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Q 방법론을 활용한 어린이집 원장의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n Daycare Center Directors’ Competence Based on the Q Method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46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is research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etencies required from the director of a childcare center. It also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pabilities of a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Objective: This research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etencies required from the director of a childcare center. It also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pabilities of a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mpetencies of a childcare center director?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ies of a childcare center director? Methods: In this study, the Q methodology was applied. First, the Q population was identified based on prior studies and through open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targeting 71 teachers and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Next, 40 Q samples were selected. Second, P samples were selected targeting the 30 directors, Q sort was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ur types of competencies were demanded from the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Second, the competencies required from the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were accountability-centered, functional-management-centered, human-relationship- centered, and rationality-centered capabiliti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policy-level of and educational ways to support the competencies of a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예린, "한국판 소명 척도(CVQ-K)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847-872, 2012

      2 박수진, "한국․미국․영국의 유아교육기관 원장 리더십역량 교육체계 비교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27 (27): 255-283, 2017

      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자료"

      4 권선영, "직업소명의 구성개념과 소명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393-420, 2014

      5 권기룡, "직무의 자율성이 혁신적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부하의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6 김동원, "중등 학교장의 핵심 역량 지표 개발 및 역량 수준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7 보건복지부, "제 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8 권현서, "정담임-정담임 팀티칭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갈등과 불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 정정희, "유치원장의 리더십 역량·변혁적 리더십 수준 및 상호관계 분석"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8

      10 조혜진, "유치원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와 직무연수과정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97-319, 2013

      1 심예린, "한국판 소명 척도(CVQ-K)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847-872, 2012

      2 박수진, "한국․미국․영국의 유아교육기관 원장 리더십역량 교육체계 비교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27 (27): 255-283, 2017

      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자료"

      4 권선영, "직업소명의 구성개념과 소명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393-420, 2014

      5 권기룡, "직무의 자율성이 혁신적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부하의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6 김동원, "중등 학교장의 핵심 역량 지표 개발 및 역량 수준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7 보건복지부, "제 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8 권현서, "정담임-정담임 팀티칭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갈등과 불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 정정희, "유치원장의 리더십 역량·변혁적 리더십 수준 및 상호관계 분석"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8

      10 조혜진, "유치원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와 직무연수과정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97-319, 2013

      11 문복진, "유치원 교원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직무연수 모형 개발 및 프로그램 운영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2 박혜경,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189-211, 2012

      13 조혜진, "유아교육기관장의 직무역량 분석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71-494, 2012

      14 김정희, "유아교육기관장의 직무에 대한 인식"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8

      15 박창현, "유아교육기관장의 운영능력, 유아교사의 역량, 교육과정 실행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45-270, 2012

      16 조운주, "유아교육기관 원장이 인식한 리더십의 특성 및 갈등" 한국육아지원학회 6 (6): 5-27, 2011

      17 이미애,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자기효능감척도 개발"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4

      18 김미경,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 역량, 교사의 교직헌신, 부모 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3 (23): 23-42, 2019

      19 강민정, "유아교육 교원역량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149-173, 2016

      20 김보경,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5 (15): 109-133, 2016

      21 이승희, "원장-교사 파트너십에 대한 보육교사의 주관적 태도 분석: Q방법론 중심으로"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7

      22 김신정, "영유아를 위한 어머니의 건강증진 행위: Q 방법론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1997

      23 김은주,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전통육아에 대한 이미지 분석: Q방법론적 접근"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273-298, 2014

      24 김정희, "영아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원장역량, 영아-교사관계, 코칭역량의 차이" 한국아동교육학회 26 (26): 5-22, 2017

      25 강영숙, "어린이집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4

      26 김선희, "어린이집에서의 인간관계가 직무몰입을 매개로 보육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6 (16): 233-252, 2020

      27 임성진,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185-206, 2012

      28 고은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따른 현직 교육 과정 분석" 신라대학교대학원 2017

      29 오교선,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2 (12): 187-202, 2016

      30 이재풍,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5 (5): 327-359, 2018

      31 조혜진, "어린이집 신규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따른 직무교육과정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199-220, 2013

      32 류영희, "어린이집 시설유형 및 운영상의 특성이 보육서비스 질과 만족도에 미치는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33 이원지, "어린이집 내 갈등관리전략이 어린이집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91-214, 2018

      34 김혜미, "수학문제해결 역량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6

      35 김하나, "성인 직장인의 소명의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 소명실행과 내재적 동기를 매개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36 양진영, "불안정고용시대의 경력개발유형과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37 구수현, "보육시설장의 신규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8 김현미,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2005

      39 김혜정,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시설장과의 인간관계가 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6

      40 김은설, "보육 인력 전문성 제고를 위한 보육교사 자격 제도 개선 방안"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265-286, 2011

      41 유영의, "미국과 캐나다의 유아 교사 핵심 역량 분석과 교육적 시사" 한국교육사상학회 25 (25): 153-177, 2011

      42 윤석정, "리더는 강한 추진력과 판단력 가져라 : 주민이 마을 일 주도할 수 있는 분위기조성에 노력" 33 : 103-107, 2014

      43 박수진, "델파이 조사를 통한 유아교육기관 원장 리더십 역량 진단 도구 개발 및 원장의리더십, 교사의 교직헌신, 부모의 만족도 관계"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6

      44 박주현, "대학생의 소명과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일희망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3 (13): 543-560, 2012

      45 김성철, "노인복지관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6) : 249-268, 2007

      46 김숙미, "기관 유형별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수행인식,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6 (6): 1-18, 2014

      47 Seligman, M. E. P., "긍정 심리학" 물푸레 2006

      48 신현석, "교원 현직연수 연구동향 분석: 연구 영역, 주제 및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431-462, 2013

      49 성희창, "교사의 소명의식 형성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50 尹殷子, "간호단위 관리자의 전문간호 이미지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5

      51 이정아, "가정어린이집 원장이 느끼는 운영의 어려움" 37 (37): 69-100, 2019

      52 강미숙, "가정어린이집 원장이 경험하는 운영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26 (26): 117-137, 2019

      53 김선미, "가정보육시설 영유아보육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가정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8

      54 Amabile, T. M.,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 Assess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66 (66): 950-977, 1994

      55 Dubois, D., "The competency casebook : Twelve studies in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39 (39): 37-40, 2000

      56 McClelland, D. C.,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28 (28): 1-14, 1973

      57 김남이, "Q 방법론을 활용한 학교폭력의 무관용 원칙에 대한 인식분석"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15

      58 김흥규, "Q 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59 Hall, D. T., "Psychological success : When the career is a calling" 26 (26): 155-176, 2005

      60 Mirabile, R. J.,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51 (51): 73-78, 1997

      61 Jeon, L.,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 Exploring potential predictors of depression,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29 (29): 1-17, 2017

      62 Strohmer, J., "Does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foster professional competencies?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beginners and graduates in different education tracks in Germany" 186 (186): 42-60, 2016

      63 Hakim, A., "Contribution of competence teacher on the performance of learning" 4 (4): 1-12, 2015

      64 Cebrian, G., "Competencies in education for substainable development : Exploring the student teachers’ views" 7 (7): 2768-2786, 2015

      65 Kaga, Y., "Caring and learning together: A cross-national study of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to education" UNESCO 2010

      66 김은영,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해와 실천" 54-79,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 1.7 1.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7 2.161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