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제4조의 개정 배경과 의미(1883~1884)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883~1884년에 걸쳐 이루어진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제4조의 개정 배경과 의미를 고찰한다. 기존 제4조의 개정에 대한 연구는 청국이 조청장정을 통해 균점하지 못했던 ‘조선 내지...

      본 논문은 1883~1884년에 걸쳐 이루어진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제4조의 개정 배경과 의미를 고찰한다. 기존 제4조의 개정에 대한 연구는 청국이 조청장정을 통해 균점하지 못했던 ‘조선 내지에서 청상의 통상권’을 취득하기 위해, 일방적・강압적으로 제4조를 개정한 것으로 논의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가 간과한 문제의식, “조선‑청국 내부에 존재했던 개정의 필요성과 동력”, “조청장정의 쌍방향성”에 유념하여 제4조 개정에 대한 새로운 논지를 전개하였다. Ⅱ장에서는 총세무사 하트와 이홍장의 논의를 통해 청 해관에서 조선의 지위 문제(‘외국’ 혹은 ‘성’)가 대두한 상황을 기술하였다. 조청장정을 조선‑청 양자적 관계에서만 판단했던 이홍장과 달리, 하트는 열강까지를 포함하는 다자적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조청장정이 청국의 해관 시스템과 충돌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하트는 수세 규칙의 개정을 요청하였는데, 조영조약체결 이전 이미 청조 내에서 조청장정의 내지통상에 대한 개정 요구가 나타났던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요구는 향후 조청장정 제4조 개정의 청측 내적 원인이 되었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Ⅲ장에서는 1883년 11월 조영조약의 이권을 균점하기 위해 청국의 개정 요청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던 논리적 이유를 조약들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조청장정 제4조의 개정과정에서 청국은 조선에 ‘청상의 조선 내지통상권’을 요구하는 대신, 두 가지의 반대급부를 제시하였다. 곧, ‘조선상인의 청국 내지에서 통상권’과 조선상인의 청국 내지 통상시 ‘납세법의 선택권’이었다. 위와 같은 교환을 통해 이루어진 조청장정 제4조의 개정은 향후 조선상인의 청국 내지 통상의 출발점이 되어 조청관계 상의 통상이 변화하는 계기로 작동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revision of Regulations for Maritime and Overland Trade between Chinese and Korean Subjects (RMOT) from 1883 to 1884. Previous studies on the revision of article Ⅳ argued that it was unilaterally and...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revision of Regulations for Maritime and Overland Trade between Chinese and Korean Subjects (RMOT) from 1883 to 1884. Previous studies on the revision of article Ⅳ argued that it was unilaterally and coercively revised so as to acquire the “Chinese merchant’s right for interior trade in Korea” which China had not acquired through the RMOT. This paper focused on the new themes, the necessity and intention of the revision that already existed in Korea and China, and interactivity of the RMOT, which were overlooked by the existing studies.
      In Chapter Ⅱ, I analyze that the problem of Korea’s status (‘Foreign Country’ or ‘Province’) raised in the Chinese maritime customs (CMC). In contrast to Li Hongzhang, who had adapted RMOT only in Sino-Korean bilateral relations, Robert Hart perceived that RMOT collided with CMC system by looking it in multiple relations including Powers. For that reason Hart requested the change of the CMC’s tax Rule, which was be the important reason for demand to revise article Ⅳ later. Such ask may be regarded as a probable cause for the future revision of RMOT.
      In Chapter Ⅲ, I examined the logical reasons why China asked Korea to revise RMOT in comparison with United Kingdom–Korea Treaty of 1883. In the revision process, China proposed two kinds of countervailing benefits instead of requiring the “Chinese merchant’s right for interior trade in Korea”. In other words, it was the “Korean merchant’s right for interior trade in China” and the “Right for selection of how to pay taxes” of the Korean merchants. The revision of article Ⅳ, which has been made through the above exchange, had served as a starting point for the future trade of Korean merchants in the interior of China before 1894, as a result, it has operated as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trade system between Korea and Chin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수세 문제의 발생과 장정 개정 필요성의 제기
      • Ⅲ. 조청장정의 개정과정과 조선 측의 개정수용 원인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수세 문제의 발생과 장정 개정 필요성의 제기
      • Ⅲ. 조청장정의 개정과정과 조선 측의 개정수용 원인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申義植, "列强의中國經濟侵略의産物: 子口稅" 15 : 77-102, 2002

      2 韓哲昊, "한국근대주진대원의파견과운영(1883~1894)" 23 : 45-78, 2007

      3 박은숙, "청선(淸船)의 한강 출입 문제와 무역장정의 법리 논쟁: 1884년 2월 이명진(李名振) 선박 구류사건을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소 57 (57): 37-72, 2014

      4 최덕수, "조약으로본한국근대사" 열린책들 2010

      5 권혁수, "조공관계체제 속의 근대적 통상관계 : 『中國朝鮮商民水陸貿易章程』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8) : 253-289, 2010

      6 金正起, "자본주의열강의이권침탈연구; 19세기말20세기초미・일・러・청의이권침략총정리" 11 : 72-103, 1990

      7 김용구, "임오군란과갑신정변: 사대질서의변형과한국외교사" 원 2004

      8 구범진, "동아시아국제질서속의한중관계사: 제언과모색" 동북아역사재단 292-381, 2010

      9 조너선스펜스, "근대중국의서양인고문들" 이산 2009

      10 황은수, "개항기 한중일 정기 해운망과 조선상인의 활동" 한국역사연구회 (75) : 201-245, 2010

      1 申義植, "列强의中國經濟侵略의産物: 子口稅" 15 : 77-102, 2002

      2 韓哲昊, "한국근대주진대원의파견과운영(1883~1894)" 23 : 45-78, 2007

      3 박은숙, "청선(淸船)의 한강 출입 문제와 무역장정의 법리 논쟁: 1884년 2월 이명진(李名振) 선박 구류사건을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소 57 (57): 37-72, 2014

      4 최덕수, "조약으로본한국근대사" 열린책들 2010

      5 권혁수, "조공관계체제 속의 근대적 통상관계 : 『中國朝鮮商民水陸貿易章程』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8) : 253-289, 2010

      6 金正起, "자본주의열강의이권침탈연구; 19세기말20세기초미・일・러・청의이권침략총정리" 11 : 72-103, 1990

      7 김용구, "임오군란과갑신정변: 사대질서의변형과한국외교사" 원 2004

      8 구범진, "동아시아국제질서속의한중관계사: 제언과모색" 동북아역사재단 292-381, 2010

      9 조너선스펜스, "근대중국의서양인고문들" 이산 2009

      10 황은수, "개항기 한중일 정기 해운망과 조선상인의 활동" 한국역사연구회 (75) : 201-245, 2010

      11 具仙姬, "韓國近代對淸政策史硏究" 혜안 1999

      12 李瑄根, "韓國史5: 最近世篇" 乙酉文化社 1961

      13 酒井裕美, "開港期朝鮮における外交体制の形成: 統理交渉通商事務衙門とその対清外交を中心に" 一橋大学大學院社會科硏究科 2009

      14 李炳天, "開港期外國商人의侵入과韓國商人의對應" 서울대학교 1985

      15 방향, "開港後 한국의 對淸通商交涉의 변화와 近代外交關係의 수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16 劉暢, "開港以後(1861~1910) 煙臺貿易의 發展과 韓中交流" 인하대학교 2011

      17 金正起., "金哲埈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知識産業社 799-822, 1983

      18 田保橋潔, "近代日鮮關係の硏究" 朝鮮總督府中樞院 1940

      19 문명기, "財政史의 각도에서 다시 보는 <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1882)" 역사문화연구소 (30) : 347-370, 2008

      20 林明德., "袁世凱與朝鮮"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 1970

      21 高麗大學校亞細亞問題硏究所, "舊韓國外交文書: 淸案"

      22 李陽子, "淸의 對朝鮮經濟政策과 袁世凱; 海關・借款・電線・輪船問題를 中心으로" 3 : 113-153, 1987

      23 申基碩, "淸韓宗屬關係-壬午軍亂을前後한" 2 (2): 47-94, 1959

      24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 "淸季中日韓關係史料"

      25 金鍾圓, "朝・中商民水陸貿易章程에대하여" 32 : 120-169, 1966

      26 高柄翊, "朝鮮海關과 淸國海關과의 關係-메릴과 하트를 中心으로" 4 : 1-30, 1965

      27 金正起, "朝鮮政府의淸借款導入(1882~1894)" 3 : 401-489, 1976

      28 한승훈, "朝英條約(1883. 11)과 불평등조약체제의 재정립" 한국사연구회 (135) : 215-250, 2006

      29 秋月望, "朝中間の三貿易章程の締結經緯" 115 : 103-137, 1985

      30 金正起, "兵船章程의强行<1888.2>에대하여" 24 : 61-86, 1979

      31 海關總署中外舊約章大全編纂委員會, "中外舊約章大全" 中國海關出版社 2004

      32 김희신, "‘漢城 開設行棧 조항 개정’ 교섭과 중국의 대응" 동양사학회 (113) : 199-244, 2010

      33 Statistical Department of the Inspectorate General of Customs, "Treaties, regulations, etc., between Corea and other powers : 1876~1889" P.S. King & Son 1891

      34 Jones, F. C., "Foreign Diplomacy in Korea, 1866-1894" Harvard University 1935

      35 權赫秀, "19世紀末韓中關係史硏究" 白山資料院 2000

      36 이은자, "19世紀末 在朝鮮 未開口岸의 淸商 密貿易 관련 領事裁判案件 硏究" 동양사학회 (111) : 233-265, 2010

      37 문명기, "1880년대 漢城開棧을 둘러싼 韓·中 갈등과 그 의미" 중앙사학연구소 (33) : 179-213, 2011

      38 金正起., "1876~1894年淸의朝鮮政策硏究" 서울대학교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세아문제연구소 -> 아세아문제연구원
      영문명 : Asiatic Research Center -> Asiat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亞細亞 硏究 -> 아세아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6 1.01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