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결핵성 림프절에서 ${\gamma}{\delta}$ T 림프구의 분포에 관한 연구 = The Distribution of ${\gamma}{\delta}$ T Cells in Tuberculous Lymphadenopat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82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 최근에 ${\gamma}{\delta}$ T 램프구가 결핵균의 항원과 반응함이 알려져 ${\gamma}{\delta}$ T 림프구가 결핵균에 대한 방어기전에 관여할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본 교실의 연구와 다른 ...

      연구배경 : 최근에 ${\gamma}{\delta}$ T 램프구가 결핵균의 항원과 반응함이 알려져 ${\gamma}{\delta}$ T 림프구가 결핵균에 대한 방어기전에 관여할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본 교실의 연구와 다른 연구에 의하면 폐결핵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gamma}{\delta}$ T 림프구의 숫적 증가나 기능의 활성화가 관찰되지 않아 폐결핵 환자에서 ${\gamma}{\delta}$ T 림프구는 전신적으로 활성화되지 않고 국소병변에서 방어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일차적으로 결핵의 국소병변으로 조직을 얻기가 쉬운 결핵성 림프절에서 ${\gamma}{\delta}$ T 림프구의 분포를 관찰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조직검사상 결핵성 림프절염(n=5)과 반응성 과형성(reactive hyperplasia) (n=3)으로 진단된 환자의 림프절을 대상으로 CD4, ${\alpha}{\beta}$ TCR, ${\gamma}{\delta}$ TCR에 대한 단일 클론항체를 이용해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반응성 과형성 림프절에서는 총 T 림프구중 ${\gamma}{\delta}$ T 림프구의 비율이 $1.7{\pm}1.5%$였고 결핵성 림프절에서는 ${\gamma}{\delta}$ T 림프구가 전체 T 림프구의 $16.3{\pm}10.3%$를 차지하고 있어 결핵성 림프절에서 반응성 과형성 림프절에 비해 ${\gamma}{\delta}$ T 림프구의 침윤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결론 : ${\gamma}{\delta}$ T 림프구가 결핵균 감염 국소 병변부위에서 방어기전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향후 국소 결핵 병변에서의 ${\gamma}{\delta}$ T 림프구 기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 The antigen-specific receptor on the surface of most peripheral T lymphocytes is a disulfide-linked heterodimer composed of $\alpha$ and $\gamma$ subunits, noncovalently associated with CD3 polypeptides. Recently, a novel type of CD3-asso...

      Background : The antigen-specific receptor on the surface of most peripheral T lymphocytes is a disulfide-linked heterodimer composed of $\alpha$ and $\gamma$ subunits, noncovalently associated with CD3 polypeptides. Recently, a novel type of CD3-associated heterodimer was described on a T cell subset that does not express CD4 or CD8 molecules. This second type of TCR dimer is composed of chains encoded for by the $\gamma$- and $\delta$-TCR genes. These cells may exert both cytotoxic and lymphokine producing functions. Although it was reported that some ${\gamma}{\delta}$-TCR might recognize an MHC-linked determinant, the funεtion or physiologic ligand for this new receptor is not yet clear. It was found that ${\gamma}{\delta}$-TCR can react with 65 kD heat shock protein of M. tuberculosis, which suggests the possible protective role of ${\gamma}{\delta}$ T lymphocytes against tuberculosis. In our previous study, there was neither the increase in number nor the functional activation of ${\gamma}{\delta}$ T cells in the peripheral blood from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Now we report the distribution of ${\gamma}{\delta}$ T cells in the regional sites of M. tuberculosis infection, especial1y tuberculous lymphadenitis. Methods : Lymph nodes from patients with pathologically-proven tuberculous lymphadenopathy (n=5) and reactive hyperplasia (n=3) were used. Tissues were frozen in liquid nitrogen immediately after removal and stored below $-70^{\circ}C$. The cryostat sections of these frozen specimens were stained with anti-Leu-4 Ab, Identi-T TCR ${\delta}1$, and Identi-T ${\beta}F1$. The number of positively stained cells were counted at high power field. Results : The infiltration of ${\gamma}{\delta}$ T cel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ymph nodes from patients with tuberculous lymphadenopathy than that with reactive hyperplasia ($16.3{\pm}10.3%$ vs. $1.7{\pm}1.5%$).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gamma}{\delta}$) T cells may play a role in the defense against M. tuberculosis infection, especially in the regional sites of infec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