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소마취 수술환자가 지각한 수술 중 돌봄과 불안정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34569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동아대학교 , 간호학과 , 2015.2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12.8 판사항(5)

      • 발행국(도시)

        부산

      • 기타서명

        Intraoperatiive Caring Behavior and Anxiety as Perceived by Patients under Local Anesthesia

      • 형태사항

        v, 54 p.; 27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은남

      • 소장기관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국소마취 수술 환자가 지각한 수술 중 돌봄과 불안정도 Intraoperative Caring Behavior and Anxiety as Perceived by Patients under Local Anesthesia ...

      국문초록

      국소마취 수술 환자가 지각한 수술 중 돌봄과 불안정도

      Intraoperative Caring Behavior and Anxiety as
      Perceived by Patients under Local Anesthesia

      간호학과 하 정 숙
      지도교수 이 은 남

      본 연구는 국소마취로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중 돌봄 정도와 불안과의 관계를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B 광역시 일개 종합병원에서 2014년 7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 국소마취로 수술을 받은 162명의 환자였다.
      돌봄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김미정과 이은남(2012)이 개발한 부위마취 환자가 지각한 돌봄 행위 측정도구(Caring Behavior Measurement [CBM])를 사용하였고, 상태불안은 Spielberger (1972)가 개발하고 김정택(1978)이 번안한 상태불안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지각한 돌봄과 불안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돌봄과 불안정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정 및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돌봄정도와 불안정도 간의 상관성은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검정하였으며, 불안정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위마취로 수술을 받은 환자가 지각한 돌봄정도는 4.40±0.60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2) 부위마취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상태불안 정도는 40.35±10.56점이었다.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돌봄정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대상자의 상태불안정도는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가 지각한 돌봄 수준이 높을수록 상태불안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봄의 하위 영역 중에서는 보호적 환경조성만이 상태불안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5) 부위마취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중 상태불안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수준과 돌봄정도가 유의한 영향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즉, 고졸 이하의 경우 대학 이상보다 더 높은 상태불안을 보였고(β=.24, p=.003), 돌봄수준이 높을수록 상태불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β=-.16, p=.034) 전체변량의 7%를 설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자가 일개지역의 일개병원에 국한되어 있고 수술의 종류가 다양하지 못했으므로 대상자를 다양하게 확보하여 반복 연구를 시도 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수술 중 상태불안을 수술 중 측정하지 못하였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상태불안을 측정할 것을 제언한다.


      주요어 ; 돌봄, 불안, 국소마취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3
      • Ⅱ. 문헌고찰 5
      • 1. 돌봄 5
      • 2. 국소마취환자의 불안 7
      • Ⅲ. 연구방법 11
      • 1. 연구 설계 11
      • 2. 연구 대상 11
      • 3. 연구 도구 12
      • 4. 자료수집 방법 및 기간 12
      • 5. 자료 분석 방법 12
      • 6. 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13
      • Ⅳ. 연구결과 14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4
      • 2. 대상자가 지각한 돌봄 정도 16
      •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돌봄 정도의 차이 18
      • 4. 대상자가 지각한 수술 중 상태불안 정도 20
      • 5.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상태불안의 차이 21
      • 6. 대상자가 지각한 돌봄 정도와 상태 불안과의 상관관계 23
      • 7. 상태불안의 영향요인 25
      • Ⅴ. 논의 27
      • Ⅵ. 결론 및 제언 30
      • 참고문헌 32
      • 설문지 37
      • Abstract 4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