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해관계자가 바라는 산림의 미래와 정책 우선순위 = Desirable Forest Futures from Stakeholders and Policy Prior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322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이해관계자가 바라는 산림의 미래에 도달하기 위해 산림 분야 미래 이슈의 선호도와 발생가능성을 평가하여 산림정책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래 ...

      이 연구는 이해관계자가 바라는 산림의 미래에 도달하기 위해 산림 분야 미래 이슈의 선호도와 발생가능성을 평가하여 산림정책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래 워크숍을 통해 선정된 29개 이슈에 대해 국민과 산림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선호도-발생가능성 분석을 통해 지속·유지 전략, 집중 개선 전략, 대안 발굴 전략 낮은 우선순위에 속하는 이슈를 유형화하였다. 이해관계자가 바라는 미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산림복지서비스에 ICT 기술 활용, 바이오 임업을 위한 BT기술 개발, 도시숲 확대, 산림 수자원 및 탄소흡수원 증진, 기업의 ESG 연계 산림경영을 위한 산림 정책을 2040년까지 지속·유지할 필요가 있다. 한편, 산림 개발 규제와 가상현실 산림복지서비스 정책은 이해관계자 간의 다른 선호로 인해 사회적 합의점을 찾기 위한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ioritize forest policy for achieving desirable forest futures from stakeholders by evaluating their preference for issues in the forest sector in the future and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them. To this end, surv...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ioritize forest policy for achieving desirable forest futures from stakeholders by evaluating their preference for issues in the forest sector in the future and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them. To this end, surveys were conducted to evaluate 29 issues suggested in future workshop targeting the public and forest workers, and the issues were categorized into future strategies including ‘Keep Up the Good Work’, ‘Concentrate Here’, ‘New Alternative’, and ‘Low Priority’ using preference-possibility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application of ICT·BT for forest welfare services and bio-forestry, the expansion of urban forests, the enhancement of forest water resources and carbon sinks, and the corporate ESG-linked forest management by 2040. On the other hand, forest development regulations and virtual reality forest welfare service policies require continuous discussion to find a social consensus due to different preferences among stakeholde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