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법과 읽기의 통합을 위한 제재 활용 방안 = A Way of Using Materials for Integration Grammar and Reading - Theoretically based on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444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possibility of integration “grammar” and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through recognizing that Korean subject materials could be used for domain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possibility of integration “grammar” and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through recognizing that Korean subject materials could be used for domain integration. Concretely, this study focuses on the utility of materials to get over the limits of the current subject, “reading and grammar”, and finds out to draw various values and meanings in materials through the theoretical applying of CDA. And then this study watches the possibility of grammar and reading integration through CDA, because CDA has a deep consideration of linguistic features for the discourse analysis, and the linguistic features connect to the grammar domai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a basis knowledge system for correct, efficient, and creative using Korean language. A chain of discourses have a meaning to widen the study of Korean subject materials, and to give a new perspective for the “grammar” and “reading” domain integration study which are just depending on contents elements current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국어과 제재의 범영역적 가치성
      • Ⅱ. 문법과 읽기 통합에서 제재 문제와 CDA의 도입
      • Ⅲ. CDA 기반 문법과 읽기 통합의 제재 활용 실제
      • Ⅳ. 연구의 한계와 전망
      • 참고문헌
      • Ⅰ. 들어가며: 국어과 제재의 범영역적 가치성
      • Ⅱ. 문법과 읽기 통합에서 제재 문제와 CDA의 도입
      • Ⅲ. CDA 기반 문법과 읽기 통합의 제재 활용 실제
      • Ⅳ. 연구의 한계와 전망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은주, "화법과 문법의 통합 교육 내용 구성"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87-116, 2010

      2 이관규, "통합적 문법 교육의 의의와 방법" 한국문법교육학회 (11) : 259-282, 2009

      3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4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 -‘의미를 구성하는 문법 지식’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27) : 203-226, 2005

      5 이관규, "통합적 국어교육의 가치와 ‘독서와 문법’" 국어교과교육학회 18 : 91-117, 2011

      6 제민경,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 신문 텍스트의 ‘전망이다’ 구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34) : 155-181, 2011

      7 김규훈,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론"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8 최건아, "중학생의 소그룹 상호작용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102) : 181-213, 2015

      9 천경록, "읽기 제재 선정의 기준과 쟁점"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4) : 27-52, 2014

      10 신명선, "인지 의미론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문법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1 : 77-107, 2010

      1 전은주, "화법과 문법의 통합 교육 내용 구성"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87-116, 2010

      2 이관규, "통합적 문법 교육의 의의와 방법" 한국문법교육학회 (11) : 259-282, 2009

      3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4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 -‘의미를 구성하는 문법 지식’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27) : 203-226, 2005

      5 이관규, "통합적 국어교육의 가치와 ‘독서와 문법’" 국어교과교육학회 18 : 91-117, 2011

      6 제민경,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 신문 텍스트의 ‘전망이다’ 구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34) : 155-181, 2011

      7 김규훈,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론"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8 최건아, "중학생의 소그룹 상호작용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102) : 181-213, 2015

      9 천경록, "읽기 제재 선정의 기준과 쟁점"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4) : 27-52, 2014

      10 신명선, "인지 의미론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문법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1 : 77-107, 2010

      11 Fairclough, N, "언어와 권력" 도서출판 경진 2011

      12 신명선, "사회적 실천 행위로서의 읽기 방법의 설계에 대한 시고" 국어교육학회 (14) : 235-264, 2002

      13 문종철,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비판적 담화분석 활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6

      14 심영택, "비판적 언어인식 교육 방법 연구" 국어교육학회 (46) : 45-75, 2013

      15 김유미,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6 김누리, "비판적 담화분석(CDA)을 활용한 읽기 교육 방법 연구" 경북대학교 2015

      17 장성아, "비판적 담화분석(CDA)을 활용한 국어 교육 내용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9) : 213-244, 2015

      18 박병선, "비판적 담화분석 이론의 응용 방안 모색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2 : 293-317, 2013

      19 최윤선, "비판적 담화 분석" 한국문화사 2014

      20 신명선, "문식성 교육 연구" 한국문화사 527-546, 2008

      21 남가영, "문법지식의 응용화 방향 -신문텍스트에 나타난 '-(다)는 것이다' 구문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형태론 11 (11): 313-334, 2009

      22 이관희,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 신문 텍스트에 쓰인 ‘-도록 하-’와 ‘-게 하-’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소 (25) : 119-161, 2010

      23 남가영, "문법교육용 텍스트의 개념 및 범주" 한국어교육학회 (136) : 139-173, 2011

      24 고춘화, "문법교육 텍스트의 변화 양상과 특징"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5) : 115-154, 2014

      25 신명선, "문법 영역과 독서 영역 통합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어교육학회 (148) : 123-147, 2015

      26 주세형, "문법 교육내용의 설계를 위한 기능 중심성 원리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회 (26) : 327-362, 2005

      27 Fairclough, N, "대중매체 담화 분석" 한국문화사 2004

      28 신호철, "국어교육의 상보적 통합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7 : 51-74, 2007

      29 양영희, "국어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통합 방안 제시 - 「2011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56 : 281-311, 2012

      30 김규훈, "국어교육 제재의 생태학적 가치 탐색을 위한 준거 마련" 우리말글학회 70 : 103-130, 2016

      31 김종률, "국어과 통합교육 개선 방안 연구 - 텍스트 수용-생산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92) : 131-160, 2012

      32 이성영, "국어과 제재 텍스트의 요건" 국어교육학회 (48) : 65-94, 2013

      33 신호철, "국어과 문법 영역의 연계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34 김규훈, "국어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내용 구성 방안 - 2011 교육과정 ‘독서와 문법’ 과목을 대상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9) : 29-54, 2012

      35 이인제, "국어과 교육 과정 실체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36 정혜승, "국어 교과서의 문제와 개선의 방향 국어 교과서의 기능을중심으로" 고려대학교한국어문교육연구소 11 : 1-28, 2012

      37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5] 국어과 교육과정"

      38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 14호 [별책5] 국어과교육과정"

      39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 41호에 따른 고등학교교육과정 해설 국어-"

      40 손영애, "고등학교 선택과목 변천에 관한 소론 - ‘독서와 문법’ 과목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93) : 115-148, 2012

      41 민현식, "統合的 文法 敎育의 意義와 方向"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1-37, 2010

      42 김효연, "‘비판적 담화 분석’의 문법교육적 적용 가능성 - 문법 담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1) : 85-114, 2016

      43 임규홍, "‘문법’과 ‘독서’의 통합성"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39-64, 2010

      44 이삼형, "‘문법’ 영역과 ‘작문’ 영역의 통합 문제"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65-86, 2010

      45 이삼형, "‘독서 문법’의 가능성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45) : 95-124, 2014

      46 주세형, "‘내용’과 ‘방법’으로서 국어지식 영역의 역할"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7) : 241-270, 2005

      47 Stibbe, A, "Ecolinguistics Language, ecology and the stories we live by" Routledge 2015

      48 Fairclough, N, "Discourse and Social Change" Polity Press 1992

      49 Halliday, M,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Edward Arnold 1994

      50 Fairclou gh, N, "An Intro duction to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 Education" Routledge 225-236, 2011

      51 양정호, "<독서와 문법> 교과서의 국어사 지식 및자료 텍스트에 대한 분석"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8 : 145-165, 2015

      52 박수자, "2009 개정 독서・문법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독서학회 (29) : 131-159,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4 1.14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