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倭政期 大衆歌謠의 情緖樣相 硏究 = A Study on the Mood of the Popular Song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264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ed to analyze the various mood state of the popular songs from 1910 to 1945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ate of moo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generally considered as “uncheerful mood”. This study proteste...

      This paper aimed to analyze the various mood state of the popular songs from 1910 to 1945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ate of moo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generally considered as “uncheerful mood”. This study protested the view and divided the state into cheerful and uncheerful mood according to the strong belief that the literature work should be analyzed under the background of society, history and culture.
      Specifically, due to the features of the popular songs as the combinition of lyrics and melody, the study investigated the state of mood through analyzing some elements of music like the lyrics and melody. However, since the mood and the spirit of a period of the popular songs are mainly reflected by the specific lyrics, the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lyrics and observed the melody as supplementary.
      To sum up, the uncheerful mood i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mood stat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evertheless, the state mood of the popular song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ows variousness along with the positive cheerful state of moo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윌리엄즈, "理念과 文學" 文學과知性社 1982

      2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3 김영준, "한국가요사이야기" 아름출판사 1994

      4 김지평, "한국 가요 정신사" 아름출판사 2000

      5 지그문트 프로이드, "프로이드 예술 미학 분석" 글벗사 1995

      6 강외석, "일제침략기의 한국 현대시 연구" 국학자료원 2001

      7 장유정, "일제강점기 한국 대중가요 연구 : 유성기 음반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8 김광해, "일제 강점기 대중가요 연구" 박이정 1999

      9 신나라 레코드, "유성기로 듣던 不滅의 名歌手"

      10 신대철, "우리음악, 그 맛과 소리깔" 교보문고 1998

      1 윌리엄즈, "理念과 文學" 文學과知性社 1982

      2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3 김영준, "한국가요사이야기" 아름출판사 1994

      4 김지평, "한국 가요 정신사" 아름출판사 2000

      5 지그문트 프로이드, "프로이드 예술 미학 분석" 글벗사 1995

      6 강외석, "일제침략기의 한국 현대시 연구" 국학자료원 2001

      7 장유정, "일제강점기 한국 대중가요 연구 : 유성기 음반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8 김광해, "일제 강점기 대중가요 연구" 박이정 1999

      9 신나라 레코드, "유성기로 듣던 不滅의 名歌手"

      10 신대철, "우리음악, 그 맛과 소리깔" 교보문고 1998

      11 북경대학교조선문화연구소, "예술사(중국조선민족문화사대계 3)" 민족출판사 1993

      12 이동순, "번지 없는 주막-한국가요사의 잃어버린 번지를 찾아서" 선 2007

      13 최창호, "민족수난기의 신민요와 대중가요를 더듬어" 평양출판사 1995

      14 최재서, "문학원론" 춘조사 270-, 1957

      15 이승훈, "문학상징사전" 고려원 1995

      16 김대행, "노래와 시의 세계" 도서출판 역락 1999

      17 전지영, "근대성의 침략과 20세기 한국의 음악" 북코리아 2005

      18 한겨레의노래사업단, "겨레의 노래(1)" 한겨레신문사 1990

      19 단국대학교부설동양학연구소,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자료총서" 민속원 2007

      20 클라우디아 해먼드, "감정의 롤러코스터" 사이언스북스 2007

      21 리처드 래저러스, "감정과 이성" 문예출판사 1997

      22 최하림, "詩와 否定의 정신" 문학과지성사 1984

      23 金俊五, "詩論" 三知院 2006

      24 韓國文化放送株式會社, "歌謠半世紀-흘러간 옛노래" 省音社 1968

      25 金炳旭, "新歷史主義批評, In 韓國文學硏究方法論" 民族文化社 1983

      26 曺乙燮, "文學의 理論" 螢雪出版社 1986

      27 曺乙燮, "文學의 理論" 螢雪出版社 1986

      28 김경희, "性格" 민음사 1988

      29 유용민, "20세기 한국 소설 길라잡이" 창비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7-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남북문화예술 -> 남북문화예술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Culture and Arts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