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조선후기] 2019~2020년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사료와 실증의 더미에서 탈출하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42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review studies on Late Joseon Period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19 and 2020. More than 1,300 articles and books have been published in the past two years, and the research trend is largely the same as before. In order to escape ...

      This article aims to review studies on Late Joseon Period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19 and 2020. More than 1,300 articles and books have been published in the past two years, and the research trend is largely the same as before. In order to escape from this heap of historical sources and positivism and reconstruct the overall history of Late Joseon Period, this article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f research topics on certain themes. Attention should also be paid to failed attempts or leading figures reactionary forces. When a historian analyzes the thoughts of a specific person, he or she must explain the reason why his ideas were not implemented and the limitations they had. Second, for a more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Late Joseon Period, the scope of socio-economic history research should be expanded, and connected with the research themes in other fields of history. Third, as the first step to the explor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character of the period, which constitutes the proper task of history studies, it is necessary that the Association launches an extensive plan aimed at reviewing existing researches and reconstructing them in a long-term perspective for each the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분야별 주요 저술과 연구 동향
      • Ⅲ.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 Ⅰ. 머리말
      • Ⅱ. 분야별 주요 저술과 연구 동향
      • Ⅲ.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채용, "효종대 정국과 駙馬 간택" 조선시대사학회 (90) : 145-189, 2019

      2 김호, "화이관(華夷觀)의 충돌, 18세기 중엽 조선과 일본의 사상 간극 - [長門癸甲文槎]를 중심으로" 기전문화연구소 40 (40): 97-119, 2019

      3 김명호, "홍대용과 항주의 세 선비 - 홍대용의 북경 기행 새로 읽기" 돌베개 2020

      4 한상우, "형만 한 아우 없다? - 조선후기 출생순위와 과거 급제의 관련성 -" 한국사연구회 (188) : 331-362, 2020

      5 미야지마 히로시, "한중일 비교 통사 - 역사상의 재정립이 필요한 때" 너머북스 2020

      6 임성수, "한국사 교과서의 조선후기 서술과 내재적 발전론" 한국역사교육학회 (34) : 93-132, 2019

      7 노관범, "한국 통사로 보는 ‘실학’의 지식사 시론"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8) : 209-253, 2019

      8 고태우, "한국 재난 인식 연구의 성과와 과제 -근대 이전 시기 역사학계의 연구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9) : 33-62, 2020

      9 한재훈, "한국 서원 의례의 종류와 의의: 강학례, 향사례 그리고 향음주례" 한국서원학회 (11) : 27-53, 2020

      10 이홍두, "한국 기마전 연구" 혜안 2020

      1 신채용, "효종대 정국과 駙馬 간택" 조선시대사학회 (90) : 145-189, 2019

      2 김호, "화이관(華夷觀)의 충돌, 18세기 중엽 조선과 일본의 사상 간극 - [長門癸甲文槎]를 중심으로" 기전문화연구소 40 (40): 97-119, 2019

      3 김명호, "홍대용과 항주의 세 선비 - 홍대용의 북경 기행 새로 읽기" 돌베개 2020

      4 한상우, "형만 한 아우 없다? - 조선후기 출생순위와 과거 급제의 관련성 -" 한국사연구회 (188) : 331-362, 2020

      5 미야지마 히로시, "한중일 비교 통사 - 역사상의 재정립이 필요한 때" 너머북스 2020

      6 임성수, "한국사 교과서의 조선후기 서술과 내재적 발전론" 한국역사교육학회 (34) : 93-132, 2019

      7 노관범, "한국 통사로 보는 ‘실학’의 지식사 시론"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8) : 209-253, 2019

      8 고태우, "한국 재난 인식 연구의 성과와 과제 -근대 이전 시기 역사학계의 연구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9) : 33-62, 2020

      9 한재훈, "한국 서원 의례의 종류와 의의: 강학례, 향사례 그리고 향음주례" 한국서원학회 (11) : 27-53, 2020

      10 이홍두, "한국 기마전 연구" 혜안 2020

      11 신의식, "한·중 천주교 선구자 정약종(丁若鍾)과 서광계(徐光啓) 비교 연구" (재)한국교회사연구소 (56) : 7-56, 2020

      12 이남옥, "하곡 정제두의 현실 인식" 한국사학사학회 (40) : 73-95, 2019

      13 이효원, "통신사 조공사론(朝貢使論)의 허구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 한국역사연구회 (116) : 389-420, 2020

      14 김의환, "충주지역 생원․진사 입격자와 사회적 지위" 조선시대사학회 (91) : 33-74, 2019

      15 이숙인, "충절과 정절의 정치학―조선후기 절(節) 담론의 전개 양상―" 민족문화연구원 (86) : 165-195, 2020

      16 오수창, "춘향전, 역사학자의 토론과 해석" 그물 2020

      17 한명기, "최명길 평전" 보리 2019

      18 국립진주박물관, "처음 읽는 정유재란 1597" 푸른역사 2019

      19 남호현, "진주(陳奏)와 탐문(探問) - 신유년(1801) 동지겸진주사(冬至兼陳奏使)의 활동과 정보수집 -" 한국역사연구회 (118) : 583-616, 2020

      20 이원준, "중화계승 상징물에 대한 식산 이만부의 견해와 그 이론적 기반" 한국국학진흥원 (43) : 347-377, 2020

      21 동북아역사재단 북방사연구소, "주제로 보는 조선시대 한중관계사" 동북아역사재단 2020

      22 이훈상, "조선후기 통제영의 영방과 영리 그리고 이들의 출자" 진단학회 (135) : 193-225, 2020

      23 최윤오, "조선후기 토지공개념의 유형과 그 성격" 연세사학연구회 46 : 81-117, 2020

      24 정진희, "조선후기 칠성신앙의 도불습합(道佛習合) 연구 -도선암 본 『태상현령북두본명연생진경』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42 (42): 87-117, 2019

      25 고순영, "조선후기 충청우도의 정려건립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26 신진혜, "조선후기 종묘의례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27 권기석, "조선후기 족보 入錄의 정치·사회적 의미 -족보가 갖는 ‘화이트리스트’ 또는 ‘블랙리스트’의 兩面性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92) : 185-222, 2020

      28 윤유숙, "조선후기 조선・일본의 동남아시아 산물 교역" 한일관계사학회 (70) : 183-216, 2020

      29 이옥부, "조선후기 제주도 지역 여성의 재산 소유와 상속 - 구좌읍 김해김씨 가계의 별급문기를 중심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54 : 287-314, 2019

      30 이경동, "조선후기 정치·사상계의 栗谷 李珥 인식 변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31 戴琳劍, "조선후기 정부의 海洋認識에 나타난 防禦的 성격: 漂流民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진단학회 (132) : 363-391, 2019

      32 김신회, "조선후기 정감록 예언의 역사적 변천 - 기억에서 기록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33 경석현, "조선후기 재이론의 정치적 기능의 변질과 관습화" 한국사연구회 (188) : 293-330, 2020

      34 권내현, "조선후기 은광 개발 억제의 배경과 실상" 한국사연구회 (184) : 207-242, 2019

      35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조선후기 유서와 지식의 계보학" 경인문화사 2019

      36 김문용, "조선후기 유서 지식의 성격" 민족문화연구원 (83) : 13-43, 2019

      37 하여주, "조선후기 양반여성의 친정가문 일원의식 고찰" 조선시대사학회 (89) : 257-289, 2019

      38 김용흠, "조선후기 실학과 다산 정약용" 혜안 2020

      39 정호훈, "조선후기 실학 연구의 추이와 성과- 해방 후 한국에서의 실학 연구, 방법과 문제의식 -" 한국사연구회 (184) : 75-112, 2019

      40 심재우, "조선후기 수령의 법적 지위와 형벌권 행사의 실상: 『목민심서』를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1) : 149-175, 2020

      41 노성룡, "조선후기 송정(松政)의 전개과정과 특성 : 국방(國防) 문제를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원 63 (63): 39-78, 2020

      42 이선희, "조선후기 성저십리에 위치한 관서의 종류와 입지 특징" 한국학중앙연구원 (41) : 146-176, 2019

      43 백민정, "조선후기 성 관련 범죄의 처벌 규정과 재판 양상―『審理錄』⋅『秋官志』와 『欽欽新書』의 판결 사례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87) : 185-223, 2020

      44 유현재, "조선후기 서울 주택가격 변동과 의미" 조선시대사학회 (95) : 313-341, 2020

      45 조영준, "조선후기 상인 조직의 인원 구성과 변동: 저산팔읍 상무우사의 사례 분석" 한국학중앙연구원 43 (43): 117-154, 2020

      46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와 민간신앙의 공존 양상-산신・칠성 신앙의 불교화" 불교학연구회 61 : 75-104, 2019

      47 최형국, "조선후기 무예사 연구 - 무예, 망각의 기억 속 몸의 문화" 민속원 2019

      48 김건태, "조선후기 마을 위상과 전세량의 관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65 : 2019

      49 문숙자, "조선후기 균분상속의 균열과 그 이후의 상속관행" 한국국학진흥원 (39) : 117-149, 2019

      50 정성학, "조선후기 공생(貢生)의 의미와 공생층 증가양상" 한국역사연구회 (111) : 255-286, 2019

      51 정수환, "조선후기 경주 방어리(防禦里) 사계(射契)와 동계(洞契)의 호혜와 협동 가치" 한국학중앙연구원 43 (43): 75-115, 2020

      52 문광균, "조선후기 경상도 재정 연구" 민속원 2019

      53 김영나, "조선후기 경상도 서원노비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54 조영준, "조선후기 行商 조직의 座目과 인원 변동 - 禮德沔唐과 京都所・京都廳의 사례" 한국학중앙연구원 (44) : 250-285, 2020

      55 조영준, "조선후기 綿紬廛의 멤버십 관리 ―單子를 통해 본 入參의 실태―" 한국고문서학회 57 : 243-274, 2020

      56 이기봉, "조선후기 疫病에 대한 정부의 대응 - 正祖 시기의 특징을 중심으로 -" 대구사학회 141 : 193-226, 2020

      57 최주희, "조선후기 王室관련 연구 동향과 과제: 왕조국가의 성격에 관한 재정사적 검토"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7) : 125-158, 2019

      58 김윤정, "조선후기 王妃父母服制의 변화와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42) : 214-239, 2019

      59 이승민, "조선후기 求貿의 전개과정과 성격"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9

      60 이강욱, "조선후기 東西 兩班 官職의 분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9) : 473-512, 2020

      61 진재교, "조선조 후기 類書의 형성과정과 지식·정보 분류의 知識史" 한국실학학회 (40) : 427-474, 2020

      62 이훈, "조선의 통신사외교와 동아시아" 경인문화사 2019

      63 김선주, "조선의 변방과 반란, 1812년 홍경래 난" 푸른역사 2020

      64 정해은, "조선의 무관과 양반사회-무과급제자 16,643명의 분석 보고서" 역사산책 2020

      65 진상원, "조선왕조의 연좌제 - 정치범 후손의 과거응시 문제를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113) : 33-77, 2019

      66 후마 스스무, "조선연행사와 조선통신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9

      67 심재우, "조선시대 향촌 사회조직 연구의 현황과 과제-향약·계에 관한 성과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90) : 365-396, 2019

      68 김일권, "조선시대 지진기록의 등급별 시기 분포 및 한반도 2천년간 역사지진기록 목록화 연구" 조선시대사학회 (91) : 235-302, 2019

      69 박희병, "조선시대 중국 파견 사신의 총칭 문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6) : 3-41, 2019

      70 권기중, "조선시대 전라도 수령의 출신성분과 재임실태-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94) : 7-46, 2020

      71 김인호, "조선시대 영남지역 문과급제자 연구"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9

      72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조선시대 서학 관련 자료 집성 및 번역·해제 1·2·3·4·5.1·5.2·6" 경인문화사 2020

      73 임근실, "조선시대 서원의 향사의례에 대한 특징과 의미 -남인계・서인계 서원을 중심으로-" 한국서원학회 (11) : 55-89, 2020

      74 김자운, "조선시대 서원(書院) 강학(講學) 관련 자료의 유형과 특징" 유학연구소 48 : 129-171, 2019

      75 김일권, "조선시대 서리 기상기록 분석과 역사지진기록과의 상관성 고찰" 탐라문화연구원 (65) : 205-322, 2020

      76 김경록, "조선시대 사행기록에 대한 검토" 진단학회 (132) : 309-338, 2019

      77 김윤경, "조선시대 백과사전 속 ‘단군’의 표상" 민족문화연구원 (83) : 93-114, 2019

      78 김석근, "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觀)" 역사산책 2019

      79 이경구, "조선시대 공화(共和) 논의의 정치적 의미" 역사문제연구소 (127) : 68-89, 2019

      80 노인환, "조선시대 密符의 제도와 운용"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15) : 121-165, 2020

      81 한효정, "조선시대 代訟의 양상과 특징 -16세기~19세기 決訟立案을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54 : 149-167, 2019

      82 한형주, "조선시대 ‘역대시조묘’에 대한 의례적 고찰" 한국국학진흥원 (39) : 281-317, 2019

      83 강지은, "조선시대 ‘실학’ 개념에 대한 고찰" 고려사학회 (75) : 115-148, 2019

      84 노관범, "조선시대 ‘利用厚生’의 용법과 어휘 추세 -한국문집총간 정집을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40) : 573-625, 2020

      85 강경현, "조선 類書類 문헌의 儒家 經典 이해―『五洲衍文長箋散稿』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83) : 115-138, 2019

      86 김선희, "조선 후기 지적 승인의 이념과 그 변용: 예수회의 세계 지도와 지리학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유교학회 (77) : 305-339, 2019

      87 김선희, "조선 후기 유서(類書)와 서학(西學)―『성호사설』과 『오주연문장전산고』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83) : 45-91, 2019

      88 송기중, "조선 후기 수군 연구 - 정책·재정·훈련에 관하여" 역사비평사 2019

      89 김진우, "조선 후기 사회 기본 구조의 특징과 그 의의 - 家, 宗, 族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52 : 29-66, 2019

      90 임종태, "조선 후기 북학론(北學論)의 수사(修辭) 전략과 중국 기술 도입론"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0) : 163-196, 2020

      91 문준영, "조선 후기 민사재판에서 短訟의 의미와 재판격식의 변화상" 한국법사학회 (60) : 11-80, 2019

      92 고민정, "조선 후기 공신의 녹훈과 특권에 관한 연구" 역사문화연구소 (75) : 3-32, 2020

      93 노인환, "조선 후기 印信 改造와 문서 행정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印信謄錄』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4) : 77-113, 2019

      94 서인범, "조선 호피·표피의 淸朝 진헌" 역사학회 (244) : 195-244, 2019

      95 김미성, "조선 현종~숙종 연간 기후 재난의 여파와 유민(流民) 대책의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118) : 99-135, 2020

      96 박진, "조선 왕실의 친족 의식과 족파(族派), 그리고 한국 전통적 가족관계" 아세아문제연구원 62 (62): 9-36, 2019

      97 이경구, "조선 시대 실학 용법에 대한 거시적 일고찰" 한림과학원 (26) : 111-133, 2020

      98 오항녕, "조선 세 重臣의 瀋陽 구류와 교유― 金尙憲・崔鳴吉・李敬輿의 경험" 대동문화연구원 (105) : 255-290, 2019

      99 김윤주, "조선 고종대 경복궁 중건의 풍경과 일상" 서울역사편찬원 (103) : 207-250, 2019

      100 한상권, "제주도 誤決呈訴의 양태 -「1629년 제주목 결송입안」을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54 : 1-37, 2019

      101 김지영, "정조의 예치 - 예를 바로잡아 백성의 마음을 기르다" 휴머니스트 2020

      102 김호, "정조의 법치 - 법의 저울로 세상의 바름을 살피다" 휴머니스트 2020

      103 백승호, "정조의 문치-글쓰기로 인의의 정치를 펴다" 휴머니스트 2020

      104 허태구, "정조의 무치 - 문무를 갖춘 완전한 나라를 꿈꾸다" 휴머니스트 2020

      105 백민정, "정조의 경학 이해와 정치의 문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9) : 3-38, 2020

      106 강문식, "정조의 朱子學 연구와 『朱書百選』 편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9) : 39-69, 2020

      107 박현순, "정조의 日次殿講 운영" 조선시대사학회 (89) : 109-144, 2019

      108 민장원, "정조의 ‘충신’ 현창사업과 이순신에 대한 기억의 재구성" 조선시대사학회 (89) : 145-186, 2019

      109 이경구, "정조와 세도정치 이해를 위한 세 가지 고려" 내일을 여는 역사재단 68 : 2017

      110 박수정, "정조대 국조오례통편 편찬의 정치적 배경" 한국학중앙연구원 43 (43): 435-468, 2020

      111 박범, "정조 중반 장용영의 군영화 과정" 수선사학회 (70) : 125-159, 2019

      112 김백철, "정조 6년(1782) 윤음의 반포와 그 성격 - 송덕상(宋德相) 사건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원 (75) : 69-108, 2019

      113 김지수, "정의의 감정들 - 조선 여성의 소송으로 본 젠더와 신분" 사회평론아카데미 2020

      114 조인희, "정유재란사(丁酉再亂史) 연구에 관한 한일학계 연구의 현황" 연세사학연구회 46 : 153-204, 2020

      115 하태규, "정유재란기 왜교성전투의 실상과 성격" 전북사학회 (60) : 213-244, 2020

      116 계승범, "정묘호란의 동인 재고" 열상고전연구회 (71) : 247-278, 2020

      117 김한신, "임진전쟁기 柳成龍의 군사·외교활동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118 김자현, "임진전쟁과 민족의 탄생" 너머북스 2019

      119 조인희, "임진왜란기(壬辰倭亂期) 분조(分朝) 구성원의 행적에 관한 고찰" 역사실학회 (73) : 51-121, 2020

      120 이정일, "임진왜란 초기 조명 군사 협력의 양상 -벽제관 전투 전후를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75) : 85-114, 2019

      121 김영진, "임진왜란 초기 명의 파병과 조명관계의 실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41 (41): 5-45, 2019

      122 김진수, "임진왜란 초 官軍의 재편과 성격에 대한 재인식" 한일관계사학회 (63) : 191-226, 2019

      123 이정일, "임진왜란 전반기 조명 군사 협력의 일단 - 함경도 일본군 퇴각과 관련하여-" 한일관계사학회 (66) : 129-166, 2019

      124 김영진, "임진왜란 이후 명군철수 협상에 대한 고찰" 한국정치외교사학회 42 (42): 47-87, 2020

      125 김문자, "임진왜란 연구의 제 문제 -임진・정유재란 발발 원인에 대한 재검토-" 한일관계사학회 (67) : 139-176, 2020

      126 노영구, "임진왜란 시기 명군(明軍)의 대구(大邱) 팔거현(八莒縣) 주둔과 지역 변화" 한국사연구회 (191) : 257-286, 2020

      127 신윤호, "임진왜란 시기 三道水軍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128 김경태, "임진·정유재란기 동래 지역의 전황-일본군의 주둔 동향과 조선의 대응을 중심으로-"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38) : 1-39, 2019

      129 徐有榘, "임원경제지 정조지(鼎俎志) 1·2·3·4" 풍석문화재단 2020

      130 徐有榘, "임원경제지 이운지(怡雲志) 1·2·3·4" 풍석문화재단 2019

      131 徐有榘, "임원경제지 예규지(倪圭志) 1·2" 풍석문화재단 2019

      132 徐有榘, "임원경제지 상택지(相宅志)" 풍석문화재단 2019

      133 徐有榘, "임원경제지 보양지(葆養志) 1·2·3" 풍석문화재단 2020

      134 거자오광, "이역을 상상하다 - 조선 연행 사절단의 연행록을 중심으로" 그물 2019

      135 김소라, "읍양안과 주판으로 본 19~20세기 전결세 수취 양상: 경상도 언양현 삼동면 금곡리 사례를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1) : 177-206, 2020

      136 장준호, "유성룡의 『징비록』 연구" 카모마일북스 2020

      137 우정, "왕비가의 혈연적 인프라 - 왕비를 둘러싼 혈연의 累層과 그에 대한 정치사적 해명 - 明聖王后·孝懿王后 가문, 淸風金氏를 중심으로" 한국계보연구회 10 : 2020

      138 이강욱, "왕명 전달 문서 諭書의 용도 및 분화" 한국학중앙연구원 (44) : 98-145, 2020

      139 정재훈, "영조의 국정운영과 문화" 대구사학회 141 : 169-191, 2020

      140 서현배, "영조대 균역법의 재정사적 의미"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66 : 2020

      141 이동화, "영조대 違豫論과 그에 기반한 역사 인식-南宋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88) : 109-142, 2019

      142 최성환, "영·정조대 탕평정치와 군신의리" 신구문화사 2020

      143 노대환, "연속성의 관점에서 해석하기: 2017~2018년 조선후기사 연구동향" 역사학회 (243) : 161-194, 2019

      144 우대형, "역사인구학 지표로 살펴본 조선후기 생활수준의 장기 추이, 1734~1910" 한국사회사학회 (121) : 195-259, 2019

      145 김경래, "시데하라 다이라[幣原坦]의 『韓國政爭志』와 조선시대 정치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5) : 277-305, 2019

      146 김호, "시골 양반 역병(疫病) 분투기―18세기 구상덕의 『승총명록』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31) : 189-221, 2020

      147 김정자, "순조 후반 헌종 연간 정국과 정치세력의 동향 - 효명세자 대리청정 시기와 이후 『推案及鞫案』에 실린 사건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54 : 77-112, 2020

      148 김정자, "순조 전반기 정국의 동향과 李審度 獄事의 전말-『親鞫日記』와 『推案及鞫案』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89) : 187-224, 2019

      149 김우진, "숙종의 수도권 방어정책과 국왕의 대응"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150 이미선, "숙종대 왕실여성들의 정치적 행보와 역할" 조선시대사학회 (93) : 93-128, 2020

      151 오수창, "세도정치를 다시 본다" 역사문제연구소 12 : 1991

      152 김성우, "성산 여씨(星山呂氏) 기동파(耆洞派)의 사회적 성장과 지배 종족(支配宗族)으로서의 생존 전략" 역사학회 (242) : 75-103, 2019

      153 허태용, "성리학으로 조선시대를 설명하는 연구 경향의 비판적 고찰" 역사문제연구소 (127) : 317-350, 2019

      154 채광수, "서원의 특수 의례 종류와 실제 -追享禮・致祭禮・賜額禮를 중심으로-" 한국서원학회 (10) : 201-225, 2020

      155 박경, "서얼 관직 진출 관련 법과 논의에 반영된 조선의 친족 질서" 한국국학진흥원 (40) : 131-170, 2019

      156 김남일, "서명응의 역사학과 역사비평 - 『자치통감강목삼편』의 편찬배경과 정통론의 시대적 의미 -" 한국사학사학회 (40) : 127-169, 2019

      157 이익주, "비판을 넘어 대안 만들기" 역사학회 (227) : 3-22, 2015

      158 허태구, "병자호란과 예(禮), 그리고 중화(中華)" 소명출판 2019

      159 구범진, "병자호란, 홍타이지의 전쟁" 까치 2019

      160 박주영, "병자호란 직후 속환부녀(贖還婦女)의 이혼 문제" 인문과학연구소 (58) : 193-236, 2020

      161 구범진, "병자호란 전야 외교 접촉의 실상과 청의 기만 작전, 그리고 『청태종실록』의 기록 조작" 동양사학회 (150) : 253-298, 2020

      162 김새미오, "병와 이형상의 제주지방 의례정비와 음사철폐에 대한 소고"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63 (63): 103-140, 2020

      163 손성욱, "변화된 ‘皇都’에서 서양과 조선의 접촉 ― 1860∼70년대 조선 赴京使臣團의 사진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148) : 245-286, 2019

      164 오수창, "반정, 조선시대 군주 축출의 논리와 성격" 한국정치연구소 28 (28): 1-30, 2019

      165 송양섭, "반계 유형원의 兵農一致論과 군사제도 개혁안" 한국실학학회 (40) : 265-328, 2020

      166 우경섭, "명청교체기 조선에 표류한 漢人들-1667년 林寅觀 사건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88) : 47-76, 2019

      167 배종석, "명청교체기 조선사신단의 해양표류기 연구 -안경의 『가해조천록』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번역원 56 : 201-234, 2020

      168 宋應昌, "명나라의 임진전쟁 - 송응창의 『경략복국요편(經略復國要編)』 역주 1·2" 사회평론아카데미 2020

      169 김한규, "동아시아의 창화 외교" 소나무 2019

      170 하우봉, "동아시아의 백과전서파 실학과 황윤석" 한국실학학회 (40) : 331-368, 2020

      171 정진영, "대구지역의 미가와 그 추이: 1743~1905년" 부산경남사학회 (114) : 49-85, 2020

      172 최윤오, "다산 정약용의 토지개혁론과 현실인식" 국학연구원 (190) : 221-243, 2020

      173 송양섭, "다산 정약용의 戶口運營論 ― 『목민심서』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110) : 107-138, 2020

      174 최윤오, "다산 정약용의 土地公槪念과 閭田制" 국학연구원 (187) : 259-283, 2019

      175 정수환, "노상추(1746∼1829)의 토지 매매정보 수집과 매매활동 - 居間과 居間人 그리고 土地買賣明文-" 민족문화연구소 (73) : 155-191, 2019

      176 이헌창, "김육 평전 - 대동법을 완성한 조선 최고의 개혁가" 민음사 2020

      177 허태용, "근・현대 지성사의 전개와 조선후기 ‘북학’" 한국사상사학회 (64) : 73-109, 2020

      178 요시다 미츠오, "근세 서울 도시사회 연구" 심산 2019

      179 나영훈, "규장각 소장 ‘先生案’의 현황과 자료적 가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6) : 239-274, 2019

      180 신명호, "국왕과 양반의 소통 구조" 역사산책 2019

      181 원창애, "국왕과 민의 소통 방식" 역사산책 2019

      182 盧尙樞, "국역 노상추일기 10·11·12" 국사편찬위원회 2020

      183 권은나, "광해군대 척신의 세력화와 상호갈등" 대구사학회 141 : 113-168, 2020

      184 이경구, "곤경에서 곤혹으로: 18세기 중반~19세기 초반 낙론 학자들의 딜레마"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9) : 99-117, 2020

      185 나영훈, "고종대 경복궁 중건 원납전의 납부 실태와 배경" 서울역사편찬원 (103) : 53-116, 2019

      186 이효원, "계미통신사행 필담창화집 <縞紵集>을 통해 본 徂徠學派의 통신사 인식과 화이관의 추이" 동아시아고대학회 (53) : 89-111, 2019

      187 배우성, "경복궁 중건과 대원군의 정치-『경복궁영건일기』를 중심으로-" 서울역사편찬원 (103) : 7-51, 2019

      188 김창수, "건륭연간 외교 공간의 확장과 조선 사신의 교류 -조선·청 지식 교류의 기반에 관하여-" 한국학연구소 51 : 219-252, 2019

      189 계승범, "같은 전쟁 다른 기록 ― 병자호란 초기 홍타이지의 국서와 조선의 국가정체성 문제 ―" 동양사학회 (147) : 31-59, 2019

      190 이명제, "강희 연간 淸使의 사행 기록과 조선 인식의 양상: 揆叙와 阿克敦을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8) : 63-91, 2019

      191 김용섭, "韓國學入門" 학술원 1983

      192 박민예, "辛酉迫害를 통해 본 천주교회 내 과부 신자와 僞裝寡婦" 인문과학연구소 (54) : 37-76, 2019

      193 김봉좌, "譯官의 對淸貿易 관계 件記 연구" 조선시대사학회 (90) : 309-364, 2019

      194 윤정, "英祖의 義烈廟 창설의 정치사적 의미 - 思悼世子 賜死과 후계 구도의 의리 정립 -" 역사실학회 (69) : 287-335, 2019

      195 이근호, "英祖 ‘御製訓書’類의 현황과 가치" 한국학중앙연구원 (41) : 6-31, 2019

      196 김창수, "耳溪 洪良浩의 華夷觀과 청 인식의 두 층위" 수선사학회 (69) : 131-157, 2019

      197 정병설, "移葬 과정을 통해 본 「顯隆園誌」의 성격" 한국학중앙연구원 (43) : 114-135, 2020

      198 吳希文, "瑣尾錄"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199 손성욱, "王世子 冊封으로 본 淸・朝 관계(康熙 35년∼乾隆 2년)" 동양사학회 (146) : 193-230, 2019

      200 조지형, "燕巖 朴趾源의 천주교 인식과 대응 양상" 대동문화연구원 (110) : 271-298, 2020

      201 노기식, "滿洲의 興起와 東아시아 秩序의 變動" 중국사학회 16 : 2001

      202 서인범, "淸 勅使·通官에의 조선 호피 · 표피 사여와 무역"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9) : 99-147, 2020

      203 김다미, "正祖의 강원도 유생 선발" 조선시대사학회 (91) : 155-196, 2019

      204 홍승태, "正祖의 『宋史撮要』 편찬과 그 의의" 한국사학사학회 (40) : 317-347, 2019

      205 김정자, "正祖~憲宗代 ‘廣儲嗣’ 사안을 통해 본 정국과 정치세력의 추이 - 朴在源 사건과 李承憲 親鞫 사건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52 : 67-107, 2019

      206 백승호, "正祖 年間 南人 文壇과 知識人의 結束"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9) : 71-98, 2020

      207 나종현, "栗谷學派 性理說의 展開와 湖論 思想의 形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208 김강식, "李邦翼 『漂海錄』 속의 漂流民과 海域 세계" 효원사학회 55 : 147-178, 2019

      209 임성수, "朝鮮後期 戶曹의 財政運營 硏究-加入·鑄錢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210 김성희, "朝鮮 肅宗의 君臣義理 定立과 尊周大義"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0

      211 한승현, "朝鮮 後期 明 遺民 우대책과 濟南 王氏의 관직진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6) : 197-238, 2019

      212 김진우, "朝鮮 後期 庶孼의 宗法的 지위 약화와 그 원인" 조선시대사학회 (89) : 225-255, 2019

      213 장순순, "朝日 문화교류의 측면에서 본 조선후기 倭館-일본산 담배 및 담뱃대를 중심으로-"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39) : 47-78, 2020

      214 丁晨楠, "明淸時代 朝鮮의 중국정보 수집 - ‘新聞類 소식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215 주채영, "換局을 넘어 蕩平으로, 延礽君의 國王되기 - 생존의 모색과 새로운 연대의 구축 -" 한국사학사학회 (42) : 43-75, 2020

      216 구범진, "崇德年間 淸朝의 朝鮮 王室 冊封과 冊封文書" 명청사학회 (52) : 71-106, 2019

      217 김학수, "尊周論의 작동과 정치이념적 ‘家’의 출현 -연안이씨 忠毅公 李有吉家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95) : 55-93, 2020

      218 이재경, "大淸帝國體制 내 조선국왕의 법적 위상―국왕에 대한 議處⋅罰銀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83) : 403-446, 2019

      219 박영민, "兪彦鎬의 悼亡文을 통해 본 18세기 후반 가족문화의 한 양상" 고려사학회 (76) : 63-96, 2019

      220 이종우, "光海君 代의 종교지형 변동 - 지배층의 이중적 佛敎觀과 승려와의 교유 -" 숭실사학회 (44) : 5-28, 2020

      221 이경동, "仁祖代 經筵의 운영과 성격" 조선시대사학회 (90) : 97-144, 2019

      222 김한신, "仁祖代 前半期 왕권과 정치질서 재편 (1623~1636)" 고려사학회 (78) : 109-151, 2020

      223 유승주, "丙子胡亂前後 柳琳將軍의 將略과 金化大捷" 도서출판 온샘 2019

      224 윤석호, "丁若鏞의 三代 田賦論: 三代 ‘二元的 田賦論’의 논정 과정을 중심으로" 진단학회 (132) : 167-204, 2019

      225 이강욱, "『승정원일기』 입시 기사와 대화 내용의 문서화" 한국고문서학회 57 : 1-33, 2020

      226 정호훈, "『누판고(鏤板考)』의 지식 세계와 조선 학술"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9) : 119-164, 2020

      227 박윤진, "『英烈琴相國集』을 중심으로 본 조선후기 가계기록류의 『高麗史』 이해와 해명 방식" 고려사학회 (74) : 75-100, 2019

      228 심민정, "『朝鮮漂流日記』(1819)에 나타난 표류왜인 호송과 접대 실태" 한일관계사학회 (70) : 127-156, 2020

      229 김명자, "『曆中日記』를 통해 본 18세기 양반가 남성의 가사활동과 그 의미" 조선시대사학회 (95) : 165-195, 2020

      230 조재모, "『景福宮營建日記』의 건축기록과 경복궁 중건공역" 서울역사편찬원 (103) : 159-205, 2019

      231 유승희, "『景福宮營建日記』에 나타난 ‘自願軍’의 실상과 활동" 서울역사편찬원 (103) : 117-157, 2019

      232 임명걸, "『北學議』와 『雪岫外史』의 비교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108) : 211-240, 2019

      233 손혜리, "「뇌뢰낙락서」를 통해 본 이덕무의 역사인식" 한국사학사학회 (41) : 5-40, 2020

      234 김세은, "<<의주등록>>을 통해 본 영조 대의 국가 의례와 왕실 행사- 영조 대 전반기를 중심으로 -" 진단학회 (135) : 99-128, 2020

      235 백옥경, "2015~2016년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 역사학회 (235) : 159-210, 2017

      236 강석화, "2013~2014년 조선후기사 연구 동향: 새로운 해석을 추구하는 사상사와 사회사" 역사학회 (227) : 111-146, 2015

      237 노영구, "2008년 조선후기사 연구 경향과 전망" 역사학회 (203) : 77-107, 2009

      238 손병규, "19세기 지방재정 운영" 경인문화사 2018

      239 배대호, "19세기 전후 사대부가의 감염병 양상과 대처 -정원용의 『경산일록』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95) : 279-311, 2020

      240 김미성, "19세기 말 면주전 접방(接房)의 감소와 도중(都中)의 대응" 한국역사연구회 (114) : 103-141, 2019

      241 구열회, "19세기 楊根 大也洞의 洞契운영과 성격 : 지배와 포섭의 이중적 구조" 역사문화학회 22 (22): 241-278, 2019

      242 조윤선, "19세기 典獄署 분석 -『六典條例』·『承政院日記』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번역원 56 : 361-412, 2020

      243 박진철, "19世紀 朝鮮 ‘解由文書’를 통해 본 釜山鎭 水軍의 軍備와 武器體系" 한국민족문화연구소 (77) : 371-404, 2020

      244 염정섭, "1960~70년대 조선시대 농업사 연구와 내재적 발전론, 근세사회론" 한국사연구회 (184) : 1-42, 2019

      245 고동환, "1960년~1970년대 한국사 개설서의 조선시대 상업사 서술과 상업사 연구" 한국사연구회 (184) : 43-74, 2019

      246 김보람, "18세기 총부의 입후권: 숙명공주의 봉사손 선정 문제를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2) : 229-260, 2020

      247 조성산, "18세기 중후반∼19세기 조선 주자학 지식인들의 천(天) 인식과 서학(西學) 대응" 한국사연구회 (191) : 337-383, 2020

      248 박준영, "18세기 이후 淸의 賀表式 반포와 朝鮮 賀表의 변화" 한국고문서학회 55 : 57-81, 2019

      249 안대회, "18세기 새로운 부(富)의 인식과 이재론(理財論)―이재운의 『해동화식전』 연구" 역사문제연구소 (128) : 436-469, 2019

      250 조광현, "18세기 外官의 緘答 작성과 그 과정 - 蔚山都護府使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55 : 27-55, 2019

      251 송양섭, "18~19세기 동래부 동하면의 ‘면중(面中)'과 잡역운영" 한국역사연구회 (112) : 237-274, 2019

      252 정진영, "18~19세기 대구지역 토지거래와 지가변동-경주최씨가의 전답 매매자료 분석-" 조선시대사학회 (89) : 291-326, 2019

      253 방상근, "1868년 ‘남연군묘 도굴사건’과 조선 신자" (재)한국교회사연구소 (57) : 7-34, 2020

      254 이정수, "18-19세기 고공법과 노동이동성 제약" 경제사학회 44 (44): 117-154, 2020

      255 임혜련, "17세기 청풍 김문의 외척형성과 金佐明의 역할" 수선사학회 (74) : 213-241, 2020

      256 김덕진, "17세기 전반 정국과 靈光지역의 鄕戰" 호남사학회 (75) : 145-177, 2019

      257 장정수, "17세기 전반 朝鮮과 後金·淸의 國交 수립 과정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258 김경숙, "17세기 소송 현장과 노비의 소송 전략–1635년 의령현(宜寧縣) 결송입안(決給立案)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87) : 251-288, 2019

      259 정수환, "17세기 경주 국당리(菊堂里) 동계(洞契)의 전통과 호혜 원리" 한국학중앙연구원 42 (42): 39-75, 2019

      260 김창수, "17~18세기 조선 사신의 외교활동과 조선‧청 관계 구조" 조선시대사학회 (88) : 77-108, 2019

      261 손계영, "1784년 경주 용산서원의 崔震立 實紀 간행과정과 간행비용 분석" 한국서지학회 (80) : 141-168, 2019

      262 손성필,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寺刹의 존립 실태 (1) - 경상도 지역 私撰 邑誌 ‘佛宇’ 조의 검토 -" 남도문화연구소 (36) : 171-222, 2019

      263 민덕기, "16~17세기 표류 중국인에 대한 조선의 인식과 대응 : ‘人情’과 ‘大義’ 및 ‘事大’라는 측면을 중심으로"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3) : 1-36, 2020

      264 안다미, "16~17세기 ‘서원제도’ 보급 과정" 대동문화연구원 (109) : 213-240, 2020

      265 김동철, "1691년 ‘육의전체제’ 성립 근거 사료의 오류에 대한 검토" 부경역사연구소 (45) : 399-424, 2019

      266 이지영, "1681년 박상한 기우제문 사건을 통해 본 청주의 사족 갈등"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7) : 35-60,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5 1.505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