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급 한국어 교재의 ‘여행’ 텍스트에 대한 장르 기반적 분석 = Genre-based Analysis on Account Texts Regarding a Trip in Beginning Korean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056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 account of a trip suggested in beginning Korean textbooks in view of genre-based grammar model. Even though accounts of a trip can be surely seen in beginning Korean textbooks for its learner’s great need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 account of a trip suggested in beginning Korean textbooks in view of genre-based grammar model. Even though accounts of a trip can be surely seen in beginning Korean textbooks for its learner’s great needs and are different from typical accounts of a trip, these accounts in beginning Korean textbooks are not researched, yet. Thus, this study analyzes its own genre-based language phenomenon according to genre-based model which are highly adopted in ESL education areas and suggests several guidelines in its production for beginners based on these analyses results.
      On the grounds of genre-based analysis on account texts regarding a trip, suggestions of more various kinds of text genres, the insertion of both description and explanation for the sake of self-sufficiency in the text, the variety of discourse order, the variation of expressions are suggested for desirable directions for composing account texts regarding a trip in the beginning Korean textbooks.
      These guidelines can be considered when producing account texts regarding a trip not only in beginning Korean textbooks but workbooks or sub-textbooks for beginn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급 한국어 교재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제이되, 아직까지 텍스트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여행 주제 관련 텍스트를 장르 기반적으로 분석하여 그 양상을 규명하고, ...

      본 연구는 초급 한국어 교재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제이되, 아직까지 텍스트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여행 주제 관련 텍스트를 장르 기반적으로 분석하여 그 양상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텍스트 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여행 텍스트는 여행 계획과 여행 경험이라는 주제에 따라 그 유형이 나누어졌다. 여행 경험을 담은 텍스트에서는 서사하기가 핵심을 이루고 그 앞뒤에 기술하기가 들어가는 액자식 구성과 서사하기로만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구분되었다. 그러나 두 유형 모두 인물이나 배경에 대한 묘사 없이 바로 서사의 국면으로 진입하고, 동작동사를 시간적으로 나열한 후 형용사를 통해 서사적 경험을 정리하거나 논평하는 것으로 마무리되는 특징을 보였다. 한편 여행 계획을 담은 텍스트의 경우는 ‘기술하기 → 설명하기 → 기술하기’로 이루어졌는데, 설명하기가 중간에 오고 기술하기가 그 앞뒤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서사하기와 기술하기의 액자식 구성과 비슷한 점이 있으나, 설명하기가 텍스트의 핵심이 되지 않고 기술하기의 부차적인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이 이질적이었다.
      유형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텍스트 현상으로는 1인칭 주인공 화자 시점의 선호, 여행에 대한 1인칭 화자(또는 3인칭 주인공)의 긍정적 취향을 텍스트의 개시 문장으로 삼는 구성, 과정적 장르의 조합 순서와 표현의 전형성, 서사하기와 설명하기에서 연결어미 및 복합적 표현항목과 동사 어간의 결합형 선호, 시간부사절에서의 직시적 표현의 선호, 주장하기의 텍스트 말미 분포의 고정성 등이 지적될 수 있었다.
      이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초급 한국어 교재 및 워크북에서의 여행 텍스트에 대한 개발 방향으로 보다 다양한 텍스트 장르의 제시, 텍스트의 내용적 자족성을 위한 묘사하기나 설명하기의 삽입, 구성 담화의 조합 순서와 표현의 다양화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2. 연구의 방법
      • 2. 이론적 배경
      • 3. 분석 결과
      • 1. 서론
      •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2. 연구의 방법
      • 2. 이론적 배경
      • 3. 분석 결과
      • 3.1. 초급 한국어 교재의 ‘여행’ 텍스트에 나타나는 과정적 장르의 개별적 특성
      • 3.2. 초급 한국어 교재의 ‘여행’ 텍스트에 나타나는 과정적 장르의 구조적 특성
      • 4. 결론 및 제안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