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의 인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250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디어교육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이다. 이를 위해 미디어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들의 인식 및 문제점들...

      본 연구는 미디어교육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이다. 이를 위해 미디어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들의 인식 및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유아미디어 교육에 새로 운 대안을 찾을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유아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가 인식하는 관심과 교육경험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가 인식하는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유아 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 학부모가 인식하는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육 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250명)과 학부모 (250명)을 대상으로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미디어교육에 대한 관심과 경험은 있으나 구체적이지 못하고, 교사와 학부모가 선호하는 교수-학습방법으로는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 가장 많았으며, 집 단의 형태를 묻은 결과 교사-학부모 모두 소집단 그룹의 활동이 가장 이상적이라는 결과를 얻었으며 유아미디어 교육 의 개선점으로는 교원의 연수기회확대, 미디어교육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이론의 미정립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edia education is recognized and us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it analyzed awareness and problems of media education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and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edia education is recognized and us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it analyzed awareness and problems of media education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and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to find out a new alternative of media education for children. First, what are differences in concern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n media education for children by teacher-parents? Second, what are differences in teaching-learning methods on media education for children recognized by teachers-parents? Third, the present study examined problems and effective improvement methods of media education for children with 250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250 parents and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preferred most by teachers and parents was talking activity and as a result of asking the preferred type of group, it was found that teachers-parents answered small group activity was most ideal and what are to be improved in the media education for children included the extension of teachers' opportunities to have research training and non-establishment of the genral theory of media education in our whole soci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uh Mi Ae, "Theory and Practice of Sharing Talks for Kindergarten Teachers" Community Press 10-, 2009

      2 Rapaczynski, W, "Teaching Television.: A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32 (32): 5-8, 1982

      3 Kim Yang Eun, "Study on Media Education : centering around Media Education" Joongang University 1994

      4 Kim Gi Tae, "Study on Media Education" 6 : 11-12, 1998

      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 : 30-, 2007

      6 Sukmyeong Kindergarten, "No TV Watching Movement in Children and Their Families" 75 : 188-193, 1999

      7 Gwon Seong Min, "Effects of story telling method using multimedia on child's language and thinking" 9 (9): 31-32, 2010

      8 Choi Yun Jeong, "Effects of Picture Book Telling and Discussion on Child's Prosocial Behaviors and Inference" Ewha Women's University 1998

      9 Jeon Bang Sil, "Effects of Discussion Using Picture Book on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gyungwan Univ. 2000

      10 Clement, D. H, "Computers and young children: A review of research" 43 (43): 34-44, 1987

      1 Huh Mi Ae, "Theory and Practice of Sharing Talks for Kindergarten Teachers" Community Press 10-, 2009

      2 Rapaczynski, W, "Teaching Television.: A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32 (32): 5-8, 1982

      3 Kim Yang Eun, "Study on Media Education : centering around Media Education" Joongang University 1994

      4 Kim Gi Tae, "Study on Media Education" 6 : 11-12, 1998

      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 : 30-, 2007

      6 Sukmyeong Kindergarten, "No TV Watching Movement in Children and Their Families" 75 : 188-193, 1999

      7 Gwon Seong Min, "Effects of story telling method using multimedia on child's language and thinking" 9 (9): 31-32, 2010

      8 Choi Yun Jeong, "Effects of Picture Book Telling and Discussion on Child's Prosocial Behaviors and Inference" Ewha Women's University 1998

      9 Jeon Bang Sil, "Effects of Discussion Using Picture Book on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gyungwan Univ. 2000

      10 Clement, D. H, "Computers and young children: A review of research" 43 (43): 34-44, 1987

      11 Kim Yong Suk, "Child-Care Process" Seohyeon Publishing Co 14-, 2008

      12 Park So Hyeon, "Basic Study on Development of Critical TV Watching Curriculum for Children" Busan University 1999

      13 Lee Gyeong Hwa, "Basic Study for Developing Electronic Media Curriculum for Children" 89-120, 1997

      14 Jeon Mi Seon, "A Study on Using Multimedia in Kindergarte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unsan University 2003

      15 Choi Seon Yeol, "A Study on Critical TV Watching Curriculum"

      16 Lee So Ri, "A Study on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eachers' Roles in Mass Media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