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모래놀이치료가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 아동의 행동문제,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sand play therapy to the children’s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for Korean Chinese parents and their children who experienced early sepa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96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조선족 사회는 1990년대 개혁개방과 한중수교를 계기로 대규모 인구이동이 일어났으며 그 이후 조선족 인구 절반 이상이 원 거주지를 떠나 중국의 대도시나 연해부 더 나아가 한국, 일...

      중국 조선족 사회는 1990년대 개혁개방과 한중수교를 계기로 대규모 인구이동이 일어났으며 그 이후 조선족 인구 절반 이상이 원 거주지를 떠나 중국의 대도시나 연해부 더 나아가 한국, 일본 등 해외로 진출하게 되었다. 이처럼 부모 세대의 빈번하고 반복적인 해외 이주로 인하여 가족구조의 안정성이 취약하고 가족 구성원 간의 불안정한 관계가 문제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조선족 사회현상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며, 심리치료적 접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 아동의 행동문제를 감소시키고, 부모자녀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모래놀이치료가 조기분리를 경험한 조선족 아동의 행동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가?
      2. 모래놀이치료가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의 부모자녀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3. 모래놀이치료 후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 부모와 자녀 간 상호작용은 어떠한 변화과정을 보이는가?
      4. 모래놀이치료에서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의 부모와 자녀의 모래상자 장면에 변화과정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설계는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의 부모와 자녀를 대상으로 모래놀이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모래놀이치료의 개별 단일 사전․사후 실험설계로 구성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 부모에게 아동의 행동문제, 부모자녀관계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아동의 행동평가척도(CBCL), 부모자녀관계를 실시하였으며, 자녀 또한 부모와 마찬가지로 부모자녀관계 척도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은 사전 설문지를 위한 사전세션 2일, 사후 설문지를 위한 사후세션 1일, 부모자녀상호작용 2일, 그리고 6일 동안 격일로 40분의 모래놀이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해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는 오정자, 김영아가(2010) ASEBA 체계하의 CBCL 6-18(2001)을 2007년 말 표준화 작업을 시작하여 예비 출시를 거쳐 2010년 정식 출시한 것을 이용하였으며, 부모자녀관계 측정도구는 박영신(2013)이 제작한 부모용 부모자녀관계와 자녀용 부모자녀관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 분석 방법인 통계프로그램 SPSS 20.0을 사용하여 사전‧사후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을 실시하였고, 비모수 검정 가운데 Mann-Whitney U 검정과,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래놀이치료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하위 변인 별 분석에서는 실험집단이 문제행동총점, 내제화, 외현화, 위축우울, 주의집중문제, 기타문제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둘째, 모래놀이치료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부모자녀관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하위 변인 별 분석에서는 부모 실험집단이 통제와 갈등에서 유의미한 상승이 나타났으며, 자녀 실험집단에서는 정서적 지원, 부모 희생, 부모 존경, 부모기대일치, 통제, 갈등, 거부, 적대에서 유의미한 상승이 나타났다.

      셋째, 모래놀이치료가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분석한 결과, 놀이에서의 변화와 의사소통에서의 변화를 불 수 있었다. 놀이변화에서 초기 조선족 부모는 놀이를 강압적으로 통제하거나, 놀이를 주도하였는데 모래놀이치료 후 자녀가 놀이를 선택하길 기다려주고 함께하고자 하는 욕구를 표현하였으며 자녀는 부모의 눈치를 보며 소극적으로 행동하다 모래놀이치료 후 적극적으로 의사표현을 하며 주도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의사소통의 변화에서도 초기 조선족 부모들은 자녀와의 대화함에 있어서 차가운 말투를 사용하거나 나무라는 말투 등을 사용하였는데 모래놀이치료 후 자녀의 행동을 다독여주거나 행동들을 받아주는 모습이 보였다. 자녀들은 모래놀이치료 후 주도적이며 적극적으로 대화를 이끌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에서 나타난 대표적 주제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경우 자녀와의 관계의 걱정, 삶에 대한 인식, 자녀의 경우 관계에 대한 욕구, 안정 및 돌봄에 대한 욕구가 나타났다. 이는 조기분리를 경험하여 부모와 자녀 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 조선족의 사례를 나타냈다고 볼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발생되는 어려움에 대한 내용들임을 알 수 있다. 부모의 경우 조기분리를 통하여 자녀에 대한 불편감과 중국 조선족의 특성상 자녀에게 대리욕구를 표현하며 발생되는 갈등 등이 나타나고, 자녀의 경우 그러한 부모와의 갈등과 어려움을 표현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연구 결과는 아동의 행동문제를 감소시키고, 부모자녀관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치료적 프로그램으로 가능성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키워드 : 모래놀이치료, 조기분리, 행동문제, 부모자녀관계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Chinese society has experienced mass migration since chinese economic reform and Korea-China diplomatic ties in the 1990s, more than half of their population have departed from their residence and moved to large cities in China, the Maritim...

      The Korean Chinese society has experienced mass migration since chinese economic reform and Korea-China diplomatic ties in the 1990s, more than half of their population have departed from their residence and moved to large cities in China, the Maritime Province and one step further Korea, Japan and other oversea countries. Like this the vulnerability of family structure by frequent and repeated oversea movement of parents generation, and the unstabl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have been issued. Accordingly the study on the social phenomenon of Korean Chinese has been performed, the necessity of psychotherapy approaches have been emerged. This study is to research if it is effective to the enhancement of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and the reducement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is study set following study topics.
      1. Sand play therapy program can reduce the problem behavior of Korean Chinese children experienced the early separation?
      2. Sand play therapy program may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of Korean Chinese experienced
      3. Interac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of early separation Korean Chinese who have experienced is, look to the process of what kind of change?
      4. Whether the process of theme changes in the sand play scene of the parent and the child of Korean Chinese who have experienced an early separation?

      The structure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individual, single, advance and post experiments of sand play therapy program to research the effect of sand play therapy targeting the Korean Chinese parents and children experienced the early separation. The advance and post parents children relationship, Behavioral Assessment Scale of children(CBCL) was performed to research the parents children relationship, the level of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who experienced the early separation, the parents children relationship scale was also performed to children. Program operation included the advance session of 2 days for advance survey, the post session of 1 day for the post-survey, the interaction of parents and children of 2 days and 40minutes sand play of every other day for 6 days.

      For the verification of study, we used scale the parents children relationship for parents and the parents children relationship for children scale produced by Park Yong Shin(2013), the CBCL 6-18(2001) under ASEBA system by Oh Jeong A, Kim Yong A(2010), which was formally released in 2010 after pre-release and standardization work in the end of 2007.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study, we conducted non-parametric test by using the statistics program, SPSS 20.0 which is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to search the prior and post implication, we conducted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among non-parametric test.

      We can summarize the result researched by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parents relationship was meaningfully improved for the test group that participated the sand play therap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participate to the program. In sub variables specific analysis, parents test group showed the meaningful elevation in control and conflict, children test groups showed the meaningful elevation in emotional support, parent’s sacrifice, parents respect, the compliance for parent’s expectation, control, conflict, rejection and hostility.
      Second, the children’ problem behavior was meaningfully reduced for the test group participated the sand play therap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participate to the program. In sub variables specific analysis, tested group showed the meaningful reduction in behavior problems total score, internalizing, externalizing, contraction and depression, attention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herefore above study result reports that it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parents children relationship, reduc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it has a possibility as a therapy program.

      Keyword : Sand play therapy, early separation, behavior, parents relationshi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표 목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중국 조선족 6
      • 1) 중국 조선족 현상 6
      • 2) 중국 조선족 아동 7
      • 2. 조선족 아동의 행동문제 8
      • 3. 부모자녀관계 9
      • 1) 부모-자녀관계 9
      • 2)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의 부모자녀관계 12
      • 4. 모래놀이치료 12
      • 1) 모래놀이치료의 정의 12
      • 2) 모래놀이치료의 과정 및 효과 13
      • 3) 모래놀이치료와 중국 조선족 부모 및 자녀와의 관계성 14
      • Ⅲ. 연구방법 16
      • 1. 연구대상자 16
      • 1) 연구대상자 선정 및 모집 절차 16
      • 2)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17
      • 2. 측정도구 20
      • 1) 아동·청소년 행동문제평가 척도 부모용(CBCL) 20
      • 2) 부모용 부모자녀관계 척도 21
      • 3) 자녀용 부모자녀관계 척도 23
      • 3. 연구 설계 및 절차 24
      • 4.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26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7
      •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27
      • 2. 모래놀이치료가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 아동의 행동문제 감소에 미치는 효과 29
      • 3. 모래놀이치료가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의 부모자녀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31
      • 4. 모래놀이치료 후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 부모와 자녀 간 상호작용은 어떠한 변화과정을 보이는가? 34
      • 1) 놀이에서의 변화과정 34
      • 2) 의사소통에서의 변화 과정 39
      • 5. 모래놀이치료에서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의 부모와 자녀의 모래상자 장면에 변화과정은 어떠한가? 45
      • 1) 부모의 모래상자 주제 변화 45
      • 2) 자녀의 모래상자 주제 변화 50
      • Ⅴ. 논의 및 결론 54
      • 1. 요약 및 논의 54
      • 2.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7
      • 참고문헌 58
      • 부록 65
      • 국문초록 87
      • ABSTRACT 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