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속가능발전 및 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지속가능발전협의회 관련 조례분석 및 개선 방향: 충남 13개 시・군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the Ordina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Council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operative Governance and Improvement Direction: targeting 13 cities and counties in Chungcheongnam-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62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을 추진하기 위하여 충남지역 기초자치단체에 제정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설치 및 운영’ 조례에 대하여 지속가능발전 및 협력적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분...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을 추진하기 위하여 충남지역 기초자치단체에 제정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설치 및 운영’ 조례에 대하여 지속가능발전 및 협력적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제사회의 요청에 부응하는 보다 진전된 조례로 발전하기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거의 모든 사례 조례는 국제사회가 강조하는 지속가능발전 개념 및 협력적 거버넌스의 관점을 충분하게 견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련 조례가 2015년 UN 총회에서 채택한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합의사항과 ‘ 지속가능발전 기본법’ 등을 기반으로 한 전면 재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개선 방향으로 지속가능발전은 경제발전과 사회통합, 환경의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한 개념이라는 점, SDGs를 행정의 핵심 목표와 가치로 제시해야 한다는 점, 목적 달성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 SDGs의 수립과 관련 지표 및 평가 등을 제시해야 한다는 점, SDGs의 핵심 이행 기반으로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는 점, SDGs는 지자체 정책 및 계획으로의 반드시 연계되어야 한다는 점 등을 기본조례의 제정 등을 통하여 반드시 반영하여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강석우 ; 안성근, "향토음식관광 관련 조례 내용분석 - 광역자치단체 조례를 중심으로 -"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9 (19): 181-200, 2020

      2 은재호, "한국의 협럭적 거버넌스" 대영문화사 2009

      3 박수현, "한국 지방정부의 환경거버넌스 활성화에 관한연구 : 지속가능발전협의회를 중심으로" 493-516, 2016

      4 오수길 ; 이창언, "한국 지방의제21의 새로운 추진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441-464, 2013

      5 오수길, "한국 지방의제 21의 새로운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17 (17): 441-464, 2013

      6 이정석, "지자체 지속가능발전전략 수립 및 SDGs 반영 방안"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2019

      7 차미숙, "지역발전을 위한 거버넌스체계 구축 및 운용방안연구" 국토연구원 2003

      8 "지속가능발전포털"

      9 이상헌,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의 지속 가능성 제도화 평가: 한탄강 댐 갈등조정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64) : 154-184, 2005

      10 김병환, "지속가능발전 정책과 거버넌스형 문제해결" 대영문화사 2019

      1 강석우 ; 안성근, "향토음식관광 관련 조례 내용분석 - 광역자치단체 조례를 중심으로 -"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9 (19): 181-200, 2020

      2 은재호, "한국의 협럭적 거버넌스" 대영문화사 2009

      3 박수현, "한국 지방정부의 환경거버넌스 활성화에 관한연구 : 지속가능발전협의회를 중심으로" 493-516, 2016

      4 오수길 ; 이창언, "한국 지방의제21의 새로운 추진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441-464, 2013

      5 오수길, "한국 지방의제 21의 새로운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17 (17): 441-464, 2013

      6 이정석, "지자체 지속가능발전전략 수립 및 SDGs 반영 방안"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2019

      7 차미숙, "지역발전을 위한 거버넌스체계 구축 및 운용방안연구" 국토연구원 2003

      8 "지속가능발전포털"

      9 이상헌,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의 지속 가능성 제도화 평가: 한탄강 댐 갈등조정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64) : 154-184, 2005

      10 김병환, "지속가능발전 정책과 거버넌스형 문제해결" 대영문화사 2019

      11 김규환, "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 수준 분석"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8

      12 오수길, "지방정부의 지속가능발전 추진체계 분석: 유엔 SDGs 시대의 함의" 한국비교정부학회 20 (20): 181-199, 2016

      13 공정원, "지방자치단체의 가족친화조례 내용분석" 여성연구소 29 (29): 103-138, 2019

      14 김용웅, "신지역 발전론" 한울 2009

      15 ICLEI, "세계 지방의제21 20년사" 서울 리북 2013

      16 박상필, "로컬거버넌스의 성공모델" 한국NGO학회, 충남연구원 2018

      17 김찬동, "로컬거버넌스의 구축 방향과 전략: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2005

      18 김송미 ; 박동진, "다문화가족지원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조례 분석 - 서울특별시 자치구 조례를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소 33 (33): 181-208, 2017

      19 고경호, "농촌 마을만들기 거버넌스의 활성화를 위한 주요 쟁점 및 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충남지역 내 민간위탁형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 설치 지역을 사례로" 한국유기농업학회 29 (29): 51-73, 2021

      20 박미현 ; 임은의 ; 임유진, "기부식품등 제공사업 관련 지방자치단체 조례분석" 사회과학연구소 36 (36): 156-186, 2020

      21 오수길 ; 한순금, "광역도의 지속가능발전 전략과 거버넌스: 경상남도와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국NGO학회 15 (15): 221-244, 2020

      22 이명석, "거버넌스 신도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7

      2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이행" 한국환경정책연구원 2015

      24 Albu, Daniela,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3) : 19-24, 2015

      25 WCED, "Our Common Future. The Report of the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26 Kooiman, Jan, "Modern Governance: New Goverment-Society Interactions" Sage Publications 35-48, 1993

      27 Ansell, C.,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 18 (18): 543-571,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