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정간편식(HMR) 포장디자인과 광고문구 속성에 대한 소비자 선호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87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제주산 메밀을 이용한 HMR 제품의 포장디자인에 대해 국내 관광객이 중요하게 여기는 속성을 컨조인 트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돌하르방, 돌담, 성산일출봉을 이용한 디자인 이미지; 버...

      제주산 메밀을 이용한 HMR 제품의 포장디자인에 대해 국내 관광객이 중요하게 여기는 속성을 컨조인 트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돌하르방, 돌담, 성산일출봉을 이용한 디자인 이미지; 버건디색, 메밀 색, 돌담색을 이용한 포장 색감; 표준어와 제주방언을 이용한 제품 카피문구; 제주 또는 메밀과 관련된 스토리텔링 속성을 이용하여 상품조합을 설정하였다. 1,000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 다. 분석 결과, 응답자는 네 가지 속성 중 디자인 이미지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다음으로 스토리 텔링, 포장 색감, 카피문구 순으로 나타났다. 디자인 이미지에서는 돌하르방 이미지가 포함된 디자인, 색감에서는 버건디색, 카피문구에서는 제주방언을 이용한 문구, 스토리텔링에서는 국내 최대 메밀 산 지인 제주도에 대한 스토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하르방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제주 방문 횟 수가 적은 그룹 중 20대 기혼자가, 버건디색 포장 색감은 상대적으로 혁신성 면에서 보수적인 그룹이, 제주방언을 이용한 카피문구는 기혼자 중 상대적으로 제주 방문 횟수가 적은 그룹에서, 국내 최대 메 밀 산지인 제주도에 대한 스토리텔링은 제주산 지역 식품에 대해 관여도가 낮은 중년층 이상 그룹이 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포장디자인에 제시되는 스토리텔링의 상대적 중요 성의 위치 및 제시 문구에 따른 소비자들의 반응을 분석한 첫 번째 연구라는 면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한편, 실용적인 면에서는 지역산 농산물을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에 있어서 지역의 명소/명물, 전 설, 방언을 이용한 포장디자인 및 광고문구에 대한 소비자 선호의 사례를 제시할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important attributes preferred by domestic tourists regarding the packaging design of Jeju buckwheat HMR products, using the conjoint analysis. The following four attributes were presented to respondents: design image composed of D...

      This study analyzed important attributes preferred by domestic tourists regarding the packaging design of Jeju buckwheat HMR products, using the conjoint analysis. The following four attributes were presented to respondents: design image composed of Dolhareubang, Doldam, and Seongsan-Ilchulbong; packaging color composed of burgundy, buckwheat, and Doldam color; product copy text composed of standard language and Jeju dialect; stroytelling composed of properties related to Jeju or buckwhea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000 adults. Our results show that design image wa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followed by storytelling, packaging color, and copy text. Respondents preferred Dolhareubang among design images, burgundy among packaging colors, Jeju dialect among copy phrases, and Jeju’s story as the largest buckwheat production area among storytellings.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analyze relative importance of storytelling presented in packaging design. In the practical aspect, it presents an important case study regarding consumer preference for packaging design and copy phrase that us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attraction, legend, and dialect for processed foods mad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및 모형 설정
      • 1. 분석 절차
      • 2. 컨조인트 속성 및 속성수준
      •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및 모형 설정
      • 1. 분석 절차
      • 2. 컨조인트 속성 및 속성수준
      • 3. 컨조인트 분석 절차
      • Ⅲ. 추정 모형
      • 1. 컨조인트분석
      • 2. CRT 분석
      • Ⅳ. 분석 결과
      • 1. 응답자의 인구통계
      • 2. 컨조인트 분석 결과
      • 3. CRT 분석 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