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울증 환자 치료에 있어서 Tianeptine과 Sertraline의 효과와 안전성 비교 = Comparison of Efficacy and Safety between Tianeptine and Sertralin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Depr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22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주요 우울증의 치료에 있어서 티아넵틴과 써트랄린의 임상적 효과와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DSM-IV 진단 기준에 의거하여 주요 우울증의 진단기준...

      연구목적:
      주요 우울증의 치료에 있어서 티아넵틴과 써트랄린의 임상적 효과와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DSM-IV 진단 기준에 의거하여 주요 우울증의 진단기준에 부합되고 17항목 해밀턴 우울척도 점수가 14점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40명의 환자를 무작위적 방식에 따라 티아넵틴 치료군과 써트랄린 치료군으로 분류하였다. 선탠된 환자에서 다른 항우울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7일 이상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 후 티아넵틴과 써트랄린을 각각 6주간 투여하였으며, 기준점, 1주후, 2주 후, 4주 후, 6주 후에 HAM-D, MADRS, 그리고 CGI, COVI 등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기간 중 발생된 모든 부작용은 부작용의 발생 및 소실 시기, 심한 정도, 발생 빈도, 관련 조치 및 결과에 대하여 증례기록서에 기록하도록 하였다.
      결과:
      30명(티아넵틴군 15명 ; 써트랄린군 15명)이 6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고 티아넵틴 치료군에서는 1일 37.5mg을 투여하였으며 써트랄린군에서는 1일 평균 64.0±22.5mg을 투여하였다. 본 연구 결과 HAM-D, MADRS, CGI 상에서 두 군 모두에서 치료 1주 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2주 후, 4주 후, 6주 후에도 지속적인 감소를 보였고 두 군간에 항우울 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활력징후, 일반 혈액학, 생화학, 심전도 검사 등에서는 두 군 모두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티아넵틴과 관련된 부작용으로 흔히 보고한 증상은 오심(33.3%), 복부 불쾌감(26.7%), 구강 건조(20.0%), 두통(13.3%)등 이었고 써트랄린 치료군에서는 구강 건조(53.3%), 두통(46.7%), 오심(33.3%), 그리고 식욕 부진(33.3%)등으로
      티아넵틴군에서 보다 적은 발현빈도를 보였다.
      결론:
      티아넵틴은 우울증의 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이고, 내약성이 우수한, 안전한 항우울제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ianeptine and sertralin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depression. Method: The study was done on the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diagnosed by DSM-IV, who had aHamilton ...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ianeptine and sertralin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depression.
      Method: The study was done on the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diagnosed by DSM-IV, who had a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AM-D) score ≥ 14 on the first 17 items of the HAM-D. A total of 40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ianeptine group and sertraline group. Tianeptine and sertraline were prescribed to each group. 6 weeks of each medication was carried out after 7 days of drug excretion period. Evaluation using 17 item HAM-D, Montgomery and Åsberg Depression Rating Scale(MADRS), Clinical Global Impression Scale (CGI), and Covi Scale was done on the baseline and after 1 week, 2 weeks, 4 weeks, and 6 weeks. Regrding all side effects that had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our study such as their developed/disappeaed time, severitien, incidences, managements and results have been recorded.
      Results: A total of 30 patients(tianeptine group 15 ; sertraline froup 15) finished the 6 weeks of research. 37.5mg of the daily dose was regularly prescribed to the tianeptine group, the average amount of 64.0±22.5mg of the final daily dose was prescribed to the sertraline group. Total 17 item HAM-D scores, total points of MADRS and CGI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fter 1 week in each treatment froup and continous decrease after 2, 4 and 6 weeks ; and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ianeptine group and sertaline group in the antidepressant efficacy.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vital sign, CBC, chemistry, and EKG in each treatment group. The common reported side effects of tianeptine were nausea(33.3%), epigastic distress(26.7%), dry mouth(20.0%), headache(13.3%) and those of sertraline were dry mouth (53.3%), headache(46.7%), nausea(33.3%), anorexia(33.3%).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ianeptine wa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depressive symptoms and was well tolerated and safe in patients with depres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 Ⅱ.대상 및 방법
      • 1.연구대상
      • 2.연구방법
      • Ⅲ.연구 결과
      • Ⅰ.서론
      • Ⅱ.대상 및 방법
      • 1.연구대상
      • 2.연구방법
      • Ⅲ.연구 결과
      • 1.대상군의 특성
      • 2.6주간 투여된 약물 용량
      • 3.치료 효과의 평가
      • 4.안전성 분석
      • 5.부작용
      • 6.치료만족도
      • Ⅳ.고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