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응급 지원 시스템 = Emergency Support System using Smart De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160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헬스케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헬스케어란 다양한 종류의 생체신호 측정 센서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

      최근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헬스케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헬스케어란 다양한 종류의 생체신호 측정 센서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개인화된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를 말한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해서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개인 건강관리 모니터링 서비스 중심의 연구뿐만 아니라 응급 상황 이후의 응급조치 방안을 위한 서비스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그룹관리 기법을 이용하여 응급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상황을 전파하는 응급환자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응급 상황을 판단했을 때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응급처치 지원자에게 연락을 취한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환자의 사진을 서버로 전송하면 환자의 정보를 화면에 제공하는 응급 지원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research about ESS(Emergency Support System)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to provide a variety of medical services using smart devices and wearable devices. Smart healthcare provides a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 using various types of...

      Recently, research about ESS(Emergency Support System)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to provide a variety of medical services using smart devices and wearable devices. Smart healthcare provides a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 using various types of bio-signal measuring sensors and smart devices. For the smart healthcare using a smart device, it is need to research about personal health monitoring using a smart wearable devices, and also need to research on service methods for first aid measures after an emergency. In this paper, we proposed about group management based emergency support system, that is monitoring about personal bio signal using smart devices and wearable devices to protect patient's life. The system notices to the medical volunteers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In addition,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an emergency support system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the patient on the display when transmitting a picture of a patient using a smart device to the serv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용일, "클라우드 기반 실버세대 건강관리 모바일 서비스" 융복합지식학회 4 (4): 49-54, 2016

      2 이보경,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기반의 앱 콘텐츠 UX/UI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433-445, 2015

      3 정필성, "모바일 헬스케어를 위한 MAC 프로토콜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 19 (19): 323-335, 2015

      4 이영호,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관리를 위한 개인 맞춤형 식단 추천 서비스" 한국정보기술학회 8 (8): 189-197, 2010

      5 정지연, "고령화 사회 구급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노인 응급환자 초기대응 시스템 개선방안-" 한국화재소방학회 22 (22): 99-104, 2008

      6 K. Aziz, "Smart real-time healthcare monitoring and tracking system using GSM/GPS technologies" 1-7, 2016

      7 O. Arias, "Privacy and Security in Internet of Things and Wearable Devices" 1 (1): 99-109, 2015

      8 J. T. Kim, "P2P-based u-health cluster service model for silver generation in PBR platform" 9 (9): 588-598, 2015

      9 J. EMorak, "Feasibility of mHealth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based medication adherence monitoring" 272-275, 2012

      10 B. Yang, "Aggregate channel features for multi-view face detection" 1-8, 2014

      1 문용일, "클라우드 기반 실버세대 건강관리 모바일 서비스" 융복합지식학회 4 (4): 49-54, 2016

      2 이보경,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기반의 앱 콘텐츠 UX/UI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433-445, 2015

      3 정필성, "모바일 헬스케어를 위한 MAC 프로토콜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 19 (19): 323-335, 2015

      4 이영호,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관리를 위한 개인 맞춤형 식단 추천 서비스" 한국정보기술학회 8 (8): 189-197, 2010

      5 정지연, "고령화 사회 구급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노인 응급환자 초기대응 시스템 개선방안-" 한국화재소방학회 22 (22): 99-104, 2008

      6 K. Aziz, "Smart real-time healthcare monitoring and tracking system using GSM/GPS technologies" 1-7, 2016

      7 O. Arias, "Privacy and Security in Internet of Things and Wearable Devices" 1 (1): 99-109, 2015

      8 J. T. Kim, "P2P-based u-health cluster service model for silver generation in PBR platform" 9 (9): 588-598, 2015

      9 J. EMorak, "Feasibility of mHealth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based medication adherence monitoring" 272-275, 2012

      10 B. Yang, "Aggregate channel features for multi-view face detection" 1-8,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11-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CI등재
      2011-11-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IJICE) ->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CI등재
      2011-11-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 한국정보통신학회
      영문명 : 미등록 ->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IJ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2 0.4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