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50, 60년대 주한미공보원(USIS) 영화의“아시아 문화” 표상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USIS Korea`s Film and the Representation of Asian Culture in 1950s and 196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255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냉전기 미디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요청하는 시론(試論)으로서 이 논문은 영화라는 미디어를 중심으로 문화냉전을 재고해보고자 했다. 냉전 이데올로기에 미디어라는 요소를 결합함으...

      냉전기 미디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요청하는 시론(試論)으로서 이 논문은 영화라는 미디어를 중심으로 문화냉전을 재고해보고자 했다. 냉전 이데올로기에 미디어라는 요소를 결합함으로써 미국이 의도했던 자유아시아(Free Asia) 표상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전파되었는가를 고찰하기 위해 한국에서 USIS의 영화 제작 활동을 살펴보고 USIS가 한국에서 상영한 영화 중 ‘아시아 문화(Asian Culture)’로 분류된 필름을 검토해 보았다. 이차세계대전 이후 팍스 아메리카나(Pax Americana)를 구가했던 미국이 아시아에서 문화외교를 통해 의도했던 바는 아시아의문화를 이해하고 후원하는 문화제국으로서의 자신의 위상을 확보하는 것에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USIS 영화의 아시아 문화 표상을 분석함으로써 그 점을 검증하고 미국과 아시아의 문화교류가 냉전 오리엔탈리즘에 의해 구성된 미국의 아시아 상상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ies to rethink the Cultural Cold War focusing on cinema to request serious studies hereafter on the Cold War media. To consider how the representation of Free Asia intended by U.S. was made and spread through combining the Cold War ideolo...

      This paper tries to rethink the Cultural Cold War focusing on cinema to request serious studies hereafter on the Cold War media. To consider how the representation of Free Asia intended by U.S. was made and spread through combining the Cold War ideology with Media, I examine USIS Korea`s local Film Production and the films classed as Asian Culture among the films screened in Korea by USIS Korea. What U.S. enjoying the Pax Americana after the WWⅡ intended through cultural diplomacy in Asia is to secure the status of cultural empire to understand and support Asian culture. I prove it by analysing how USIS Film represented Asian culture and argue how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U.S. and Asia was related to American`s imaginationfor Asia made up by Cold War Orientalis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영상자료원, "험프리 린지(Humphrey W. Leynse) 컬렉션"

      2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상자료원 2011 수집복원전 기록영화 해설자료집: 냉전시대 한국의 문화영화" 한국영상자료원 2011

      3 한국영상자료원, "테드 코넌트(Theodore Richards Conant) 컬렉션"

      4 조선일보, "청룡상에 출품된 영화들"

      5 수잔 헤이워드, "영화 사전: 이론과 비평" 한나래 2001

      6 존 루이스 개디스, "새로 쓰는 냉전의 역사" 사회평론 2002

      7 허은, "미국의 헤게모니와 한국 민주주의: 냉전시대(1945-1965) 문화적경계의 구축과 균열의 동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8 "미국공보원 영화목록"

      9 김려실, "문화냉전과 아시아: 냉전 연구를 탈중심화하기" 소명출판 2012

      10 김려실, "댄스, 부채춤, USIS 영화: 문화냉전과 1950년대 USIS의 문화공보" 한국문학연구학회 (49) : 341-375, 2013

      1 한국영상자료원, "험프리 린지(Humphrey W. Leynse) 컬렉션"

      2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상자료원 2011 수집복원전 기록영화 해설자료집: 냉전시대 한국의 문화영화" 한국영상자료원 2011

      3 한국영상자료원, "테드 코넌트(Theodore Richards Conant) 컬렉션"

      4 조선일보, "청룡상에 출품된 영화들"

      5 수잔 헤이워드, "영화 사전: 이론과 비평" 한나래 2001

      6 존 루이스 개디스, "새로 쓰는 냉전의 역사" 사회평론 2002

      7 허은, "미국의 헤게모니와 한국 민주주의: 냉전시대(1945-1965) 문화적경계의 구축과 균열의 동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8 "미국공보원 영화목록"

      9 김려실, "문화냉전과 아시아: 냉전 연구를 탈중심화하기" 소명출판 2012

      10 김려실, "댄스, 부채춤, USIS 영화: 문화냉전과 1950년대 USIS의 문화공보" 한국문학연구학회 (49) : 341-375, 2013

      11 김한상, "냉전체제와 내셔널 시네마의 혼종적 원천 -<죽엄의 상자> 등 김기영의 미공보원(USIS) 문화영화를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47) : 87-111, 2011

      12 베른트 슈퇴버, "냉전이란 무엇인가 : 극단의 시대 1945-1991" 역사비평사 2008

      13 경향신문, "각광받는 나전칠기문화"

      14 Kobayashi Somei, "占領する眼・占領する声―USIS映画とVOAラジオ放送" 東京大学出版会 2012

      15 동아일보, "“다시 돌아와 영화 만들겠다” 미공보원 영화과장 ‘린지’씨 귀국"

      16 "“USIS Film Program” from JRH to the Embassador, April 10, 1953, pp.2-3, Box 2541, RG 59 Decimal File 1950-1954"

      17 "“USIE Program in Korea” from James L. Stewart to Ambassador Muccio, January 11, 1950, Box 2540, RG 59 Decimal File 1950-1954"

      18 "“USIE Country Papers-Korea” from Everett F. Drumright to Department of State, 5 June, 1950, Box 2540, RG 59 Decimal File 1950-1954"

      19 "“FOA-USIA Joint Field Instruction”, August 14, 1956, Box6, RG 469 Records of U.S. Foreign Assistance Agencies, 1948-1961"

      20 "“1954-1955 IIA Prospectus Call for Korea” from American Embassy, Pusan to The Department State, Washington, May 27, 1953, Box 2541, RG 59 Decimal File 1950-1954"

      21 "USIS 영화목록"

      22 "USIS Film Catalog"

      23 Kenneth Osgood, "Total Cold War: Eisenhower’s Secret Propaganda Battle at Home and Abroad" the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6

      24 Richard Dyer MacCann, "The People’s Films: A Political History of U.S. Government Motion Pictures" Hastings House 1973

      25 Nicholas J. Cull, "The Cold War and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Agency: American Propaganda and Public Diplomacy, 1945-198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6 "The Art of Chinese Paintings, 1962, Local Identifier 306.5158, RG 306 Records of the U.S. Information Agency, 1900-2003"

      27 "Statistical Report of U.S. Information Center Activities for Six Months(November 1949-April 1950)"

      28 "Philippine Progress, 1955, Local Identifier 306.4663, RG 306 Records of the U.S. Information Agency, 1900-2003"

      29 "MBC스페셜 한일공동기획 400년 흘러온 도공의 혼"

      30 "Korean Art Masterpieces, 1958, Local Identifier 306.5316, RG 306 Records of the U.S. Information Agency, 1900-2003"

      31 "Kim Paik Bong Dancing in Bangkok, 1958, Local Identifier 306.6354, RG 306 Records of the U.S. Information Agency, 1900-2003"

      32 Christina Klein, "Cold War Orientalism: Asia in the middlebrow Imagination, 1945-196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33 "Chinese Art Treasures, 1961, Local Identifier 306.5191, RG 306 Records of the U.S. Information Agency, 1900-2003"

      34 "Asian Artists in Crystal, 1956, Local Identifier 306.6487, RG 306 Records of the U.S. Information Agency, 1900-2003"

      35 "A Tale of Our Village, 1956, Local Identifier 306.7576, RG 306 Records of the U.S. Information Agency, 1900-2003"

      36 한국방송공사, "400년만의 귀향 조선도공 심수관"

      37 이순진, "2005년도 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 연구 시리즈 69 이형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5

      38 차재영, "1950년대 주한 미공보원의 기록영화와 미국의 이미지 구축" 한국언론학회 56 (56): 235-263,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예비평학회 -> 한국문예비평연구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3 0.82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