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독일 건축법상 ``배리어프리`` 의무 -내용, 현실 및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 = ``Barrier-free`` Requirement Under German Building Regulations: Implementation and Implic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관계가 변화하고, 사회의 구성이 다변화됨에 따라 신체적 조건에 구애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시설들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세계적으로 노...

      사회관계가 변화하고, 사회의 구성이 다변화됨에 따라 신체적 조건에 구애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시설들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세계적으로 노령화는 공동체의 인프라 전체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독일은 2002년부터 배리어프리라는 컨셉트와 이에 따른 일련의 정책들을 만들어 정보접근권과 함께 물리적 건축물에 대한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들을 정비해가고 있다. 물론 이러한 정책은 상당히 늦은 시기에 개시되었으며, 상당히 더디게 발전하고 있지만, 정책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해본다면, 우리에게도 참고가 될 수 있는 부분들을 찾을 수 있다. 무엇보다 그들이 장애인의 접근권이라는 전문적인 영역에서 발휘하고 있는 제도화의 기술을 연구해본다면, 우리의 제도운영과 새로운 정책과 제도개발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 건축법상의 배리어프리(Barrierefreiheit) 컨셉트와 이를 구체화하는 여러 법령들을 살펴보고, 그것들이 어떠한 방법으로 실현되고 있는지에 대해 보도록 하겠다. 다만, 단지 조문분석을 통한 제도연구에 머물지 않도록 실천적인 측면에서 제기되는 여러 가지 비판들에 대해서도 보고, 독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책과 제도가 가지는 장점과 단점을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제시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emergence of barrier-free concepts in Germany and their development aspect. With the ratification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Germany establishes “barrier-free” as a fundamental concep...

      This Paper deals with the emergence of barrier-free concepts in Germany and their development aspect. With the ratification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Germany establishes “barrier-free” as a fundamental concept of accessibility. The concept has been included in diverse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concept is also used as a principle to ensure access to and use of buildings. However, the concept of barrier-free is quite abstract that it cannot be easily concretize, furthermore it is also difficult to implement it in the short term. Some states in Germany oblige the building owner to comply with the standards of the DIN Standards for barrier-free facilities. These are to overcome the rigidity of the legislative reactions and to make measures conform to social chang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spite of these improvements, the concept cannot be highly evaluated from a practical standpoint. Some of the problems awaiting solution, for instance, is that the German administrative offices are not actively implementing the system into practice; it is also very difficult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or their representatives to file civil lawsuits against the owner. Therefore, it is required to take heed not only to the features of the German system, but the changes and adapt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형, "장애인의 편의시설증진을 통한 사회통합의 과제와 방향" 사회복지개발연구원 12 (12): 313-, 2006

      2 김정헌,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운영에 관한 비교연구: 미국 ADA법과 한국의 장애인 등의 편의증진법을 중심으로" 한국복지행정학회 12 (12): 1-, 2002

      3 Thomas Dünchheim, "Vom Zwangsgeld zurück zur Zwangsstrafe?"

      4 Dirk Neumann, "Sozialgesetzbuch IX: Rehabilitation und Teilhabe behinderter Menschen" C.H. Beck 2010

      5 Michael Kossens, "SGB IX: Rehabilitation und Teilhabe behinderter Menschen mit Behindertengleichstellungsgesetz" C.H. Beck 2015

      6 Felix Welti, "Reformbedarf zur Gleichstellung und Barrierefreiheit"

      7 Klaus Jankowski, "Rechtsfragen des barrierefreien Bauens: Am Beispiel der Bauordnungen von Berlin und Brandenburg"

      8 Felix Welti, "Rechtliche Voraussetzungen von Barrierefreiheit"

      9 German Institute for Human Rights(National Monitoring Body), "Parallel Report to the UN Committee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Context of the Examination of the Initial Report of Germany Under Article 35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2015

      10 Dieter Martin, "Handbuch Denkmalschutz und Denkmalpflege: Recht, fachliche Grunds ätze, Verfahren, Finanzierung" C.H. Beck 2017

      1 이윤형, "장애인의 편의시설증진을 통한 사회통합의 과제와 방향" 사회복지개발연구원 12 (12): 313-, 2006

      2 김정헌,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운영에 관한 비교연구: 미국 ADA법과 한국의 장애인 등의 편의증진법을 중심으로" 한국복지행정학회 12 (12): 1-, 2002

      3 Thomas Dünchheim, "Vom Zwangsgeld zurück zur Zwangsstrafe?"

      4 Dirk Neumann, "Sozialgesetzbuch IX: Rehabilitation und Teilhabe behinderter Menschen" C.H. Beck 2010

      5 Michael Kossens, "SGB IX: Rehabilitation und Teilhabe behinderter Menschen mit Behindertengleichstellungsgesetz" C.H. Beck 2015

      6 Felix Welti, "Reformbedarf zur Gleichstellung und Barrierefreiheit"

      7 Klaus Jankowski, "Rechtsfragen des barrierefreien Bauens: Am Beispiel der Bauordnungen von Berlin und Brandenburg"

      8 Felix Welti, "Rechtliche Voraussetzungen von Barrierefreiheit"

      9 German Institute for Human Rights(National Monitoring Body), "Parallel Report to the UN Committee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Context of the Examination of the Initial Report of Germany Under Article 35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2015

      10 Dieter Martin, "Handbuch Denkmalschutz und Denkmalpflege: Recht, fachliche Grunds ätze, Verfahren, Finanzierung" C.H. Beck 2017

      11 Theodor Maunz, "Grundgesetz" C.H. Beck 2016

      12 Ulrich Schönleiter, "Gaststättengesetz: Kommentar" Nomos Verlagsgesellschaft 2012

      13 Volker Neumann, "Der verfassungsrechtliche Begriff der Behinderung"

      14 Hans Koch, "Bayerische Bauordnung: Kommentar mit einer Sammlung baurechtlicher Vorschriften" rehm 2016

      15 Alfons Simon, "Bayerische Bauordnung" C.H. Beck 2016

      16 Gerhard Boeddinghaus, "Bauordnung für das Land Nordrhein-Westfalen" rehm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신규평가)
      2015-04-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과정책연구소 -> 법과정책연구원</br>
      2008-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법과정책연구소</br>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