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논단]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내의 인간배아 발생의 자연과학적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Analysis of the Natural Scientific Perception of Human Embryo Development in a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on May 27, 2010: Case no. 2005 heonma 346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46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on May 27, 2010, case no. 2005 heonma 346 (hereafter, 2005heonma346), defined that the human embryo is not entitled to fundamental rights, and thus cannot have the right to life. There are a number of questions on the r...

      A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on May 27, 2010, case no. 2005 heonma 346 (hereafter, 2005heonma346), defined that the human embryo is not entitled to fundamental rights, and thus cannot have the right to life. There are a number of questions on the reasons presented in 2005heonma346 that deny the human embryo's subjectivity to fundamental rights. Among these reasons, the present paper analyzes the various arguments and perspectives implied in the natural scientific perception level related to the status of the human embryo. From the scientific perspective, the beginning of life represents the beginning of the individual. However, the reason for “individual continuity” in 2005heonma346 places a greater weight on the viewpoint of the object, which has a relative value that can be used to achieve a certain purpose, rather than a scientific perspective of the human embryo that exists as a human organism. Thus, it appears that 2005heonma346 resulted in a distorted decision on the status of the human embryo.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헌법재판소 2010. 5. 27.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이하 헌재 2005헌마346 결정)은 배아의 기본권 주체성을 부정하였다. 이 결정에서 배아의 기본권 주체성을 부정하기 위해 제시된 논거에는 여...

      헌법재판소 2010. 5. 27.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이하 헌재 2005헌마346 결정)은 배아의 기본권 주체성을 부정하였다. 이 결정에서 배아의 기본권 주체성을 부정하기 위해 제시된 논거에는 여러 가지 의문점이 제기된다. 그 가운데 본 논문은 헌재 2005헌마346 결정에서 배아의 지위와 관련된 자연과학적 인식 수준에 함의된 여러 논의와 관점을 분석한다. 과학적 관점에서 생명의 시작과 개체의 시작은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헌재 2005헌마346 결정의 ‘개체적 연속성’의 논거는 인간 생명체로서 존재하는 배아에 대한 자연과학적 관점이라기보다는, 배아의 존재를 어떤 특정 목적을 달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대적 가치를 가진 대상적 관점에 더 큰 무게를 둔다. 따라서 헌재 2005헌마346 결정은 인간 배아의 지위에 대한 왜곡된 결론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헌법재판소, "헌재 2005헌마346 결정"

      2 정문식, "한국에서의 생명과학기술과 헌법" 유럽헌법학회 (12) : 287-340, 2012

      3 김선택, "출생전 인간생명의. 헌법적 보호" 16 : 145-180, 2005

      4 김은애, "출생 전 생명에 대한 헌법적 고찰 - 태아 및 배아의 생명권과 그 제한을 중심으로" 대한의료법학회 10 (10): 39-73, 2009

      5 방승주, "착상전 진단의 헌법적 문제" 한국헌법학회 16 (16): 67-116, 2010

      6 서경, "착상 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대한산부인과학회 51 (51): 286-289, 2008

      7 Keith L. Moore, "인체발생학" 범문사 2002

      8 한스 요르크 잔트퀼러, "인간의 존엄성, 그리고 도덕적 권리의 실정법으로의 변형" 철학연구소 (34) : 165-192, 2007

      9 최희수, "인간의 존엄권과 생명권의 시기 ― 헌법재판소 2010. 5. 27. 2005헌마346 결정에 대한 검토 ―" 비교법학연구소 31 : 1-33, 2010

      10 윤용택, "인간배아의 존엄성 논거에 대한 고찰/-원시선 형성 이전의 전배아를 중심으로" 새한철학회 3 (3): 85-104, 2004

      1 헌법재판소, "헌재 2005헌마346 결정"

      2 정문식, "한국에서의 생명과학기술과 헌법" 유럽헌법학회 (12) : 287-340, 2012

      3 김선택, "출생전 인간생명의. 헌법적 보호" 16 : 145-180, 2005

      4 김은애, "출생 전 생명에 대한 헌법적 고찰 - 태아 및 배아의 생명권과 그 제한을 중심으로" 대한의료법학회 10 (10): 39-73, 2009

      5 방승주, "착상전 진단의 헌법적 문제" 한국헌법학회 16 (16): 67-116, 2010

      6 서경, "착상 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대한산부인과학회 51 (51): 286-289, 2008

      7 Keith L. Moore, "인체발생학" 범문사 2002

      8 한스 요르크 잔트퀼러, "인간의 존엄성, 그리고 도덕적 권리의 실정법으로의 변형" 철학연구소 (34) : 165-192, 2007

      9 최희수, "인간의 존엄권과 생명권의 시기 ― 헌법재판소 2010. 5. 27. 2005헌마346 결정에 대한 검토 ―" 비교법학연구소 31 : 1-33, 2010

      10 윤용택, "인간배아의 존엄성 논거에 대한 고찰/-원시선 형성 이전의 전배아를 중심으로" 새한철학회 3 (3): 85-104, 2004

      11 최경석, "인간배아의 도덕적 지위와 잠재성 개념" 한국철학회 (86) : 99-123, 2006

      12 박재현, "인간배아의 도덕적 지위"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10) : 7-31, 2005

      13 양해림, "인간배아복제와 책임윤리" 범한철학회 (27) : 203-227, 2002

      14 문성학, "인간배아복제연구의 도덕성 논쟁" 새한철학회 62 (62): 85-110, 2010

      15 신승환, "인간 생명을 다루는 생명과학의 범위와 윤리적 쟁점" 41 : 7-39, 2002

      16 김계성, "인간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현실" 65 : 51-61, 2005

      17 문성학, "인간 배아의 도덕적 지위에 관하여" 한국윤리교육학회 (24) : 219-236, 2011

      18 이인영, "인간 배아 보호를 위한 법정책에 관한 고찰"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3 (13): 3-86, 2002

      19 서종희, "배아연구와 인간의 존엄과 가치 -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에 대한 검토 -" 법학연구소 27 (27): 243-270, 2011

      20 임종식, "배아를 인간으로 볼 것인가?-14일론을 중심으로" 3 (3): 195-216, 2000

      21 김일수, "배아 생명에 대한 법적 이해와 법정책의 방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3 (13): 1-24, 2002

      22 신동일, "배아 생명 보호를 위한 형법적 개입의 시기" 51 : 87-107, 2002

      23 Hershalg, A., "monozygotic twinning associated with mechanical assisted hatching" 71 (71): 144-146, 1999

      24 Condic, M. L., "When does human life begins? A scientific perspective" Westchester Institute for Ethics and the Human Person 1-18, 2008

      25 Ford, N. M., "When Did I Begin? Conception of the Human Individual in History, Philosophy and Science" Cambridge Univ. Press 1988

      26 Kanter, J. R., "Trends and Correlates of Monozygotic Twinning After Single Embryo Transfer" 125 (125): 111-117, 2015

      27 Boklage, C. E., "Traces of embryogenesis are the same in monozygotic and dizygotic twins: not compatible with double ovulation" 24 (24): 1255-1266, 2009

      28 Charles E. Boklage, "Traces of embryogenesis are the same in monozygotic and dizygotic twins: not compatible with double ovulation" 24 (24): 1255-1266, 2009

      29 Morgani S. M., "Totipotent embryonic stem cells arise in ground-state culture conditions" 3 : 1945-1957, 2013

      30 "Totipotent" Marriam-Webster

      31 Condic, M. L., "Totipotency: What It is and What It Is Not" 23 (23): 796-812, 2014

      32 Gredner, R. L., "The timing of monozygotic twinning: a pro-life challenge to conventional scientific wisdom" 28 : 276-278, 2014

      33 Herranz, G., "The timing of monozygotic twinning: a criticism of the common model" 23 : 27-40, 2015

      34 George, R. P., "The moral status of the human embryo" 48 (48): 201-210, 2005

      35 Nakasuji, T., "The incidence of monozygotic twinning i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alysis based on results from the 2010 Japanese ART national registry" 31 : 803-807, 2014

      36 Abad, M., "Reprogramming in vivo produces teratomas and iPS cells with totipotency features" 502 : 340-345, 2013

      37 Singer, P., "Practical Ethics" Cambridge Univ. Press 2006

      38 "Organism"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39 Feigin M. E., "OSTM1 regulates beta-catenin/Lef1 interaction and is required for Wnt/betacatenin signaling" 20 : 949-957, 2008

      40 De Costa, A. L. E., "Monozygotic twins and transfer at the blastocyst stage after ICSI" 16 : 333-336, 2001

      41 Alikani, M., "Monozygotic twinning in the human is associated with the zona pellucida architecture" 9 (9): 1318-1321, 1994

      42 Wright, V., "Monozygotic twinning associated with day 5 embryo transfer in pregnancies conceived after IVF" 19 (19): 1831-1836, 2004

      43 Aston, K I., "Monozygotic twinning associated with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 review" 136 : 377-386, 2008

      44 Hsu, Y. C., "Monozygotic Twin Formation in Mouse Embryos in vitro" 209 : 605-606, 1980

      45 Palazzani, L.,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Biolaw" Edizioni Studium 2009

      46 López-Moratalla, N., "Information and Living Systems: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Perspectives" MIT Press 177-204, 2011

      47 Tarlatzis, B. C., "Increase in the monozygotic twinning rate after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and blastocyst stage embryo transfer" 77 (77): 196-198, 2002

      48 Serra, A., "Identity and Status of the Human Embryo: the Contribution of Biology" Libreria Editrice Vaticana 128-177, 1998

      49 Edwards, R. G., "Identical Twins and in Vitro Fertilization" 3 (3): 114-117, 1986

      50 Kiessling, A. A., "Human Embryonic Stem Cells: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and Therapeutic Potential"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003

      51 O'Rahilly, R., "Human Embryology and Teratology" John Wiley 1992

      52 Sobek, K., "High incidence of monozygotic twinning in infertility treatment, Biomed Pap Med Fac Univ Palacky Olomouc Czech Repub 2016"

      53 Honecker F., "Germ cell lineage differentiation in non-seminomatous germ cell tumours" 208 : 395-400, 2006

      54 Saito S., "Effects of extracellular matrices and growth factors on the development of isolated porcine blastomeres" 44 : 927-936, 1991

      55 Pearson, H., "Developmental biology: Your destiny, from day one" 418 : 14-15, 2002

      56 Morris, S. A., "Developmental Plasticity Is Bound by Pluripotency and the Fgf and Wnt Signaling Pathways" 2 : 756-765, 2012

      57 Müller, W. A., "Developmental Biology" Springer 1997

      58 Gardner, D. K., "Culture and transfer of human blastocyst increases implantation rates and reduces the need for multiple embryo transfers" 69 : 84-88, 1998

      59 Denker, H. W., "Comment on G. Herranz: The timeing of monozygotic twinning: a criticism of the common model. Zygote (2013)" 23 : 312-314, 2015

      60 Vauqhan, D. A., "Clustering of monozygotic twinning in IVF" 33 (33): 19-26, 2016

      61 Behr, B., "Blastocyst~ET and monozygotic twinning" 17 (17): 349-351, 2002

      62 Peramo, B., "Blastocyst transfer and monozygotic twinning" 72 : 1116-1117, 1999

      63 Adler, A., "Blastocyst culture selects for euploid embryos: comparison of blastomere and trophectoderm biopsies" 28 : 485-491, 2014

      64 Van Langendonckt, A., "Atypical hatching of a human blastocyst leading to monozygotic twinning: a case report" 74 (74): 1047-1050, 2000

      65 Hurlbut, W. B., "Altered Nuclear Transfer as a morally acceptable means for the procurement of human embryonic stem cell" 48 : 211-228, 2005

      66 Warnock, M, "A Question of Life" Blackwell 1985

      67 유호종,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15 : 317-336,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uman Studi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6-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간연구 창간호 -> 인간연구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0.85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