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의 청자 대우법 비교 연구 : — 한국의 드라마 · 연변 지역의 소품(小品)을 중심으로 — = Comparative Research on Addressee Honorifics between Korean and Yanbian Local Langu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731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의 청자 대우법을 비교‧연구하여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의 청자 대우법의 특징을 검토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 청자 대우법 화...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의 청자 대우법을 비교‧연구하여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의 청자 대우법의 특징을 검토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 청자 대우법 화계의 차이를 살펴 한국어 화자와 연변 지역어 화자 간의 소통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자료는 장르가 비슷한 한국과 연변 지역의 방송에서 추출하였다. 한국어는 MBC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에서, 연변 지역어는 연변방송국의 음력 설 소품 작품에서 청자 대우법의 자료를 추출하였다.
      2장에서는 청자대우법과 문장 종결법에 대해 간단히 논의하였다. 그리고 연변 지역어에 대한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청자대우법 화계와 이에 해당하는 종결어미들을 종합하여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 청자 대우법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청자 대우법을 합쇼체, 하오체, 해라체, 해요체, 해체로 나누어 <거침없이 하이킥>, 소품에 나타나는 종결어미들을 제시하고, 각 화계에서 나타나는 청자와 화자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 청자 대우법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에서 화계별 종결어미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는지, 어떠한 화자가 어떠한 청자에게 어떤 등급의 화계를 사용하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에서 세대별로 화계별 종결어미 사용 양상을 비교하였으며, 동일한 청자에 대해 화자가 사용하는 화계의 등급이 넘나드는 현상에 대해 비교하였다.
      5장에서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고, 추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ddressee honorifics between Korean and Yanbian dialect by comparing and studying on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of speakers of Korean and Y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ddressee honorifics between Korean and Yanbian dialect by comparing and studying on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of speakers of Korean and Yanbian by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the usage of Addressee honorifics between Korean and Yanbian dialect.
      The target data for this study were extracted from broadcasting in Korea and the Yanbian region, which have similar genres. The Korean language data of Addressee honorifics was extracted from the MBC sitcom "High Kick" and the Yanbian dialect from the "Shaopin" of the Yanbian Broadcasting Station.
      Chapter 2 briefly discussed the Addressee honorifics and sentence-final moods. And based on the existing discussion of the Yanbian regional language, I put together the usage of honorifics and mothers, and presented them systematically.
      In Chapter 3, I looked at the usage of the Korean and Yanbian dialect. The speech levels of the Addressee honorifics was divided into hasyoche, haoche, harache, haeyo, haeche, present the final endings that appear in "High Kick" and "Shaopin", and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stener and the speaker at each speech levels.
      In chapter 4, I compared Korean with Yanbian dialect. To this end, I looked at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Yanbian dialect, and which speaker uses which ratings to which listener. In addition, I compared the use of final endings by generation in Korean and Yanbian dialect, and compared the phenomenon of crossing the speech levels used by speakers for the same listener.
      Chapter 5 presents a conclusion. I have summarized what has been discussed so far and presented a later research tas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선행 연구 검토 2
      • 1.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4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선행 연구 검토 2
      • 1.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4
      • 2. 이론적 배경 7
      • 2.1. 청자 대우법 7
      • 2.2. 문장 종결법 8
      • 2.3.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의 종결어미 체계 9
      • 3.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의 청자 대우법 사용 양상 22
      • 3.1. 합쇼체 22
      • 3.1.1. 한국어 대우법 22
      • 3.1.2. 연변 지역어 대우법 24
      • 3.2. 하오체 31
      • 3.2.1. 한국어 대우법 31
      • 3.2.2. 연변 지역어 대우법 34
      • 3.3 해라체 37
      • 3.3.1. 한국어 대우법 37
      • 3.3.2. 연변 지역어 대우법 42
      • 3.4. 해요체 45
      • 3.4.1. 한국어 대우법 45
      • 3.4.2. 연변 지역어 대우법 47
      • 3.5. 해체 48
      • 3.5.1. 한국어 대우법 48
      • 3.5.2. 연변 지역어 대우법 53
      • 4.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 청자 대우법 비교 57
      • 4.1. 화계별 종결어미와 화자 청자 간의 관계 비교 57
      • 4.1.1. 합쇼체 57
      • 4.1.2. 하오체 59
      • 4.1.3. 해라체 61
      • 4.1.4. 해요체 62
      • 4.1.5. 해체 63
      • 4.2. 화계별 종결어미 사용 양상의 세대별 비교 65
      • 4.2.1. 합쇼체 65
      • 4.2.2. 하오체 67
      • 4.2.3. 해라체 68
      • 4.2.4. 해요체 69
      • 4.2.5. 해체 70
      • 4.3. 화계의 넘나듦 비교 71
      • 4.3.1. <거침없이 하이킥>에서 화계의 넘나듦 71
      • 4.3.2. 소품에서 화계의 넘나듦 72
      • 5. 결론 74
      • □ 참고문헌 77
      • □ Abstract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