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국내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구성활동 내용 분석 = Analysis on the Activity Conten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174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 구성활동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체계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 구성활동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체계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한국녹색문화재단에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운영한 총 24개 프로그램을 수집하여 각각의 사례별로 대상, 내용, 구성 등을 1차 분석하고, 각각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활동 113개를 도출하여 영역, 목표, 주제, 활동장소, 실시주체 및 난이도 등 총 6가지의 기준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구성활동은 주로 심리?정서적 안정을 치유 목표로 진행하는 사례가 많았으며, 산림치유 프로그램 대부분이 숲해설 활동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산림치유 프로그램에는 강의 등 학습활동이 포함되는 사례가 많았으며, 혼자 할 수 있는 활동 보다 전문가가 개입하여 진행하는 활동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일정은 대부분 단순히 활동명만 제시되어 있거나 활동명과 함께 추상적이고 포괄적n치유의 목표가 제시되어 산림치유로서의 치유적 개입에 대한 내용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향후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계획단계에서 참여자에 대한 뚜렷한 분석을 통해 맞춤형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위한 구성활동을 도출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프로그램 및 구성활동에 대한 대상별 효과성 평가 연구를 통해 보다 전문성 높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systematic forest healing programs of the futur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in Korea. The specific programs analyzed are the forest healing programs, operated b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systematic forest healing programs of the futur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in Korea.
      The specific programs analyzed are the forest healing programs, operated by the Korea Forest Foundation, from the years 2008-2010. Twenty four programs were collected during the three years, each analyzing target, content and composition. These programs were then sorted into one hundred and thirteen activitie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which consists of six standards: Field, aim, subject, place, participation and level. As a result, it is apparent that firstly, the activitie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have many cases relating to proceeding programs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Secondly, the activitie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have many cases that included the forest interpretation activity and the learning activity, such as a lecture. Furthermore, it is fair to say that there are more activities involving expertise. It is important to state that the schedule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mostly consisted of suggested activity names, often with an abstract and/or comprehensive concept; thus not offering contents about the intervention of the healing purpose.
      Therefore, in the design stage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we must state the activities of the composition for individualized forest healing programs, through clear analysis of participation. To achieve this, we must develop the systematic forest healing programs and formed activities, through study on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for the individu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연구범위 및 방법
      • III.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연구범위 및 방법
      • III. 결과 및 고찰
      • I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기영화,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 학지사 19-, 2001

      2 이준우, "치유의 숲 조성 모델 개발 기본설계(안)"

      3 심혜숙, "체험수준 변화에 의한 게슈탈트기법 적용 집단상담의 과정분석" 8 (8): 101-133, 1996

      4 한경희, "집단원예치료 발달단계에 따른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치료목표 및 원예활동 분석"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3 (13): 13-21, 2010

      5 문미영, "정신적 장애인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분석"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18 (18): 136-141, 2010

      6 오대민, "원예치료의 사회복지 정책 도입을 위한연구" 제주대학교 2004

      7 이지혜, "원예치료에서 치료 및 재활영역 논문의 원예활동 분석"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2 (12): 25-30, 2009

      8 장유진, "원예치료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논문의 메타분석" 한국원예학회 28 (28): 701-707, 2010

      9 한경희, "원예치료 연구논문에 나타난 집단원예치료 요소에 대한 분석"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2 (12): 21-29, 2009

      10 최영애, "원예치료" 학지사 2003

      1 기영화,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 학지사 19-, 2001

      2 이준우, "치유의 숲 조성 모델 개발 기본설계(안)"

      3 심혜숙, "체험수준 변화에 의한 게슈탈트기법 적용 집단상담의 과정분석" 8 (8): 101-133, 1996

      4 한경희, "집단원예치료 발달단계에 따른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치료목표 및 원예활동 분석"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3 (13): 13-21, 2010

      5 문미영, "정신적 장애인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분석"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18 (18): 136-141, 2010

      6 오대민, "원예치료의 사회복지 정책 도입을 위한연구" 제주대학교 2004

      7 이지혜, "원예치료에서 치료 및 재활영역 논문의 원예활동 분석"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2 (12): 25-30, 2009

      8 장유진, "원예치료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논문의 메타분석" 한국원예학회 28 (28): 701-707, 2010

      9 한경희, "원예치료 연구논문에 나타난 집단원예치료 요소에 대한 분석"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2 (12): 21-29, 2009

      10 최영애, "원예치료" 학지사 2003

      11 신동현, "알콜중독자에대한 의미요법을 적용한 원예치료 활동의 분석" 138-140, 2010

      12 천성문,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6

      13 김기원, "산음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운영 프로그램 구상안" 41-44, 2008

      14 유리화, "산림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효과 활용사례 분석 - 일본 삼림세라피 인증을 중심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 13 (13): 45-51, 2009

      15 김영곤, "보완대체의학" 대한의학서적 4-, 2001

      16 정여주, "미술치료의 이해" 학지사 2003

      17 이상미, "대상자별 원예치료의 효과와 수익접근법적 경제가치분석" 단국대학교 2006

      18 김영남, "노인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분석" 고려대학교 2007

      19 오대민, "국내 논문에 있어 원예치료 대상자별 프로그램 분석연구" 한국원예학회 24 (24): 104-109, 2006

      20 Duncan, J.J, "Womenwalking for health and fitness" 18 : 3295-3299, 1991

      21 Morris, J.N, "Walking to health" 23 (23): 306-332, 1997

      22 Cherniss, C, "The EmotionallyIntelligent Workplace" Jossey-Bass 2001

      23 Shoemaker, C.A, "Interaction by design: bringing people and plantstogether for health and Well-being: AnInternational Symposium" Iowa State Press 2002

      24 장명국, "Healing in forest-manual book" 한국 녹색문화재단 21-, 2008

      25 LaCroix, A.Z, "Does walking decrease the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hospitalizationsand death in older adults" 44 : 113-120,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산림휴양학회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9 0.92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