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 전주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77984

      • 저자
      • 발행사항

        전주 :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주대학교 대학원 , 상담심리학과 , 2014. 2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iv, 58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호준

      • 소장기관
        • 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ampus Life Adviser(CA) client have recognized and expericened the CA and to research what and how to improve in it.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CA client, used Focus Group Interview(FGI) method. 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ampus Life Adviser(CA) client have recognized and expericened the CA and to research what and how to improve in it.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CA client, used Focus Group Interview(FGI) method. 14 participants who have used the CA in Jeon-Ju Univ.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2 groups had seven participants.
      The result of study consists of 6 subjects - Recognition of CA client, Major function of CA which they feel, Motivation of its usage, Positive changes after using the rule, What to improve in the rule and Suggestions on how to invigorate it - including 22 categories 122 concept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the present study extracted from data based on view point of CA client. By looking through discussion for perception, functions, motivations, changes, problems, vitalization on CA, the experience on CA were summarized. The study has a meaning itself that it can provide basics on approaches to graduate map studies based on experiences of CA client ev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사지도(CA) 이용자들이 학사지도(CA) 제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였는지 탐색하고 그들이 인식하는 문제점과 개선 방안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있다. 학사지도(CA) 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사지도(CA) 이용자들이 학사지도(CA) 제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였는지 탐색하고 그들이 인식하는 문제점과 개선 방안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있다.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들의 경험을 탐색하기 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전주대학교의 학사지도(CA) 제도를 이용하고 있는 14명의 이용자를 7명씩 2그룹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사지도(CA) 이용자들의 인식’, ‘이용자들이 느끼는 학사지도(CA)의 주된 기능’, ‘학사지도(CA) 이용계기’, ‘학사지도(CA) 이용 후 나타난 긍정적 변화’, ‘학사지도(CA)이용자들이 바라본 운영의 문제점’, ‘학사지도(CA) 활성화를 위한 학생들의 제언’으로 6개의 주제가 도출 되었으며 22개의 범주와 122개의 개념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활용하여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들의 시각에 근거한 자료를 추출하였고, 학사지도 제도(CA)에 대한 인식, 기능, 이용계기, 이용 후 변화, 운영의 문제점,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살펴봄으로써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의 경험을 탐색해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들의 경험을 연구하여 각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사지도를 연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학사지도 5
      • 1) 학사지도 개념 5
      • 2) 학사지도의 발전 과정 5
      • 3) 한국의 학사지도 발전 과정 8
      • 2. 학사지도의 형태 10
      • 1) 학사지도 유형 10
      • 2) 학사지도 담당자 14
      • 3) 학사지도 내용 15
      • 3. 용어의 정의 16
      • 1) 학사지도(Campus Life Adviser : CA) 16
      • 2) StarT 프로그램(장학제도) 16
      • 3) 포커스 그룹 인터뷰 17
      • Ⅲ. 연구방법 18
      • 1. 연구 대상 18
      • 1) 연구 참여자 18
      • 2. 연구 절차 19
      • 1) 자료수집 19
      • 2) 연구 진행 19
      • 3. 자료 분석 23
      • Ⅳ. 연구결과 25
      • 1.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의 경험에 대한 통합적 분석 25
      • 2.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의 경험에 대한 영역별 내용 분석 33
      • Ⅴ. 결론 및 논의 47
      • ▪ 참 고 문 헌 51
      • ▪ 부 록 56
      • ▪ 영 문 초 록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