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명영재 요인의 타당화 = A Validity Study of Conceptual Factors on Gifted Invention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551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발명영재의 실질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발명영재 요인을 구체화하고 타당화 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외 영재교육 및 발명영재교육에 ...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발명영재의 실질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발명영재 요인을 구체화하고 타당화 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외 영재교육 및 발명영재교육에 대한 문헌고찰과 분석, 전문가 협의회, 팀 기반 전문가 회의(TBEC; Team Based Expert Consensus),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발명영재 요인으로 4개 영역, 9개 요인, 41개의 요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발명영재 영역, 요인, 요소의 내용타당도를 수량화하기 위해 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을 산출하였다. 또한 선정된 발명영재의 요인에서 일반학생과 발명영재 학생간 점수 차이 비교를 통해 측정 구인의 타당도 증거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factors on gifted invention student, and to obtain the validity evidence of the factors. We reviewed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gifted, analysed the researches on the foreign gi...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factors on gifted invention student, and to obtain the validity evidence of the factors. We reviewed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gifted, analysed the researches on the foreign gifted education and invention gifted education, and had expert council meetings to extract conceptual factors on gifted invention student. The invention gifted factors extracted were divided into invention gifted areas, sub-factors, and elements by Team Based Expert Consensus(TBEC) and validity of the factors extracted are examined by 40 experts. We provided the content validity ratio by the experts. As the conceptual factors of the invention gifted, there were 4 areas, 9 factors, and 41 elements. Finally, we surveyed the questionnaire on invention gifted areas, factors, and elements to the students in regular schools and the gifted invention students who had already selected. It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invention gifted areas, factors, and elem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호성, "학생 산출물 및 프로그램 평가: 영재교육에서의 평가. in: 창의적 지식생산자 양성을 위한 영재교육, 초등과학편" 한국교육개발원 2002

      2 최유현,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기술과 교재 연구’ 강좌의 수업 및 평가전략 개발연구:질적사례연구, 대학교수방법 연구과제 보고서" 충남대학교 2004

      3 김경자,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개념 모형 개발" 1998

      4 이찬, "차세대 영재기업인 선발모형 개발 및 육성체계 구축" 서울대학교․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2009

      5 최유현, "지식재산 교육 모형의 이론 탐색과 실천 전략"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77-94, 2005

      6 최유현, "주니어 발명리더과정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및 개정연구 최종보고서" 특허청 2007

      7 교육인적자원부,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08~’12)" 2007

      8 국가인적자원위원회,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08-‘12)" 2008

      9 최인수, "유아용 창의성 측정도구에 관한 고찰" 20 (20): 139-166, 2000

      10 변윤희, "유아 창의성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연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271-301, 2005

      1 최호성, "학생 산출물 및 프로그램 평가: 영재교육에서의 평가. in: 창의적 지식생산자 양성을 위한 영재교육, 초등과학편" 한국교육개발원 2002

      2 최유현,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기술과 교재 연구’ 강좌의 수업 및 평가전략 개발연구:질적사례연구, 대학교수방법 연구과제 보고서" 충남대학교 2004

      3 김경자,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개념 모형 개발" 1998

      4 이찬, "차세대 영재기업인 선발모형 개발 및 육성체계 구축" 서울대학교․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2009

      5 최유현, "지식재산 교육 모형의 이론 탐색과 실천 전략"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77-94, 2005

      6 최유현, "주니어 발명리더과정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및 개정연구 최종보고서" 특허청 2007

      7 교육인적자원부,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08~’12)" 2007

      8 국가인적자원위원회,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08-‘12)" 2008

      9 최인수, "유아용 창의성 측정도구에 관한 고찰" 20 (20): 139-166, 2000

      10 변윤희, "유아 창의성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연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271-301, 2005

      11 박성익, "영재교육학원론" 교육과학사 2003

      12 구자억, "영재교육과정 개발 연구 - 초․중학교 영재교육과정 시안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9

      13 Callahan, C. M., "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학지사 2008

      14 서혜애, "영재교육 교원 전문성 계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15 박은이, "영재 프로그램 평가 rubric 고안과 대학 부설 영재 프로그램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6 ORP, "발명영재선발도구개발연구" 특허청 2009

      17 서혜애,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보고서" 특허청 2007

      18 최유현, "발명교육이론: 예비교사대 발명교육 프로그램"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2007

      19 박효정, "다중지능이론과 수업" 양서원 2006

      20 이신동, "다중지능과 교수-학습 (제3판)" 시그마프레스 2006

      21 권현진, "기술적 창의력 구성 요소 도출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기술교육학회 4 (4): 104-120, 2004

      22 최유현, "기술교과교육학" 형설출판사 2005

      23 한지영, "기술과 수행평가에서 학습자 중심 루브릭의 개발 모형과 적용" 한국직업교육학회 23 (23): 99-121, 2004

      24 한지영, "기술과 교육 평가에서 학습자 중심 루브릭이 학습과정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5 교육과학기술부, "관찰추천제 영재선발 계획 보도자료, 2009. 9"

      26 김경진, "과학영재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 25 (25): 514-525, 2005

      27 Renzulli, J.,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how-to guide for educational excellence, Mansfield Center" Creative Learning Press 1977

      28 Wiggins, G., "Teaching to the Authentic Test" 46 (46): 41-47, 1989

      29 Javaris, T., "Teaching Design Technology in the Primary School" T. J. Press Ltd. 1993

      30 Ainsworth L., "Student-Generated RUBRICS: An Assessment Model to Help All Students Succeed" Dale Seymour Publications 1998

      31 Csikzentmihalyi, M., "Society, culture, and person: A system view of creativity,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5-339, 1988

      32 Custer, R. L., "Rubrics : An Authentic Assessment Tool for Technology Education" 27-37, 1996

      33 Costa, A., "Re-assessing Assessment" Guest Editorial 46 (46): 1989

      34 Renzulli, J. S.,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G/C/T 30-35, 1977

      35 Wolf, D. P., "Portfolio Assessment: Sampling Student Work" 46 (46): 35-39, 1989

      36 Csikzentmihalyi, M., "New conceptions and research approaches to creativity: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or creativity in education,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2nd ed.)" Elsevier 81-93, 2000

      37 Walter, M., "Multiple Intelligences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Int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 2005

      38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Measuring Progress: Assessing Students for Technological Literacy" 2004

      39 Gronlund, N. E.,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eaching. 6th Edition"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0

      40 Phye, G. D., "Handbook of Classroom Assessment" Academic Press 1996

      41 Davis, G. A.,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Allyn and Bacon 1994

      42 ITEA, "EbD™-NASA STEM Design Challenge Units" Author 2009

      43 McMillan, J. H., "Classroom Assessment" Allyn and Bacon 1997

      44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Bringing Technology Education: Into K-8 Classrooms A Guide to Curricular Resource About the Designed World: K-8 Classrooms" 2005

      45 Bamburg, J., "Assessment : How Do We Know What They Know?" Washington Stat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3

      46 Herman, J. L., "A Practical Guide to Alternative Assessment"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2

      47 Blum, R. E., "A Handbook for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 in an Era of Restructur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6

      48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시․도교육청 영재교육시행계획" 교육인적자원부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7 1.367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