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창업가의 성격특성이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Entrepreneurs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5524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숭실대학교 대학원 , 벤처중소기업학과 , 2018.0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58.1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 129 p. : 삽화, 표 ; 26 cm

      • 일반주기명

        숭실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정대용
        참고문헌: p. 98-122

      • UCI식별코드

        I804:11044-20000010288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e Korean entrepreneurs actually happy? This question is the key background and subject of this study. Most of them hope to become a successful entrepreneur; but the reality of start-up establishment is not satisfying their initial expectations suffi...

      Are Korean entrepreneurs actually happy? This question is the key background and subject of this study. Most of them hope to become a successful entrepreneur; but the reality of start-up establishment is not satisfying their initial expectations sufficiently. The survival rate of new Korean start-ups and the entrepreneurs' satisfaction are absurdly low,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Nevertheless, there are motivation factors that cause Koreans to make an annual attempt to establish a start-up. The study aims to explore what other factor exists, along with a financial expedient as a factor in satisfaction from start-up establishment, and to look at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variables.
      The satisfaction from start-up establishment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outcome but also by the personal trai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rt-up, and the establishment motive. The study deals with one of start-up establishment satisfaction determinants well-being, defined as a measure of objective well-being of an individual. Well-being is classified in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psychological well-being, considered as a measure that is more comprehensive and objective.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big 5 personality trait factors,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ere set as variables 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is the key hypothesis an entrepreneur's big 5 personality trait factors have significant (+)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dditional hypotheses were set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have significant (+)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fficacy has significant (+)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other hypothesis was set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an entrepreneur's big 5 personality trait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hypothesis verification,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220 copies were collected as a sample from Korean entrepreneur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an analysi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ample was performed;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with the use of a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5 personality trait factors, psychological well-being,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as analyzed.
      The study found that an entrepreneur's personality traits have positive (+)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hypothesis was also adopted an entrepreneur's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the big 5 personality trait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 in-depth analysis of the big 5 personality trait factors found that extraversion,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and openness have significant (+)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found that extraversion and openness ha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extraversion, openness, and neuroticism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fficacy. Unlike the previous studies, it was analyzed that openness has significant (+) influence in all the hypotheses. In the previous studies, the influence of openness was inadequate or was not shown; but its influence is increasing recently. It is required to discuss if the personality trait essential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openness. The study's academic implication is that it is Korea's first exploratory study presenting that another potential benefit exists as factor in satisfaction from start-up establishment, in addition to income. Its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it has present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suitable for an individual's start-up environment and of promoting self-efficacy. Also, it has provided a piece of information saying that the big 5 personality trait factors and self-efficacy can be considered when those engaged in start-up policy look for prospective start-up entrepreneurs with success potential. I hope that there will be further studies of motivation for start-up establishment and satisfaction from start-up establishment, based on the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창업가들은 과연 행복할까? 라는 질문은 본 연구의 핵심배경이며 논제이다. 대다수 창업가는 성공한 기업가가 되기를 희망하지만, 작금의 창업 현실은 충분한 초기 기대를 만족시...

      우리나라 창업가들은 과연 행복할까? 라는 질문은 본 연구의 핵심배경이며 논제이다. 대다수 창업가는 성공한 기업가가 되기를 희망하지만, 작금의 창업 현실은 충분한 초기 기대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창업 생존율과 만족도는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저조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년 새로운 창업을 시도하는 동기부여 요인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만족요인으로 재정적인 방편만이 아니라 또 다른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관련변인들의 인과관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창업만족은 성과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개인적 특성, 기업특성, 창업동기 등의 영향을 받는다. 창업만족결정요인 중에 개인의 객관적인 행복척도로 정의되는 웰빙(Well-being)에 관한 연구이다. 웰빙은 심리적 웰빙과 주관적 웰빙으로 구분 되는데 더 포괄적이며 객관적인 척도로 간주되는 심리적 웰빙에 대한 실증분석이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성격특성 Big 5요인, 직무만족, 자기효능감을 심리적 웰빙 관련변인으로 설정하였다.
      핵심가설은 창업가의 성격특성 Big 5요인이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추가가설로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웰빙에,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정하였다. 또한 창업가의 성격특성 Big 5요인과 심리적 웰빙 사이에서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설문문항을 개발하고 한국의 창업가들로부터 220부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표본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을 위한 확인적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또한, 성격특성 Big 5요인과 심리적 웰빙, 직무만족, 자기효능감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창업가의 성격특성은 심리적 웰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가의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들도 채택되었다. 또한, 성격특성 Big 5요인과 심리적 웰빙 사이에서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격특성 Big 5요인에 대한 심층 분석결과, 외향성, 성실성, 신경증, 개방성이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향성과 개방성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외향성, 개방성, 신경증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와 다르게 개방성은 모든 가설에서 유의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전연구에서는 개방성의 영향력이 미비하거나 나타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 4차 산업시대에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성격특성이 개방성인지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은 창업만족요인으로 소득만이 아니라 또 다른 잠재적 혜택이 있음을 제기한 국내 최초의 탐색적 연구라는 점이다. 실무적 시사점은 개인의 창업환경에 맞는 성격특성을 개발하고 자기효능감 고양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창업정책 종사자들에게 성공잠재력을 갖춘 창업지망자 탐색에서 성격특성 Big 5요인과 자기효능감이 고려될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창업 동기부여 및 만족에 관한 향후연구가 지속되기를 소망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ⅵ
      • 영문초록 ⅷ
      • 목 차
      • 국문초록 ⅵ
      • 영문초록 ⅷ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1.1.1 창업 환경 및 만족요인의 변화 1
      • 1.1.2 창업만족결정요인 검토 4
      • 1.2 연구의 목적 7
      • 1.2.1 창업가의 웰빙 검토 7
      • 1.2.2 창업만족결정요인 고찰 8
      • 1.3 연구문제의 제기와 구성 10
      • 1.3.1 연구문제의 제기 10
      • 1.3.2 연구의 구성 12
      • 제 2 장 이론적 배경 13
      • 2.1 성격특성 13
      • 2.1.1 성격특성의 개념 13
      • 2.1.2 성격특성 Big 5요인 15
      • 2.1.3 성격특성 Big 5요인과 기업가정신 19
      • 2.2 심리적 웰빙 21
      • 2.2.1 심리적 웰빙의 개념 21
      • 2.2.2 심리적 웰빙의 구성요소 27
      • 2.2.3 심리적 웰빙의 연구흐름 30
      • 2.3 직무만족 33
      • 2.3.1 직무만족의 개념 33
      • 2.3.2 직무만족의 연구흐름 35
      • 2.3.3 창업가의 삶의 만족인 직무만족도 38
      • 2.4 자기효능감 40
      • 2.4.1 자기효능감의 개념 40
      • 2.4.2 자기효능감의 연구흐름 41
      • 2.4.3 창업가의 자기효능감 43
      • 제 3 장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45
      • 3.1 연구모형 45
      • 3.2 가설설정 46
      • 3.2.1 성격특성 Big 5요인과 심리적 웰빙의 관계 46
      • 3.2.2 성격특성 Big 5요인과 직무만족의 관계 48
      • 3.2.3 직무만족과 심리적 웰빙의 관계 52
      • 3.2.4 성격특성과 심리적 웰빙 사이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54
      • 3.2.5 성격특성 Big 5요인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57
      • 3.2.6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웰빙의 관계 59
      • 3.2.7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관계 61
      • 3.2.8 성격특성과 심리적 웰빙 사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63
      • 제 4 장 연구방법 66
      • 4.1 표본선정 및 자료수집 방법 66
      • 4.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구성 66
      • 4.3 표본의 일반적 특성 68
      • 제 5 장 실증분석 및 결과해석 70
      • 5.1 측정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70
      • 5.1.1 성격특성 Big 5요인의 확인적요인분석 71
      • 5.1.2 심리적 웰빙의 확인적요인분석 72
      • 5.1.3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의 확인적요인분석 73
      • 5.1.4 전체 구성요소의 확인적요인분석 74
      • 5.2 가설검증 및 연구결과해석 77
      • 5.2.1 구조방정식모형 가설검증 77
      • 5.2.2 성격특성 Big 5요인 심층분석 79
      • 5.2.3 매개효과 분석 82
      • 5.3 실증 결과해석 84
      • 5.3.1 구조방정식모형분석 결과해석 84
      • 5.3.2 성격특성 Big 5요인 심층분석 결과해석 88
      • 제 6 장 결론 91
      • 6.1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91
      • 6.2 연구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95
      • 참고문헌 98
      • 부 록 12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강병서, "SPSS17.0사회과학 통계분석", 한나래아카데미, 한나래출판사. 232-244, 2009

      2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출판사. 368-415, 2013

      3 황순택 ( Soon Taeg Hwang ), 이주영(Jooyoung Lee), 박미정(Mijung Park), 조혜선(Hyeseon Jo), "성격장애와 기질 및 성격특질 간의 관계", 대한신경외과학회, 한국심리학회지. 29(2): 1-13, 2015

      4 노경섭, "SPSS & AMOS 21: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한빛아카 데미. 288-347, 2014

      5 김용규, 김우영, "자영업주와 임금근로자의 직업만족도 비교 분석",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 업연구. 23(3): 29-54, 2001

      6 신유근, "조직행동론. 인간존중의 경영: 조직 행위론적 접근", 다산출판사, 1997

      7 김정자, 김해룡,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한 국산업경영학회. 9: 271-279, 2011

      8 이성재, 이지민, 이주연, "대졸 청년층 자영업자의 현황과 자영업 유지의 특성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2012

      9 김명소, 차경호, 김혜원, "심리적 웰빙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15(2): 19-39, 2001

      10 정승언(Seung Eon Jeong), 장성철(Sung Chul Chang), "진성 리더십과 심리적 웰빙에 대한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창조와 혁신. 9(4): 107-146, 2016

      1 강병서, "SPSS17.0사회과학 통계분석", 한나래아카데미, 한나래출판사. 232-244, 2009

      2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출판사. 368-415, 2013

      3 황순택 ( Soon Taeg Hwang ), 이주영(Jooyoung Lee), 박미정(Mijung Park), 조혜선(Hyeseon Jo), "성격장애와 기질 및 성격특질 간의 관계", 대한신경외과학회, 한국심리학회지. 29(2): 1-13, 2015

      4 노경섭, "SPSS & AMOS 21: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한빛아카 데미. 288-347, 2014

      5 김용규, 김우영, "자영업주와 임금근로자의 직업만족도 비교 분석",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 업연구. 23(3): 29-54, 2001

      6 신유근, "조직행동론. 인간존중의 경영: 조직 행위론적 접근", 다산출판사, 1997

      7 김정자, 김해룡,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한 국산업경영학회. 9: 271-279, 2011

      8 이성재, 이지민, 이주연, "대졸 청년층 자영업자의 현황과 자영업 유지의 특성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2012

      9 김명소, 차경호, 김혜원, "심리적 웰빙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15(2): 19-39, 2001

      10 정승언(Seung Eon Jeong), 장성철(Sung Chul Chang), "진성 리더십과 심리적 웰빙에 대한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창조와 혁신. 9(4): 107-146, 2016

      11 나병민, 이종건, "창업자의 희망이 감정적 소모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벤처창업연구 8(4): 1-8, 2013

      12 박정양, 손선희, 서경현, "여성 직장인의 감사성향과 주관적 웰빙 및 행복감 간의 관계", 대한스트레스학회, 스트레스연구. 23(4): 215-223, 2015

      13 이원석, "대졸 청년창업자의 직업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박사학위논문", 부 경대학교 대학원, 2016

      14 임옥진, "직장인의 Big-Five 성격특성과 자기효능감 및직무만족도의 관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9(1): 75∼106, 2016

      15 곽금주, 최지영, 전숙영, 민하영, 김경은, "한국 중년 남성의 집합주의, 직무만족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9(2): 251-267, 2013

      16 허지연, 손은정, "청년기와 중년기 집단에서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사회과학논총. 28(2): 105-128, 2009

      17 정대용(Chung, Dae-Yong), 정경희(Jeong Kyung Hee), "창업가의 성격특성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경영교육연구. 32(6): 453-473, 2017

      18 김대용, 김재관,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회, 한국자치행정학보. 28(4): 421-446, 2014

      19 모화숙, 하대현, 박미라,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 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연구심리. 27(3). 761-781, 2013

      20 장성철, "진성 리더십이 작업장에서의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 위 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6

      21 김형진, "보험회사 지점장의 성격특성 Big 5 가 직무성과 및 직무만족 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 2017.5: 234-250, 2017

      22 김봉환, 이윤희, "평생 능력 개발: 직장인의 직무만족과 자아정체감 및 심 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실천공학교육논문지. 2(1): 135-145, 2010

      23 김교현, 원두리, "심리적 웰빙을 어떻게 추가할 것인가: 웰빙에 영향을 주 는 요소들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11(1): 125-145, 2006

      24 정대용(Chung, Dae-Yong), 김재형(Kim, Jae-Hyoung), "창업실패관련 행동적 평가가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경영교육연구. 32(4): 145-163, 2017

      25 홍순복, "세무공무원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심리적 웰빙 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10(4): 298-305, 2010

      26 김진희, 박미진,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에서 진로결 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67-85, 2015

      27 정대용(Chung, Dae-Yong), 채연희(Chae, Yeon-Hee),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이 창업효능감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경영교육연구. 31(1): 85-110, 2016

      28 김정옥, "청년창업자의 창업의지와 창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 구. 석사학위논문", 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2

      29 이무선, "외식창업부동산점포의 입지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벤처창업학회, 한국벤처창업연구. 12(2): 77-86, 2017

      30 박미선, "성격유형에 따른 감성지능, 심리적 웰빙, 직무성과 간의 인과관계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31 김정민(Jung Min Kim), 우선혜(Seon Hye Woo), 조한솔(Han Sol Jo), "중년기 남성의 개인내적 변인, 가족 변인 및 직무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확회지. 34(6): 15-26, 2016

      32 김정란, 변은주, "베이비부머 세대의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스트레스연구. 25(2): 98-104, 2017

      33 노경문, 유효상, 오세형, 권기욱, "성격유형, 직무만족, 이직의도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운수서비스종사자를 중심으로", 서비스사이언스학회, 서비스연구. 6(1): 51-69, 2016

      34 이상현, 한장헌, "스키리조트 여가체험유형과 성격특성이 심리적 안녕감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관광레저연구. 27(10): 251-271, 2015

      35 김정민, "판매원의 개인성격특성에 따라 감정부조화가 직무만족, 심리적 웰 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07

      36 천순덕, 최해수, "호텔종사원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A 유형 성격특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호텔경영학연구. 24(7호): 241-258, 2015

      37 김경애, "소상공인의 심리적 특성, 창업가정신, 창업만족, 창업추천 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3

      38 정대용, 서장덕, "성격특성 요인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 자본 확보에 미 치는 영향; 경남 창원공단 기술창업 기업가를 대상으로", 경영교육연구. 30(6): 55-80, 2015

      39 서인균, 이연실, "학업성취감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 감의 매개효과: 지역사회 평생교육 이용대상자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한국자치행정 학보. 29(4) : 297-323, 2015

      40 박성희, 정대용, "소상공인의 성격특성이 사회적 자본 확보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사업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경영교 육연구. 31(1): 295-318,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