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공지능 로봇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전망 = The Prospect and Ethical Reflection of Relationship between AI Robots and Human Be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284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ore relationship between AI robots and human beings and to reflect on it ethically. Nowadays, the conception of human life have been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advance of technology, robotics, information based on networks...

      This paper aims to explore relationship between AI robots and human beings and to reflect on it ethically. Nowadays, the conception of human life have been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advance of technology, robotics, information based on networks and big data, etc. At the moment, AI robots can learn knowledge, recognize human users, and communicate with them by conditioned program and algorithm. AI robots, that is, is seen as an quasi-ethical being, not a just machine. An aspect of relationship between AI robots and human beings, for example, of communication and exchanging emotions, is like a emotional process of empathy among human agents. In that AI robots are the products of imitation on human beings, a feature of communication is based on quasi-empathy. The main task to ethical life in future, therefore, is to utilize AI robots as a tool that has the only target on realizing common goods. In one of the main concerns about AI robots, it is expected to have the strongest level of autonomy and intelligence through machine learning. This is potential fear like SF movies that robots destroy humans, even though their activities are conditioned by programme and algorithm. In the end, AI robots are in the control of the principle of ‘self-denial’ for humans in the value network of life, operated conditioned autonom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마쓰오 유타카, "인공지능과 딥러닝 –인공지능이 불러올 산업구조의 변화와 혁신-" 동아엠엔비 2016

      2 박영숙, "인공지능 혁명 2030" 더블북코리아 2016

      3 도용태, "인공지능 개념 및 응용" 사이텍미디어 2009

      4 카플란, 제리, "인간은 필요없다" 한스미디어 2016

      5 콜빈, 제프, "인간은 과소평가 되었다" 한스미디어 2016

      6 김대식, "인간 vs 기계" 동아시아 2016

      7 송선영, "의료용 케어로봇은 환자의 고통을 공감하며 환자를 치료할 수있는가?" 1-16, 2016

      8 송선영, "융복학 시대의 인간과 윤리" 경상대학교출판부 226-240, 2016

      9 월러치, 웬델, "왜 로봇의 도덕인가" 메디치미디어 2014

      10 베이커, 스티븐, "왓슨, 인간의 사고를 시작하다" 세종서적 2011

      1 마쓰오 유타카, "인공지능과 딥러닝 –인공지능이 불러올 산업구조의 변화와 혁신-" 동아엠엔비 2016

      2 박영숙, "인공지능 혁명 2030" 더블북코리아 2016

      3 도용태, "인공지능 개념 및 응용" 사이텍미디어 2009

      4 카플란, 제리, "인간은 필요없다" 한스미디어 2016

      5 콜빈, 제프, "인간은 과소평가 되었다" 한스미디어 2016

      6 김대식, "인간 vs 기계" 동아시아 2016

      7 송선영, "의료용 케어로봇은 환자의 고통을 공감하며 환자를 치료할 수있는가?" 1-16, 2016

      8 송선영, "융복학 시대의 인간과 윤리" 경상대학교출판부 226-240, 2016

      9 월러치, 웬델, "왜 로봇의 도덕인가" 메디치미디어 2014

      10 베이커, 스티븐, "왓슨, 인간의 사고를 시작하다" 세종서적 2011

      11 이종호, "로봇은 인간을 지배할 수 있을까" 북카라반 2016

      12 변순용, "로봇윤리란 무엇인가?" 어문학사 2015

      13 송선영, "로봇과 인공지능 시대의 시민윤리와도덕교육적 함의 -인공지능형 로봇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윤리학회 1 (1): 133-159, 2017

      14 추병완, "도덕 심리학의 새로운 경향과 도덕교육" 1-44, 2016

      15 김한, "『일리아스』에 나타난 호메로스의 신들" 영어권문화연구소 6 (6): 107-132, 2013

      16 Prinz, Jesse J., "Philosophy of Emotion" Oxford UP 519-538, 2010

      17 Arkin, Ronald C, "Governing Lethal Behavior in Autonomous Robots" CRC Press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서문화연구소 -> 영어권문화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foe Cultures of English Speaking Nations -> Institute for Cultures of English Speaking Nations
      2009-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서문화연구소 -> 영어권문화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foe Cultures of English Speaking Nations -> Institute for English Cultural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3 0.03 0.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9 0.1 0.2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