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漢江의 水鳥類調査 = Survey of Waterbirds on the Han River in Seoul 1989-1993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0861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1989년부터 1992년까지 동계에 한강의 서울수계에서 관찰한 조류는 총 39종, 최대 개체수는 27,615개체이며, 우점종은 흰죽지이다. 2. 1993년 2월부터 4월까지 한강하류에서 관찰한 조류는 총 38...

      1. 1989년부터 1992년까지 동계에 한강의 서울수계에서 관찰한 조류는 총 39종, 최대 개체수는 27,615개체이며, 우점종은 흰죽지이다.
      2. 1993년 2월부터 4월까지 한강하류에서 관찰한 조류는 총 38종, 최대개체수는 110,989개체이다. 최우점종은 흰죽지이며, 청둥오리, 고방오리 및 큰기러기의 순이었다.
      3. 1992년 3월부터 5월까지 밤섬에서 관찰한 조류는 38종, 최대 개체수는 2,327개체이다. 최우점종은 청둥오리이며, 흰뺨검둥오리, 쇠오리 및 비오리의 순이었다.
      4. 밤섬의 번식조류는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및 깝작도요이며, 꼬마물떼새와 쇠제비갈매기는 번식장소의 감소로 크게 줄어들었다.
      5. 조류의 번식기간인 4~7월과 월동기간인 12~2월에는 밤섬의 출입을 엄격히 통제해야 하며, 인공 자갈못의 조성, 인공 새집의 가설, 먹이 공급 등을 통한 장기적인 보호 방안이 필요하다.
      6. 행주대교에서 최근에 세워진 오두산통일전망대까지 약 25㎞에 이르는 한강하류지역은 재두루미, 개리, 큰기러기, 쇠기러기 및 말똥가리류, 수리류, 개구리매류 등 맹금류를 포함하는 10만마리 이상의 대집단이 도래하는 지역이다. 따라서 현재 천연기념물지역으로 지정된 한강하구지역은 수금류의 보호를 위해 위에 언급한 지역을 포함하여 확대지정하여야만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A total of 39 species with a maximum individual number of 27,615 of waterbirds was observed on the Han River in Seoul during the winter periods of 1982-1992, among which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Aythya ferina. 2. A maximum count of 110,989 in...

      1. A total of 39 species with a maximum individual number of 27,615 of waterbirds was observed on the Han River in Seoul during the winter periods of 1982-1992, among which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Aythya ferina.
      2. A maximum count of 110,989 individuals of 38 species were recorded from February to April 1993 on Han River estuary.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Aythya ferina followed by Anas platyrhynchos, A. acuta and Anser fabalis.
      3. A maximum count of 2,327 individuals of 38 species were made during the bird census on Pam Islet, among which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Anas platyrhynchos followed by A. poecilorhyncha, A. crecca and Mergus merganser.
      4. The species of birds breeding on Pam Islet were Anas platyrhynchos, A. poecilorhyncha and Tringa hypoleucos. The number of Charadrius dubius and Sterna albifrons was greatly declined due to the decrease of their breeding sites.
      5. People coming to Pam Islet should be restricted during the breeding season from April to June and the wintering season from December to February. Long-term protection measures, such as artificial gravel pits and nests, and feed, are necessary for the waterbirds inhabiting this islet.
      6. The downstream of the Han River stretching about 25㎞ from Haengju Bridge to the Han River estuary, where the unification observatory has recently been erected, becomes the wintering site of more than 100,000 waterfowl including rare spcies such as White-naped crane, Swan goose, Bean goose, White-fronted goose; and birds of prey such as buzzards, eagles, and harriers.
      Therefore, the present natural monument of the Han River estuary should be expanded by legislation to include the downstream of the Han River mentioned above for the protection of waterfow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