      19 김대영, "보바스 개념을 이용한 항 중력 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자세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0

      20 정재권, "뇌성마비아의 자세지도" 대구대학교출판부 2000

      21 박혜숙, "뇌성마비아의 언어치료-Bobath 치료법의 개요" 연세대학교출판부 1991

      22 정미전, "뇌성마비아의 언어능력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1984

      23 김중선, "뇌성마비아의 동작훈련" 대구대학교출판부 1996

      24 홍정선, "뇌성마비아 호흡의 문제점과 치료" 134-135, 1997

      25 전헌선, "뇌성마비아 언어치료교육" 대구대학교출판부 2004

      26 윤병완, "뇌성마비 언어장애와 치료"

      27 박정숙, "뇌성마비 아동의 조음 훈련 프로그램 적용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2

      28 정진자, "구강운동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7 (7): 27-46, 1998

      29 박숙희, "교수․학습과 교육공학" 학지사 2002

      30 今野義孝, "障害兒の 發達と 促す 動作法" 學怨社 1992

      31 円口操, "腦性マビ兒の立位․步行動作" 1985

      32 成瀨悟策, "腦性マビ兒の ための 動作と 訓練" 2 (2): 1980

      33 橋本重治, "肢體不自由敎育總說" 福村出版 1985

      34 文部省, "肢體不自由兒敎育" 日本肢體不自由兒協會 1986

      35 成瀨悟策, "心理リハビリテイソヨン-腦性麻痺兒の 動作と 訓練" 誠信書房 1973

      36 成瀨悟策, "心理リハビリテイソヨン" 誠信書房 1973

      37 古賀精治, "動作訓練による經度の腦性まび兒の 立位․步行動作の改善" 1989

      38 成瀨悟策, "動作ガらみた 發達障害" 日本特殊敎育總合硏究所 1982

      39 Weinert, P. E., "self-regulated learning as an instructional prerequisite: method and objectice" 117-128, 1987

      40 Vygotsky, L., "Thought and language" Wiley 1962

      41 Luria, A. R., "The role of speech in the regulation of normal and abnormal behavior" Liverwright 1961

      42 Corno, L., "The metacognitive control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11 : 333-346, 1986

      43 Crickmay, M. C., "Speech therapy and the Bobath approach to cerebral palsy" Charles C. Thomas Publisher 1966

      44 Van Riper, C., "Speech Correction" Prentice Hall 1984

      45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986

      46 Corno, L., "Self-regulated Learning: A volitional analysis, I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Springer-Verlag 111-141, 1989

      47 McCombs, B.L., "Putti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 The self as agent in intergrating will and skill" 25 (25): 51-69, 1990

      48 Mace, F. C., "Operant theory and research on self-regulation, I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ve" Springer-Verlag 27-50, 1989

      49 Hammill, D. D., "On defining learning disabilities : An emerging consensus" 23 (23): 74-84, 1990

      50 Pintri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82): 33-40, 1990

      51 Flavell, J. H.,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developmental inquiry" 34 (34): 906-911, 1979

      52 곽금주, "K-WISCⅢ 지능검사"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4

      53 Zimmerman, B. J., "A social-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81 : 329-339,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