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재학생 특성에 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403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researches tha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Both the comparison researches and relationship researches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searched thousands of researches from 2001 to Feb...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researches tha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Both the comparison researches and relationship researches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searched thousands of researches from 2001 to February 2016 and finally selected 591 researches, including 496 comparison researches of 233 journal articles and 263 unpublished theses or dissertations; and 95 relationship researches of 30 journal articles and 65 theses or dissertations.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V3) was used to code and analyze the included studi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either sample-based or variable-based. The number of sample-based effect size from comparison researches was 852 and that of variable-based was 6,034. The number of sample-based effect sizes from relationship researches was 114 and that of variable-based was 2,331. Random effects model was chosen as analysis model on account of the heterogeneity of the diverse gifted students. Results of comparison researches showed moderate degree of differences between the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in intelligence, creativity, motivation·belief, academic, personality, and adjustment. The results imply that gifted students have moderately significant advantage in these areas. The gifted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gifted students in positive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nal regulation, task valu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gifted students scored lower than non-gifted students in neg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stressor, and aggress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styles. Moderator variables such as publication type and gifted domain accounted for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Results of relationship researches showed small effect size between gifted students' intelligence and creativity. Gifted students' creativity had strong correlations with task value, learning flow, and leadership. The small degree of differences between secondary and elementary school gifted students suggest the slight relationship between giftedness and school level. The small degree of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gifted students suggest the slight relationship between giftedness and gender.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e that more effective identification methods and education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are needed. The current study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 gifted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영재학생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영재’를 검색어(key word)로 2001년부터 2016년 2월까지 국내·외에 출간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영재학생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영재’를 검색어(key word)로 2001년부터 2016년 2월까지 국내·외에 출간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차이에 관한 496편의 연구를 바탕으로 852개의 표본과 6,034개의 사례를 수집하였다. 또한 영재학생 특성 간의 관계에 관한 95편의 연구를 바탕으로 114개의 표본과 2,331개의 사례를 수집하였다. 영재특성은 지능, 창의성, 동기·신념, 학업, 성격, 그리고 적응 등의 유형별로 묶어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메타분석 프로그램인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V3)를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특성 비교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능, 창의성, 그리고 기타 긍정적 동기는 대체적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조절변수별 평균효과크기의 경우 지능은 출판년도, 논문종류, 국가, 교육기관, 그리고 영재영역 등 연구특성과 배경특성 변수에서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창의성은 논문종류와 영재영역에서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기타 긍정적 동기는 논문종류, 학교급, 교육기관, 그리고 영재영역에서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동기·신념의 경우, 자기결정성의 하위요인인 내적조절이 0.8 이상의 큰 효과크기를 보여주었다. 학업의 경우, 학업성취,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동기적 능력, 사고양식의 하위요인인 사법적 사고양식에서 큰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성격에서 자아상태의 하위요인인 자유아동(free child)이 0.8 이상의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영재학생 특성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능과 창의성은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지능과 긍정적 동기는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창의성과 기타 긍정적 동기는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상관효과크기와 조절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7가지 조절변수에 따라 지능과 창의성의 상관효과크기는 출판년도, 논문유형, 국가, 학교급, 그리고 영재영역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창의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자아평가는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창의성은 리더십과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기타 긍정적 동기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메타인지 능력과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긍정적 동기는 스트레스대처양식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대처와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넷째, 영재특성에 있어서 중학생 영재와 초등학생 영재 사이의 학교급에 따른 효과크기는 높지 않게 나타났으며, 영재 남학생과 영재 여학생 사이의 성별에 따른 효과크기도 높지 않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교연구와 관계연구의 결과를 통합하여 영재특성에 대한 이해, 영재판별 및 교육에 있어서의 효과적 판별 방법과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가 영재학생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들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영재 발견·판별·교육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List of Tables iii
      • List of Figures vii
      • ABSTRACT viii
      • Ⅰ. Introduction 1
      • 1. Purpose of Study 1
      • List of Tables iii
      • List of Figures vii
      • ABSTRACT viii
      • Ⅰ. Introduction 1
      • 1. Purpose of Study 1
      • 2. Research Questions 6
      • Ⅱ. Literature Review 8
      • 1. Definition, Identification, and Education of the Gifted 8
      • 2. Comparison Between the Gifted and Non-gifted 17
      • 3. Relationship Among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25
      • Ⅲ. Methods 28
      • 1. Selection of Studies 28
      • 2. Coding 33
      • 3. Data Analysis 40
      • 4. Assessment of Publication Bias 43
      • Ⅳ. Results 47
      • 1. Differences Between the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48
      • 2. Relationships Among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Students 72
      • Ⅴ. Discussion 93
      • 1.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Students 94
      • 2. Implications 104
      • 3.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110
      • Ⅵ. Conclusion 113
      • References 117
      • Appendices 147
      • 국문초록 17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Lee,S.K., "A validationstudyofmultipleintelligentapproachfor identificationoftheelementaryschoolgiftedstudents.TheJournalof ElementaryEducationStudies,13(2),287-304.[이수경 (2006).초등학교 영재 학생 판별을 위한 다중지능적 접근의 타당도 연구", 초등교육학연구, 13(2),287-304.], 2006

      2 Hwang,H.S., Yoon,S.J., Kang,S.H., "Exploringtherelationship betweencreativityinyoungchildrenandtheirperformanceontheKorean Wechslerpreschoolandprimaryscaleofintelligence.[황희숙,강승희,윤소 정 (2003).유아 영재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K-WPPSI수행과 창의성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 연구", 영아교육연구,23(4),81-104.], 2003

      3 Kwon,J.S., "Kim,B,K.Thedevelopmentofaninstrumentfor themeasurementofscienceprocessskillsoftheKoreanelementaryand middleschoolstudents.JournaloftheKoreanAssociationforResearch inScienceEducation,14(3),251-264.[권대술,김범기 (1994).초 중등학생 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과학교육논문집,4(1),251-264.], 1994

      4 Bak,B.G., Park,S.B., "Developmentand validation ofa integrative-creativity-embedded multi-dimensional creative environmentscale(ICEMCEs).The Korean JournalofEducational Psychology,23(4),839-862.[박병기,박상범 (2009).통합창의성이 내재된 다차원 창의적 환경 척도(ICEMCEs)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3(4),839-862.], 2009

      5 Yoon,H.S.[윤현석], "감성지능과 창의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6 Choi,B.Y., "Thedifferencesofself-deteriminationmotivationand self-regulatedlearningbetweengiftedstudentsandgeneralstudentsin elementaryschool.ThejournaloftheKoreanSocietyfortheGiftedand Talented,8(2),85-104.[최병연(2009).초등영재와 일반아동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8(2),85-104.], 2009

      7 Kim,S.H.[김순희], "영재아와 일반아의 완벽주의 성향과 창의적 성격 비교 연구",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8 나동진, 임재령, 유구식, "과학영재의 학업성취에 대한 삼원지 능과 사고양식의 영향 연구", 한국영재학회, 영재교육연구,13(4),95-117, 2003

      9 Kim,O.J., Park,J.O., Lee,G.H., "[이군현,박정옥,김언주 (1997). 과학영재의 감성지능(EQ)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7(1),1-29.], 1997

      10 Cho,H.C., "Relationsbetweengiftedstudents’emotionalintelligence and theirsocialskills,schooladjustment,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The Journalof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9(1),121-140.[조현철 (2010).영재학생들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학교적응,스트레스정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간 관계", 영재와 영재교 육,9(1),121-140.], 2010

      1 Lee,S.K., "A validationstudyofmultipleintelligentapproachfor identificationoftheelementaryschoolgiftedstudents.TheJournalof ElementaryEducationStudies,13(2),287-304.[이수경 (2006).초등학교 영재 학생 판별을 위한 다중지능적 접근의 타당도 연구", 초등교육학연구, 13(2),287-304.], 2006

      2 Hwang,H.S., Yoon,S.J., Kang,S.H., "Exploringtherelationship betweencreativityinyoungchildrenandtheirperformanceontheKorean Wechslerpreschoolandprimaryscaleofintelligence.[황희숙,강승희,윤소 정 (2003).유아 영재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K-WPPSI수행과 창의성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 연구", 영아교육연구,23(4),81-104.], 2003

      3 Kwon,J.S., "Kim,B,K.Thedevelopmentofaninstrumentfor themeasurementofscienceprocessskillsoftheKoreanelementaryand middleschoolstudents.JournaloftheKoreanAssociationforResearch inScienceEducation,14(3),251-264.[권대술,김범기 (1994).초 중등학생 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과학교육논문집,4(1),251-264.], 1994

      4 Bak,B.G., Park,S.B., "Developmentand validation ofa integrative-creativity-embedded multi-dimensional creative environmentscale(ICEMCEs).The Korean JournalofEducational Psychology,23(4),839-862.[박병기,박상범 (2009).통합창의성이 내재된 다차원 창의적 환경 척도(ICEMCEs)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3(4),839-862.], 2009

      5 Yoon,H.S.[윤현석], "감성지능과 창의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6 Choi,B.Y., "Thedifferencesofself-deteriminationmotivationand self-regulatedlearningbetweengiftedstudentsandgeneralstudentsin elementaryschool.ThejournaloftheKoreanSocietyfortheGiftedand Talented,8(2),85-104.[최병연(2009).초등영재와 일반아동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8(2),85-104.], 2009

      7 Kim,S.H.[김순희], "영재아와 일반아의 완벽주의 성향과 창의적 성격 비교 연구",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8 나동진, 임재령, 유구식, "과학영재의 학업성취에 대한 삼원지 능과 사고양식의 영향 연구", 한국영재학회, 영재교육연구,13(4),95-117, 2003

      9 Kim,O.J., Park,J.O., Lee,G.H., "[이군현,박정옥,김언주 (1997). 과학영재의 감성지능(EQ)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7(1),1-29.], 1997

      10 Cho,H.C., "Relationsbetweengiftedstudents’emotionalintelligence and theirsocialskills,schooladjustment,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The Journalof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9(1),121-140.[조현철 (2010).영재학생들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학교적응,스트레스정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간 관계", 영재와 영재교 육,9(1),121-140.], 2010

      11 Lee,S.A.[이선애], "중학교 영재와 일반학생,반장학생 및 반장 영재학생의 리더십 특성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12 Lee,S.D., "Lee,J,K.,& Park,C.S.Introductiontogiftededucation. HakjisaPublisher,Inc.[이신동,이정규,박춘성 (2010).최신영재교육학개 론", 서울:학지사.], 2010

      13 Choi,C.O., "A studyonthevariablesassociatedwithyouthleadership lifeskills.[최창욱 (2001).청소년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4 Bak,B.G., "Educationalunderstandingofcreativeproblem solving. JournalofEducationalPsychology,15(1),49-81.[박병기 (2001).창의적 문제해결의 교육적 이해", 교육심리연구,15(1),49-81.], 2001

      15 Lee,S.D., "Twotreasureboxesin20thcenturygiftededucation.Journal ofSpecial& GiftedEducation,1(1),1-13.[이신동 (2014).20세기 영재교육 의 두 가지 보물 상자", 특수 영재교육저널,1(1),1-13.], 2014

      16 Noh,Y.H., "Basicresearchtodevelopaleadershiptrainingprogram forprimarystudents.[노영희 (2003).초등학교 아동을 위한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7 Kang,M.J., "Educationalprogramsforthesocio-emotionalaspects ofgiftedstudentsinmiddleschools.[강민지(2010).중학교 영재교육원의 인성교육 현황 및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발전방향 탐색", 건국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0

      18 Kim,G.W., "Thediversityoflearningmodelsof"thespecialeducation forthegifted"andthelearningimprovementfrom eachmodel.[김경원 (2009).영재교육교수학습모형의 다양성과 모형별 학습 효과 연구", 한양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9

      19 Choi,T.J.,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intelligence and leadershipskillsinelementarygiftedandgeneralstudents.[최태진 (2011). 초등영재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과 리더십기술과의 관계", 대구대학 교 석서학위논문.], 2011

      20 Yoon,Y.H., "Thepsychologicalcharacteristicsofgiftedchildrenand counselingforemotionaldevelopment.KoreanJournalofPsychology, 19(1).79-101.[윤여홍 (2000).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지:일반,19(1),79-101, 2000

      21 Han,K.S., Seong,H.K., "Analysisofconceptualdiagram regarding thecounselingneedsofgiftedstudents.KoreanJournalofYouthStudies, 18(9),309-336.[성희경,한기순 (2011).영재의 고민과 상담요구에 대한 개념 도 분석", 청소년학연구,18(9),309-336.], 2011

      22 Han,K.S., Jo,S.M., "Effectiveness ofgifted education in non-cognitiveareasusing meta-analysis.JournalofGifted/Talented Education,24(1),45-61.[조선미,한기순 (2014).비인지적 영역 영재교육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영재교육연구,24(1),45-61.], 2014

      23 Kang,C.Y., Yoon,S.M., Shin,M.S., "A meta-analysisonthe effectoftheprogramsforthegifted.TheJournaloftheKoreanSociety forthe Gifted and Talented,14(3),173-198.[강충렬,신문승,윤수미 (2015).영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영재와 영재교육,14(3), 173-198.], 2015

      24 Moon,D.Y., Wang,Y.J., "Comparison ofelementary school children’scareerpathmaturitylevelsaccordingtotheirexperiencein inventioneducation.[왕유진,문재영 (2014).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 비교", 한국실과교육학술지,27(2),213-227.], 2014

      25 Choi,J.W., Lee,Y.S., "A studyonrelationshipbetweenyoung children’semotionalintelligenceandcreativity.JournalofFutureEarly ChildhoodEducation,10(4),139-172.[최종욱,이영석 (2003).유아의 감성 지능과 창의성의 관련성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10(4),139-172.], 2003

      26 Bak,B.G., Kang,H.S., "Developmentandvalidationofaself-report form ofintegrativecreativityscale.TheKoreanJournalofEducational Psychology,20(1),155-177.[박병기,강현숙 (2006).자기보고형 통합 창의 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20(1),155-177.], 2006

      27 Kil,K.S., Shin,W.S., "Relationshipofcreativityandachievement motivation ar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Disorders,25(1),205-220.[신완수,길경숙 (2002).아동의 창의성과 성취동 기,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難聽과 言語障礙研究,25(1),205-220.], 2002

      28 Kim,H.N., "Theeffectofgiftededucationprogram onnon-cognitive characteristicsofgiftedstudentsinelementaryschool.[김한나 (2011).초 등학교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영재아동의 비인지적 특성 변화 분석",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9 Kim,M.J., "A studyonthecomparisonofself-efficacyand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elementary school students.[김미진 (2012).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지 능 비교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0 Shin,H.S., "Thedevelopmentofacommunicationtrainingprogram toimproveinterpersonalrelationshipandsociabilityforelementarygifted students.[신효선 (2011).초등 영재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1 Kim,H.W., Yoon,Y.H., Yoon,C.H., "Intellectually gifted elementary schoolchildren's psychosocialadjustment.The Korean JournalofDevelopmentalPsychology,17(2),177-196.[윤초희,윤여홍, 김홍원 (2004).지적으로 우수한 초등 영재아의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심리 학회지:발달,17(2),177-196.],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